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창읍애왕(昌邑哀王) - 유박(劉髆)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 유하(劉賀)의 아버지로, B.C.97년에 창읍왕(昌邑王)에 봉해짐.
?~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창읍왕(昌邑王)@유박 - 유박(劉髆)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 유하(劉賀)의 아버지로, B.C.97년에 창읍왕(昌邑王)에 봉해짐.
?~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창읍왕(昌邑王) - 폐제(廢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무제(武帝)의 손자로, 소제(昭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霍光)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창응(昌應) - 이창응(李昌應)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재원(李載元)의 아버지로, 수원관(守園官)을 지냄.
?~18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창의(倡義)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창의공(倡義公)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창의사(倡義使)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창의소자(昌意小子) - 창의(昌意)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후(諸侯). 황제(黃帝)의 아들로 촉산씨(蜀山氏)의 딸 창복(昌僕)을 아내로 맞아 전욱(顓頊)을 낳고, 약수(若水)의 제후(諸侯)가 되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창인(昌仁) - 이창인(李昌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영희(李永禧)의 아들이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이의(李薿)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창절사(彰節祠) - 창절서원(彰節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건립된 서원. 1699년(숙종 25)에 사액되고,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하위지(河緯地)ㆍ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死六臣)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창조(彰祖) - 박윤손(朴閏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한강(漢江) 하류에 만경정(萬景亭)을 짓고 은거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창주(滄洲)@김여지 - 김여지(金汝知)
고려 창왕(昌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며 김자지(金自知)의 동생.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우헌납(右獻納)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창주(滄洲)@김익희 - 김익희(金益熙)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김반(金槃)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610~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주(滄洲)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주(滄洲)@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창주(滄洲)@이형윤 - 이형윤(李炯胤)
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이후(李垕)의 아버지로, 봉래군(逢萊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등을 지냄.
1593~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창주(滄洲)@차운로 - 차운로(車雲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차식(車軾)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全義縣監)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시(詩)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차天輅)와 함께 삼소(三蘇)에 비견됨.
15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창주고(滄洲稿) - 창주유고(滄洲遺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익희(金益熙)의 문집. 1708년(숙종 34) 손자인 김진옥(金鎭玉)이 간행함. 목판본. 18권 7책.
17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용담 , 문헌>서명
-
창주로(滄洲老)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창주병수(滄州病叟)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창주선생유고(滄洲先生遺稿) - 창주유고(滄洲遺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익희(金益熙)의 문집. 1708년(숙종 34) 손자인 김진옥(金鎭玉)이 간행함. 목판본. 18권 7책.
17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용담 , 문헌>서명
-
창지(昌之)@정세창 - 정세창(鄭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양(晉陽).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장연 현감(長淵縣監)ㆍ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47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창지(昌之)@한윤창 - 한윤창(韓胤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한사개(韓士介)의 아들로,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ㆍ호조 참판 등을 지냄.
14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지(昌之) - 조창(趙昌)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때의 화가. 골법(骨法)보다도 채색에 특징이 있는 사생적인 화조화(花鳥畵)를 잘 그렸으며, 그의 화풍이 휘종(徽宗) 때 화원(畵院)에게 영향을 미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창집(昌緝) - 김창즙(金昌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다섯째 아들. 조봉원(趙逢源)의 문인이며, 여섯 형제들이 문장의 대가(大家)라 육창(六昌)이라 불림.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된 뒤 학문에 전념하였고,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1662~17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집(昌集) - 김창집(金昌集)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협(金昌協)의 형. 노론(老論)의 대표 인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나,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延礽君:영조)를 세웠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임을 당함.
1648~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천부원군(昌川府院君) - 성찬(成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버지로,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창추(滄醜)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창택어수(滄澤漁叟)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창평후(昌平侯) - 양홍(楊洪)@명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무신. 활쏘기와 말타기를 잘하고, 성조를 따라 북정(北征)에 참가하였으며, 선부총병(宣府摠兵) 등을 역임함.
1381~145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창해(滄海)@양사언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창해(滄海)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창해(蒼海)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창해정(滄海亭) - 청간정(淸磵亭)
조선 전기에 강원도 간성(杆城)에 건립된 정자. 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520년(중종 15)에 중수한 기록이 전함.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양사언(楊士彦) 등 여러 문인들이 시제(詩題)로 삼음. 1884년(고종 21) 갑신정변 때 소실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간성 , 유적>건물>누정
-
창해처사(滄海處士) - 허격(許格)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이안눌(李安訥)에게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죽은 후 심상(心喪) 3년을 지내고 김상헌(金尙憲)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굴욕적인 강화로 끝나자 통곡하고 학문을 그만두었음.
1607~169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
-
창협(昌協)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창형(昌亨) - 이창형(李昌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광양 현감(光陽縣監) 이맹희(李孟禧)의 아들이자, 영의정(領議政) 이탁(李鐸)의 아버지로,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창화(昌化)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창화(昌和)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창화군(昌化君) - 이장손(李長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남순민(南舜民)의 장인. 중종 때 여러 종친들과 함께 정종(定宗)의 묘호(廟號)를 정할 것을 상소함.
1456~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화군(昌化軍)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창화수(昌化守) - 이장손(李長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남순민(南舜民)의 장인. 중종 때 여러 종친들과 함께 정종(定宗)의 묘호(廟號)를 정할 것을 상소함.
1456~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창흡(昌翕)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창희(蒼姬)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창힐(倉頡) - 창힐(蒼頡)
중국 고대(古代)에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黃帝)의 사관(史官). 최초로 한자(漢字)를 만든 사람으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채(寀) - 이채(李寀)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맏아들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이차궁(李次弓)의 딸과 혼인함.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經史)에 통달함.
1411~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채^양(蔡^楊) - 양^채(楊^蔡)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주희(朱熹)의 제자인 양즙(楊楫)과 채원정(蔡元定)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채거경(蔡居敬)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채계(蔡季) - 애후(哀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 식후(息侯)의 부인에게 마음을 빼앗겨 초왕(楚王)을 선동하여 식(息)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자신도 초(楚) 나라의 공격을 받고 투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채계통(蔡季通)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관부(蔡寬夫) - 채거후(蔡居厚)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어사(御史) 채연희(蔡延禧)의 아들로, 우정언(右正言)ㆍ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국공(蔡國公) - 두여회(杜如晦)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문학관(文學館)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방현령(房玄齡)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음. 태종(太宗) 즉위 후 태자좌서자(太子左庶子)ㆍ병부 상서(兵部尙書)ㆍ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의 요직을 맡은 명신(名臣)임.
585~63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군모(蔡君謨) - 채양(蔡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역사에 밝으며 명필(名筆)로 이름남. 지간원(知諫院)ㆍ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대술(蔡大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채몽재(蔡蒙齋)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무역(蔡無斁) - 채무택(蔡無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안로(金安老)에게 빌붙어 많은 사람을 무고하고 신하들을 이간시켜 김안로ㆍ허항(許沆)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렸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채문희(蔡文姬) - 채염(蔡琰)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열녀. 채옹(蔡邕)의 딸. 흉노(匈奴)에게 납치되어 12년 동안 살다가 돌아온 뒤 그곳에서 낳은 두 아들과의 이별을 읊은 〈비분시(悲憤詩)〉와 〈호가십팔박(胡笳十八拍)〉을 지음.
17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ㅣ인명>문사>문인
-
채미가(采薇歌) - 채미가(採薇歌)
중국 주(周) 나라 초기에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은(殷) 나라를 정벌한 무왕(武王)을 피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서 고사리를 캐 먹으며 지었다는 노래.
중국>주 , 중국 , 문헌>작품명
-
채미객(採薇客)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채미산(采薇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채미숙(采薇叔)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채미헌(採薇軒)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채백정(蔡伯靜)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산(菜山)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채서산(蔡西山)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선지(蔡先智) - 연진(演眞)
고려 후기의 승려.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蔡洪哲)의 셋째 아들로, 보우(普愚)에게 출가하여 대선사(大禪師)가 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종교인>승려
-
채수동(蔡壽童) - 채소권(蔡紹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염성(蔡念誠) - 채염성(蔡念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黃幹)에게 배움. 연평서원(延平書院)에서 강학(講學)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운자(采雲子)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채원사(蔡元思) - 채염성(蔡念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黃幹)에게 배움. 연평서원(延平書院)에서 강학(講學)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자(蔡子) - 채옹(蔡邕)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헌제(獻帝) 때의 문신ㆍ서예가ㆍ학자. 여류 문인 채염(蔡琰)의 아버지이자 완우(阮瑀)의 스승으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냄. 비자체(飛自體)를 창시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채중랑집(蔡中郞集)》 등이 있음.
132~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채절재(蔡節齋)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채정(彩亭) - 양회(楊繪)
중국 금(金) 나라의 학사(學士). 옥전현(玉田縣) 서쪽에 자신의 호를 따 채정교(采亭橋)를 놓음.
중국>금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정(采亭) - 양회(楊繪)
중국 금(金) 나라의 학사(學士). 옥전현(玉田縣) 서쪽에 자신의 호를 따 채정교(采亭橋)를 놓음.
중국>금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채지(采之) - 이령(李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의무(李宜茂)의 넷째 아들.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평해 군수(平海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채지옹(採芝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채지옹(采芝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채태술(蔡太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채허재(蔡虛齋) - 채청(蔡淸)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경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를 지내고, 《역경(易經)》 연구로 명성이 높음.
1453~150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채화수(菜華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채후(蔡侯) - 환후(桓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7대 제후. 재위 B.C.741~B.C.694. 명의 편작(扁鵲)의 충고를 듣지 않아서 병사(病死)함.
?~B.C.6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채후신(蔡侯申) - 소후(昭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 제19대 제후. 재위 B.C.518~B.C.491. 오(吳) 나라를 도와 초(楚) 나라를 정벌하게 했으나, 초 나라를 두려워하여 오 나라에 가까운 주래(州來)로 나라를 옮기려고 하다 대부들에게 살해됨.
?~B.C.4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채희(蔡姬) - 채염(蔡琰)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열녀. 채옹(蔡邕)의 딸. 흉노(匈奴)에게 납치되어 12년 동안 살다가 돌아온 뒤 그곳에서 낳은 두 아들과의 이별을 읊은 〈비분시(悲憤詩)〉와 〈호가십팔박(胡笳十八拍)〉을 지음.
17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ㅣ인명>문사>문인
-
책(㥽) - 정책(鄭㥽)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문신. 찬성사를 지낸 정해(鄭瑎)의 아들이며,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정오(鄭䫨)의 아버지. 충주 목사(忠州牧使)ㆍ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지내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책(幘) - 승로(承露)
머리띠의 하나. 고대에 상투를 묶어 맬 때 사용하던 직물(織物).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책(策)@권책 - 권책(權策)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권자신(權自愼)의 조카로, 영해(寧海)의 유배지에서 일생을 보냄.
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책(策) - 김책(金策)
고려 광종(光宗) 때의 문신. 처음 과거제도(科擧制度)가 도입된 후 실행된 조익방(趙翌榜) 시험에서 문과에 장원 급제를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책(頙)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책건(幘巾) - 승로(承露)
머리띠의 하나. 고대에 상투를 묶어 맬 때 사용하던 직물(織物).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처겸(處謙) - 안처겸(安處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냄.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처근(處謹) - 안처근(安處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를 지냈으며, 형인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죄목으로 처형될 때 이에 연좌되어 죽음.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처눌(處訥) - 손처눌(孫處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일직(一直).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학문과 효행이 뛰어남.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때 창의하고, 난리 후에 향교 재건에 앞장섬. 대구(大邱)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처량(處亮) - 홍처량(洪處亮)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홍명현(洪命顯)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1607~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처령(處寧) - 변처령(邊處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장악원 정(掌樂院正)을 지낸 변성(邊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처륜(處綸) - 박처륜(朴處綸)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박사란(朴思襴)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처명(處明) - 안처명(安處明)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맏아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안성 군수(安城郡守)ㆍ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처선(處善) - 박처선(朴處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세말(朴世末)의 아버지로, 순창 훈도(淳昌訓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처선(處善)@안처선 - 안처선(安處善)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처성(處誠) - 안처성(安處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아들로, 선공감 정(繕工監正)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77~151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처순(處順)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