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창년(昌年) - 이창년(李昌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 이중희(李仲禧)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안충(李安忠)의 아버지로,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창녕군(昌寧君)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녕군(昌寧君)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녕군(昌寧君)@조석문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성석린(成石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초서(草書)를 잘 씀.
1338~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조석문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성여완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창녕선생(昌寧先生)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도(昌道) - 박창도(朴昌道)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창랑(滄浪)@정암수 - 정암수(丁巖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최산두(崔山斗)의 문인으로, 정철(鄭澈)과도 교분을 쌓음. 1589년(선조 22)에 이산해(李山海)와 유성룡(柳成龍) 등이 정여립(鄭汝立)에 동조하였다고 고발하였으나, 무고(無告)로 몰려 추국(推鞫)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문사>유학
-
창랑(滄浪)@최준 - 최준(崔濬)@최여우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전(崔澱)의 아우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창해우언(滄海寓言)》을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랑(滄浪)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랑(滄浪)@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랑(滄浪)@안수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창랑선생집(滄浪先生集) - 창랑집(滄浪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문준(成文濬)의 문집. 아들 성직(成㮨)이 간행 준비한 자료를 표질(表姪) 윤선거(尹宣擧)가 교정(校正)하고, 증손 성지선(成至善)이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신익상(申翼相)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창랑자(滄浪子) - 성문준(成文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둘째 아들로, 성혼이 무욕(誣辱)을 당하자 임천(林泉)에 은거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박학다식하며 글씨에 능함.
1559~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량(昌良) - 이창량(李昌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진사 이제(李躋)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창려(昌黎)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창려자(昌黎子)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창려집(昌黎集) -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의 문집. 총4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창령(昌齡)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릉(昌陵)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창릉(昌陵)@안순왕후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창릉(昌陵)@예종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창명(昌命) - 원창명(元昌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낸 원상(元庠)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며, 세종(世宗) 때 숭불정책(崇佛政策)을 배척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창명(昌明)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창명(昌鳴)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창명(滄溟) - 이반룡(李攀龍)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함.
1514~157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창무(昌武) - 김사악(金師諤)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의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창문(昌門) - 유창문(柳昌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유윤(柳潤)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도승지(都承旨) 유인숙(柳仁淑)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역임함.
1514~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창방(昌邦)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창백(昌伯)@유진태 - 유진태(柳振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창백(昌伯) - 이형손(李亨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어 가평군(嘉平君)에 봉해짐.
1418~149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창보(昌父) - 조번(趙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유청지(劉淸之)의 문인(門人)으로 직비각(直秘閣)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出仕)하지 않고,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해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음.
1143~122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보(昌甫)@임세번 - 임세번(林世蕃)
조선 전기의 유학.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함께 만월대(滿月臺)에 올라 시를 읊은 내용이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창보(昌甫) - 조번(趙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유청지(劉淸之)의 문인(門人)으로 직비각(直秘閣)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出仕)하지 않고,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해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음.
1143~122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부(昌符) - 정세린(鄭世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영남(嶺南)에서 거주했고, 시문에 뛰어남.
?~1486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창산(昌山)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군(昌山君)@성수익 - 성수익(成壽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흥고 영(長興庫令)을 지낸 성예원(成禮元)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비를 호종함.
152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군(昌山君)@조계은 - 조계은(曺繼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조 좌랑(吏曹佐郞) 조언경(曺彦卿)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산군(昌山君)@성사달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군(昌山君)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창산군(昌山君)@성희안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부원군(昌山府院君)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부원군(昌山府院君)@성희안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산부원군(昌山府院君)@조항 - 조항(曺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며 영의정을 지낸 조석문(曺錫文)의 아버지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산성씨(昌山成氏) - 창녕성씨(昌寧成氏)
고려 때 중윤(中尹) 호장(戶長)을 지낸 성인보(成仁輔)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창산조씨(昌山曺氏) - 창녕조씨(昌寧曺氏)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사위로 전해지는 조계룡(曺繼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창녕 , 인명>집단>성씨
-
창서(昌瑞)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창석(蒼石)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석선생문집(蒼石集先生文集) - 창석집(蒼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준(李埈)의 문집. 형 이전(李㙉)이 가장(家藏) 초고(草稿)를 바탕으로 편차(編次)ㆍ선사(繕寫)하여 정고본(定稿本)을 만들고, 이후 목판본으로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창선(彰善) - 맹창선(孟彰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아내 심씨(沈氏)가 절행(節行)이 있어 유희춘(柳希春)이 그녀의 절행을 기록해 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창선정(彰善正)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창설(蒼雪)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설선생문집(蒼雪先生文集) - 창설재집(蒼雪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경(權斗經)의 시문집. 18권 9책. 목판본. 저자 사후에 아들 권모(權謩)와 벗 이재(李栽) 등을 중심으로 유문(遺文)이 정리되고, 1832년에서 1860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설재(蒼雪齋)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설재선생문집(蒼雪齋先生文集) - 창설재집(蒼雪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경(權斗經)의 시문집. 18권 9책. 목판본. 저자 사후에 아들 권모(權謩)와 벗 이재(李栽) 등을 중심으로 유문(遺文)이 정리되고, 1832년에서 1860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창성군(昌城君)@성예원 - 성예원(成禮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하산군(夏山君) 성몽정(成夢井)의 계후가 되어 창성군(昌城君)에 습봉되었으며, 장흥고 영(長興庫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성군(昌城君)@성율 - 성율(成栗)
조선 전기의 문신.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형인 종사랑(從仕郞) 허구(許昫)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창성군(昌城君)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성군(昌城君)@성희옹 - 성희옹(成希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우로,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성군(昌城君)@성여완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창성군(昌城君)@조효문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성여완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성엄 - 성엄(成揜)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인(成石因)의 아들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세(昌世)@안창세 - 안창세(安昌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단양 군수(丹陽郡守) 안중담(安仲聃)의 둘째 아들이며, 월창(月窓) 안응세(安應世)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창세(昌世) - 박상(朴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지흥(朴智興)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된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주장함.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74~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창세(昌世)@유시번 - 유시번(柳時蕃)@1616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찬(柳燦)의 아들로, 1657년(효종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ㆍ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냄.
1616~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세(昌世)@윤창세 - 윤창세(尹昌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조 참의(吏曹參議) 윤황(尹煌)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향병(鄕兵)을 모집하여 싸우다 병으로 죽었으며, 이조 참판(吏曺參判)에 추증됨.
1543~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창손(昌孫)@최창손 - 최창손(崔昌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숙(崔璹)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창손(昌孫)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창수(昌壽)@이중희의아들 - 이창수(李昌壽)@이중희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희(李仲禧)의 아들로, 태안 군수(泰安郡守)를 지냄.
1453~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창수(昌壽)@조선정종의현손 - 이창수(李昌壽)@조선정종의현손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玄孫)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학문이 뛰어나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수(昌洙) - 민창수(閔昌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이며, 민형수(閔亨洙)ㆍ민통수(閔通洙)의 형. 1714(숙종 4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동몽교관(童蒙敎官)ㆍ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 등을 지냄.
1685~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숙(昌叔) - 이창숙(李昌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둘째 아들로,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詩山正) 이정숙(李正叔)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순(昌順) - 정창순(鄭昌順)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광은(鄭光殷)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도지(松都誌)》ㆍ《동문휘고(同文彙考)》등을 편찬하고, 《대전통편(大典通編)》찬집에 참여함.
17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창신(昌臣) - 이창신(李昌臣)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한어(漢語)ㆍ이문(吏文)에 매우 능하였고,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섬으로 유배됨.
14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창암(蒼巖) - 양사원(梁泗源)
조선 전기의 문신. 양산보(梁山甫)의 부친. 본관은 제주(濟州). 은덕(隱德)이 있어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창암거사(蒼巖居士) - 양사원(梁泗源)
조선 전기의 문신. 양산보(梁山甫)의 부친. 본관은 제주(濟州). 은덕(隱德)이 있어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창양군(昌陽君)@진사문 - 진사문(陳斯文)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창양군(昌陽君)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언(昌言) - 매순(梅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시인 매요신(梅堯臣)의 숙부로, 시독학사(侍讀學士) 등을 역임함.
96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창언(昌言)@장문 - 장문(張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의대부(正議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장수인(長壽人) 13명과 모여 기영회(耆英會)를 만들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창여(昌汝) - 김순(金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판도 판서(版圖判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로, 고려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沃川)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창연(昌衍) - 정창연(鄭昌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유길(鄭惟吉)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14년(광해군 6)에 영창대군(永昌大君)에 대한 상소로 위험에 처한 정온(鄭蘊)을 변호하고, 폐모(廢母) 논의가 일자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직함.
1552~163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창예(昌裔)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창오(蒼梧)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창오산(蒼梧山)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창우(昌祐) - 이창우(李昌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전중감(殿重監) 이장(李粧)의 아들이자, 낭성군(琅城君) 이계감(李季瑊)의 아버지로,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냈으며, 밀직사사(密直司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창원(昌原)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창원(昌遠)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창원(昌遠)@조창원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창원군(昌原君)@이혜 - 이혜(李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의 장손이며, 화성군(花城君) 이감(李堪)의 장남. 창원군(昌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원군(昌原君)@성석린 - 성석린(成石璘)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초서(草書)를 잘 씀.
1338~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원군(昌原君)@왕우 - 왕우(王瑀)@왕온의아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둘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창원부원대군(昌原府院大君) - 왕우(王瑀)@왕온의아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둘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창원수(昌原守) - 이세의(李世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경명군(景明君)의 증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창원수(昌原守)에 봉해짐. 예조 참판(禮曹參判) 성수익(成壽益)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유(昌愈) - 한창유(韓昌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한충(韓忠)의 아버지.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윤(昌潤) - 박창윤(朴昌潤)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태안(泰安). 황해도 수군절도사(黃海道水軍節度使) 등을 지냄.
1658~17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