“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질(耋)@권질 - 권질(權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 문신인 권경희(權景禧)ㆍ권경우(權景祐)ㆍ권경유(權景裕)의 아버지로, 광주 판관(光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질(耋) - 이질(李耋)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며, 경양군(景陽君) 이수환(李壽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질(質) - 민질(閔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정언(正言) 민회현(閔懷賢)의 아버지로, 내금위 부사정(內禁衛副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질경(質景) - 한치형(韓致亨)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고모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당함.
1434~150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신박 - 신박(申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내자시 첨정(行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 1605년(선조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필(權韠)과 교유함.
15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질부(質夫)@성이문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 - 김사문(金士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우(金佑)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에 급제한 후 원주 교수(原州敎授)가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박윤문 - 박윤문(朴允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지낸 김태현(金台鉉)의 사위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으며, 모친상 때 예를 다하여 칭송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유작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질부(質夫)@양자순 - 양자순(楊子淳)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양후(楊厚)의 아들이며, 교리(校理)를 지낸 양면(楊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질석(叱石)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질석선(叱石仙)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질숙(質肅) - 당개(唐介)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명신(名臣).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재상 문언박(文彦博)을 탄핵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질순(質純) - 이질순(李質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질재(質齋)@윤원개 - 윤원개(尹元凱)
고려 후기의 문신. 안축(安軸)이 준 시(詩)가 《근재집(謹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질재(質齋) - 안문개(安文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안향(安珦)의 재종질(再從姪).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에 봉해짐.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질충(質忠) - 김질충(金質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부호군(副護軍) 김경(金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都承旨)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집(㙫) - 이집(李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통례(通禮)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집(潗) - 이집(李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725년(영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 저서로 《한주집(韓州集)》이 있음.
1670~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집(緝) - 김집(金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시좌(金時佐)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양산 군수(梁山郡守) 등을 지냄.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집(緝)@박집 - 박집(朴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박조년(朴兆年)의 아들.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집(緝)@엄집 - 엄집(嚴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감찰(監察) 엄성구(嚴聖耉)의 아들로,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돈(李墪)과 함께 《송도지(松都誌)》를 증수함.
1635~171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집(諿) - 이집(李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풀려났으며,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함.
1438~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집(輯) - 이집(李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집(輯)@노집 - 노집(盧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노미수(盧尾壽)의 아들. 단성 현감(丹城縣監)ㆍ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냈음.
1489~15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집(集)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집(集)@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집(集)@이집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집경(執經) - 권집경(權執經)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지신사(知申事) 등을 역임하였고,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이문화(李文和)와 서로 왕래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집경당(執競堂)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집경재(執競齋) - 관물당(觀物堂)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권호문(權好文)이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정자. 권호문이 강론(講論)을 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송암집(松巖集)》에 〈관물당기(觀物堂記)〉가 전함.
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누정
-
집설(集說) - 가례집설(家禮集說)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풍선(馮善)이 편찬한 책. 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집성사(集成祠) - 오봉서원(五峯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강원도 강릉(江陵)에 건립한 서원. 삼척 부사(三陟府使) 함헌(咸軒)과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공자(孔子)의 화상(畫像)과 주자(朱子)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5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집요(輯要) - 성학집요(聖學輯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제왕(帝王)의 학(學)을 위해 선조에게 찬진(撰進)한 책. 사서(四書)와 육경(六經)에 씌어 있는 도(道)의 개략을 추출하여 간략하게 정리함. 1책.
157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집전(集傳) - 시경집전(詩經集傳)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1177년(효종 15)에 쓴 시경(詩經)에 대한 주석서(註釋書). 주희가 성리학(性理學)을 정립하고, 유교의 경전(經傳) 중 시경을 새로운 철학적 시각에서 해석한 책.
117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집주(輯註)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집주(集註) - 사서집주(四書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注釋)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ㆍ《중용장구(中庸章句)》ㆍ《논어집주(論語集注)》ㆍ《맹자집주(孟子集注)》를 통칭(統稱)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총 19권으로 알려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집주(集註)@소학집주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집중(執中)@유이 - 유이(劉彛)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원(胡瑗)의 문인(門人)으로, 구산 영(胊山令) 시절 선정을 베풀었으나, 일로 인하여 제명되어 서민이 되었다가 철종 때 소환됨. 《수경주(水經注)》ㆍ《명선집(明善集)》등 많은 저술을 남김.
1017~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집중(執中)@황집중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집중(執中) - 한종도(韓宗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안국이 지은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집지(執之) - 권택중(權擇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명(名)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집현(集賢)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집형(執衡) - 윤집형(尹執衡)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윤금강(尹金剛)의 아들이자, 문숙공(文肅公) 윤관(尹瓘)의 아버지로, 검교 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지냈으며,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징(徵)@권징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징(徵)@송징 - 송징(宋徵)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평(新平). 송정순(宋庭筍)의 문인(門人). 정철(鄭澈)과 교유하였으며 이이첨(李爾瞻)의 폐모론(廢母論)에 맞서 유생으로 항소(抗疏)를 올림.
1564~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징(徵) - 구징(具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을 도와 공을 세웠으나 중종 즉위 후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징(徵)@공징 - 홍징(洪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 홍주(洪澍)의 아들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우왕(禑王) 때 왜구(倭寇)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처남 염흥방(廉興邦)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징(澂)@윤징 - 윤징(尹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간원 우정언(司諫院右正言) 윤미견(尹彌堅)의 아들이며, 문경공(文敬公) 허조(許稠)의 외손자로, 영원 군수(寧遠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징(澂) - 왕징(王澂)
고려 후기의 종친. 제8대 현종(顯宗)의 9대손이며, 제23대 고종(高宗)의 외손자. 1275년(충렬왕 1) 이후 모두 3회에 걸쳐 귀족의 자제들을 거느리고 원(元) 나라에 가서 독로화(禿魯花)가 됨.
?~12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징(澂)@강징 - 강징(姜澂)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글씨에 능하여 중종(中宗)의 총애를 받음.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징(澄)@김징 - 김징(金澄)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봉증김자호변여윤(奉贈金子浩卞汝潤)〉이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징(澄)@윤징 - 윤징(尹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윤시영(尹時英)의 아들로, 아들인 용릉군(龍陵君) 윤우신(尹又新)의 공으로 인해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징(澄)@이구의아들 - 이징(李澄)@이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징(澄)@이황의형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징(澄)@이쟁의아들 - 이징(李澄)@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징(澄)@조징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징(澄) - 심징(沈澄)
조선 후기의 문신. 진사(進士) 심삼달(沈三達)의 아들로 종사랑(從仕郞)을 지냄. 심언광(沈彦光)의 문적(文蹟)을 모아 신원(伸寃)을 회복하는 장계(狀啓)를 올려 복관(復官)시킴.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징(澄)@최징 - 최징(崔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서부 주부(西部主簿) 최맹연(崔孟淵)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유학
-
징(澄)@황징 - 황징(黃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낸 황사윤(黃斯允)의 아들로, 고원 군수(高原郡守) 등을 지냄.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징령(澄靈)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징명(徵明)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징사(澄師) - 옥징(玉澄)
조선 전기의 승려. 안동(安東)의 청량사(淸凉寺)에서 수행하였으며,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징상인(澄上人) - 신징(信澄)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용문사(龍門寺)에 주석하면서 권문해(權文海)가 용문사에 머무를 때 도와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종교인>승려
-
징서(徵舒) - 하징서(夏徵舒)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대부(大夫). 어머니인 하희(夏姬)가 영공(靈公)ㆍ공손녕(孔孫寧)ㆍ의행보(儀行父)와 간통한 사실을 고발한 대부 예야(洩冶)를 영공이 죽이자 영공을 시해하였는데, 이로 인해 초(楚) 장왕(莊王)에게 살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징심사(澄心寺) - 증심사(證心寺)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창건한 사찰. 1094년(고려 선종 11)에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중수함.
86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징심암(澄心菴) - 장동문(章同聞)
중국 명(明) 나라의 은자. 조선 태종(太宗) 때 사신으로 온 통정시 승(通政寺丞) 장근(章謹)의 숙부로, 채석강(采石江) 기슭에 징심암(澄心菴)을 지어 은거함. 장근의 청으로 하륜(河崙)ㆍ권근(權近)ㆍ변계량(卞季良) 등이 시(詩)와 서(序)를 지어 보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징옥(澄玉) - 이징옥(李澄玉)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양산(梁山). 이숙번(李叔蕃)의 문인으로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육진(六鎭) 개척에 공을 세움. 함길도 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를 지내던 중 파직당하자, 후임자인 박호문(朴好問)을 죽인 뒤 반란을 일으킴.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징와(澄窩) - 허굉(許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허침(許琛)의 아들로, 야인(野人)을 정벌할 때에 큰 공을 세웠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냈음.
1471~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징원(澄源)@조선전기 - 이징원(李澄源)@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구순(具淳)의 장인이며, 의신군(義新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징원(澄源)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징원(澄源)@조선후기 - 이징원(李澄源)@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遼東)으로 사신을 갔으며, 사간(司諫)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징재(澄齋) - 오익(吳翌)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오봉(五峯) 호굉(胡宏)의 문인(門人). 남헌(南軒) 장식(張栻) 등과 교유하였고, 주희(朱熹)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징중(徵仲)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징지(澄之)@최징 - 최징(崔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서부 주부(西部主簿) 최맹연(崔孟淵)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유학
-
징지(澄之) - 장홍(張泓)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차경(次卿)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차경숙(車敬叔)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공(次公)@개관요 - 합관요(蓋寬饒)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諫大夫)를 거쳐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지내다가,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上奏)를 하여 자결함.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차공(次公)@이숙감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차공(次公) - 양걸(楊傑)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의천(義天)이 송 나라에 갔을 때 주객원외랑(主客員外郞)의 신분으로 의천 일행을 관반(館伴)하여 강남 일원까지 수종(隨從)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차공(次公)@황패 - 황패(黃霸)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영천 태수(潁川太守)로 나가 치민제일(治民第一)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 승상(丞相)의 지위에 오름.
?~B.C.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차공(次公)@양해 - 양해(楊偕)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공도보(孔道輔)ㆍ범중엄(范仲淹)과 함께 간쟁하다 좌천됨. 병법(兵法)에 조예가 깊었음.
980~104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차군(次君) - 소육(蕭育)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문신. 태자태부(太子太傅)를 지낸 소망지(蕭望之)의 아들. 친구인 주박(朱博)과 서로 추천하여 높은 벼슬에 오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차군당(此君堂) - 이윤종(李尹宗)
조선 전기의 유학.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추강집(秋江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차대유(車大遺) - 차희윤(車熙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ㆍ평안 도사(平安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차라(箚剌) - 찰랄(札剌)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합진(哈眞)과 함께 고려의 강동성(江東城)을 점거한 거란(契丹)의 육가(六哥)를 평정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차록(箚錄)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차복원(車復元)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차산(嵯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차산(次山)@김구 - 김구(金坵)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시문(詩文)에 능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북정록(北征錄)》을 지었으며, 《고종실록(高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211~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차산(次山)@원결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차산(次山)@이원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차산(次山) - 김사결(金事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윤원(金胤源)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차산(次山)@홍자아 - 홍자아(洪自阿)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원숙(洪元淑)의 아들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차소(次韶) - 신종호(申從濩)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과에 세 차례 장원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역임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ㆍ《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문장과 시ㆍ글씨에 뛰어났음.
1456~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차수(次修)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차야(次野)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차오산(車五山)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