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김임(金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한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유학
-
김자갱(金子鏗)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현감(縣監) 김지(金輊)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있을 때 학교를 수리하는 등 선정을 베풂.
1390~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김자남(金自南)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원주 진관 병마절제사(原州鎭管兵馬節制使)ㆍ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지냄.
16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자용(金自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김희년(金禧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김자유(金子由)
고려 후기의 유학.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고,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자점(金自點)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였으나 궁중과의 유착, 매국적 행동 등으로 비난을 받고, 역모사건으로 인해 복주(伏誅)됨.
1588~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자정(金自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청백리(淸白吏)로 이름 난 김연수(金延壽)의 아버지로, 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자중(金自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자질(金子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우정집(憂亭集)》에 김극성(金克成)이 지은 〈화김상사자질송란음(和金上舍子質松欄吟)〉이란 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자창(金子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평양군(平壤君) 조서(趙瑞)의 사돈.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자행(金自行)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집의(執義) 김질(金晊)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관찰사(觀察使) 등을 지냄. 안동(安東) 태사묘(太師廟)의 묘우(廟宇) 터전을 마련함.
1412~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자휘(金自輝)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학자 김태정(金台鼎)의 아버지로, 상호군(上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자흥(金子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혼(金琿)의 아들로,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냈으며, 김원상(金元祥)ㆍ오현량(吳賢良)과 함께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함.
1264~132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작신(金作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고종(高宗)ㆍ원종(元宗) 때의 문장가인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조부로, 우복야(右僕射)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장(金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산(安山).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낸 김맹강(金孟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장(金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과(司果) 등을 역임하였으며,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인 유광선(柳光先)을 사위로 삼았음이 《미암일기(眉巖日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김장생(金莊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김장생(金長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서인(西人)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함.
1548~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저(金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세필(金世弼)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가 1570년(선조 3)에 복권됨.
1512~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적(金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게 주는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적(金積)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만김원조(挽金原祖)〉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전(金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문학으로 이름이 남.
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전(金佺)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金就礪)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전(金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양준(金良俊)의 아들이고, 김익(金瀷)의 동생.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냈으며, 박승임(朴承任)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점(金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기대승(奇大升)의 큰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의 장인.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언거(金彦琚)의 아버지로, 의주 교수(義州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정경(金定卿)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정종(定宗)의 부마인 김한(金澣)의 아버지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개성부 유후(開城府留後) 등을 지냄.
1345~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정신(金鼎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승경(金承敬)의 아들로, 1524년(중종 19)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김정언(金廷彦)
조선 전기의 유학. 기대승(奇大升)의 《고봉집(高峯集)》에 실려 있는 〈정효자시서급서(鄭孝子詩序及書)〉라는 글에 나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정오(金定旿)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존정(金存正)의 아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이름을 경추(景鄒)에서 정오(定旿)로 고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정후(金靜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인재(認齋) 김현도(金玄度)의 아들이며, 최립(崔岦)의 문인(門人). 문장에 능하여 송도인(松都人)의 문사가 되었으며, 옹진 군수(甕津郡守) 재직 중 고위층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함.
1576~164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제(金堤)
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三韓)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
전라도>김제 , 지명>행정지명
-
김제(金濟)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杜門洞) 칠십이현(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제겸(金濟謙)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아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은 3학사(學士)의 한 사람으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680~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제신(金悌臣)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연산군 때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金宗直)의 처형을 주장함.
1438~149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제안(金齊顔)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6년(공민왕 13) 군부좌랑(軍簿佐郞)으로서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에게 사신으로 가서 사명(使命)을 다함. 김정(金精) 등과 신돈(辛旽)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계획이 탄로나 죽임을 당함.
?~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조(金肇)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임견미(林堅味)의 일파로 최영(崔瑩)에 의해 참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조양(金調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은(報恩).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된 김태암(金泰巖)의 아버지로, 태안 군수(泰安郡守)를 지냄.
?~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존정(金存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을 당한 김일손(金馹孫)의 후손. 김정오(金定旿)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김종덕(金宗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성학입문(聖學入門)》 등 많은 저술을 남김.
1724~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종려(金宗麗)
조선 전기의 유학.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희춘(柳希春)의 서녀와 결혼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종서(金宗瑞)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참살당함.
1383~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종숙(金宗淑)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우의정(右議政) 김질(金礩)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종순(金從舜)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계성(金季誠)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5~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김종윤(金宗胤)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김극뉴(金克忸)의 아들로,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내고, 병조 참의(兵曹參議)로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종호(金從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차남으로, 자여도 찰방(自如道察訪)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김종후(金鍾厚)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민우수(閔遇洙)의 문인(門人). 어려서부터 사부(詞賦)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
1721~17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주(金湊)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낙안(樂安). 고려 말에 양광도(楊廣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고, 조선 초 한양천도(漢陽遷都) 때 종묘ㆍ사직ㆍ궁궐ㆍ관아 등을 짓는 데 공을 세웠으며, 밀양(密陽)의 영남루(嶺南樓)를 창건함.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주영(金朱永)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의원(金義元)의 아들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역임하고 상장군(上將軍)에 추증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김주정(金周鼎)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무신.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김경량(金鏡亮)의 아들로,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昭勇大將軍左右副都統) 등을 역임하였고, 호두금패(虎頭金牌)를 하사받음.
?~12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준(金俊)@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지낸 김응두(金應斗)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유학
-
김준(金俊)@고려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최우(崔瑀)에게 발탁된 후 최의(崔竩)를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 탐학(貪虐)을 일삼다가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원종(元宗)에 의해 참살됨.
?~126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김준(金峻)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책(金策)의 아버지로, 좌복야(佐僕射)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준(金嶟)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우봉 현감(牛峯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준(金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김경제(金敬悌)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이 그에게 차운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준례(金遵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成宗) 때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김맹성(金孟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김준손(金俊孫)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됨. 연기김씨(燕岐金氏)의 시조.
1446~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준손(金浚孫)
조선 전기의 문신. 서녀(庶女)가 구수영(具壽永)의 서자인 구인손(具麟孫)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김중권(金仲權)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양(金壤). 이규보(李奎報)의 외조부. 울진 현위(蔚珍縣尉)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통천 , 인명>관인>문신
-
김중로(金仲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지낸 김맹권(金孟權)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관인>문신
-
김중로(金仲魯)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의 생원 김계정(金繼貞)의 아버지로, 효력부위(效力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김중문(金仲文)
조선 전기의 유학.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유사(有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김중서(金仲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오수 찰방(獒樹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김중시(金仲始)
고려 후기의 문신. 사보(思補)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중엄(金仲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 때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뉴(金紐)의 아버지. 왕세자 시절 문종(文宗)의 빈(嬪)이었던 휘빈(徽嬪)의 오빠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俯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김중연(金仲演)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김자행(金自行)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ㆍ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중행(金仲行)
조선 전기의 외척ㆍ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넷째 아들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장인.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증손(金曾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황(金黃)과 김벽(金碧)의 아버지. 보천 교수(甫川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지(金墀)@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칠언절구(七言絶句) 〈정김군자헌(呈金君子獻)〉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지(金墀)@김종손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손(金宗孫)의 아들로,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냄.
1455~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김지(金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치화(金致和)의 아들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을 지냄. 시를 잘 짓고 음율(音律)에도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지(金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사순(金思順)의 아들로,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김지(金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자흠(金子欽)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지경(金之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중종(中宗)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19~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지남(金指南)
조선 현종(顯宗)~정조(正祖) 때의 역관(譯官). 본관은 우봉(牛峰). 청(淸) 나라에서 《자초신방(煮硝新方)》을 수입ㆍ번역하고, 《북정록(北征錄)》을 저술하였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편찬에 참여함.
165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