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처신(處身) - 안처신(安處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막내 아들로, 빙고 별제(氷庫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처인(處仁)@방처인 - 방처인(房處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로,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1549~15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구례 , 인명>문사>유학
-
처인(處仁)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처인수(處仁守) - 이성종(李盛終)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셋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만년에 파주(坡州)로 내려가 유유자적함.
1474~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처정(處貞) - 안처정(安處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선손(安善孫)의 아들이며,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안수(安琇)의 아버지로, 울진 훈도(蔚珍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처종(處宗) - 송처종(宋處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연주 자사(兗州刺史)를 지냄. 《유명록(幽冥錄)》에 장명계(長鳴鷄)를 사다가 서재 창가에서 길렀는데 얼마 후 닭과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것이 많았다는 고사(故事)가 실려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처중(處中)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처중(處仲) - 왕돈(王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재상(宰相). 동진 창업에 공훈을 세워 재상이 되었으나, 명제(明帝) 때 모반하였다가 병사(病死)함.
26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처직(處直) - 안처직(安處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제용감 부정(濟用監副正)을 지낸 안선(安璿)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처충(處冲)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처함(處諴) - 안처함(安處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수찬(修撰)ㆍ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으며, 형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산선생문집(芝山先生文集) - 지산집(芝山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호익(曺好益)의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1727년(영조 3)에 원집(原集)이 초간되고, 1883년(고종 20)에 후손 조광복(曺光復) 등이 원집과 속집을 합하고 부록을 증보하여 재편ㆍ간행함.
172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지산수(芝山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산정사(芝山精舍)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지삼기(知三歧) - 이나(李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이보(李保)의 아들로,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를 지냄. 길재(吉再)의 《야은집(冶隱集》에 그에게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지상(之祥) - 정지상(鄭之祥)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지낸 정혼(鄭渾)의 아버지. 원(元) 나라에서 뒷날 공민왕이 되는 강릉대군(江陵大君)을 만나 시종하고, 감찰지평(監察持平)ㆍ어사중승(御史中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지상(志尙) - 탁지상(卓志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셋째 아들로, 숙부인 탁지수(卓持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첨지(僉知)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상(砥相)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서(知瑞) - 김생(金生)
통일신라의 서예가.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이라 불림.
711~?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지선(智詵) - 지증(智證)
신라 문성왕(文聖王)~헌강왕(憲康王) 때의 승려. 문경(聞慶) 희양산(曦陽山)에 절을 창건하자 헌강왕이 봉암사(鳳巖寺)라는 사액을 내려 주었는데, 이곳에 머물다 입적하였음.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인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가 남아 있음.
824~88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문경 , 인명>종교인>승려
-
지선(止善)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지선백(芝仙伯)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선장(至善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지선정(止善亭)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지성(之誠) - 이지성(李之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경주(慶州).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 이화(李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지성(志誠)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성(池城)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지성(至誠)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지성산성(池城山城) - 수양산성(首陽山城)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쌓은 산성 이름. 1674년(숙종 2)에 수축함. 고죽군(孤竹君)의 옛 터가 있다는 전설이 전함.
762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해주 , 유적>시설>성,진,책
-
지세(持世)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세충(支世充)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지소(芝所) - 황일호(黃一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척(黃惕)의 아들로,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있던 1638년(인조 16)에 명(明) 나라를 도와 청(淸)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
1588~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지소재(志素齋)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손(之損) - 개주(開州)
중국 동북부 봉황성(鳳凰城) 부근에 있었던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지손(芝孫) - 양지손(梁芝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壽) - 조지수(趙之壽)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시조. 명종(明宗)~강종(康宗)까지 네 명의 왕을 섬기고,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秀) - 박지수(朴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지빈(朴之彬)의 아우이고, 추밀 원사(樞密院事) 박양계(朴良桂)의 조부로, 밀직 부사(密直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秀)@이지수 - 이지수(李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삼중대광(三重大匡)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지수(志洙) - 송지수(宋志洙)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선조(先祖) 송인수(宋麟壽)의 《규암집(圭庵集)》을 교정하고 보충하여 1844년에 재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문인
-
지수(持守) - 탁지수(卓持守)
조선 전기의 문신. 사인(舍人)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셋째 아들로, 탁세영(卓世瑛)에게 출계하였으며,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수(篪叟)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지수암(知守菴)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수재(知守齋)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숙(之淑)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숙(之菽) - 이지숙(李之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훈공으로 인해 이조 판서(吏曹判書) 한평군(韓平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지숙(持叔)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지숙(智叔) - 남지(南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경문(南景文)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돈. 문종(文宗)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端宗) 보필에 관한 고명(顧命)을 받았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풍질(風疾)로 인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지숙(止叔)@김기 - 김기(金圻)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산장(山長)으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함.
1547~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지숙(止叔)@유홍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숙(止叔) - 신연(申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로, 신숙주(申叔舟)의 증손(曾孫).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지숙(止叔)@윤정 - 윤정(尹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천(尹希天)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윤희성(尹希聖)에게 출계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에 이조 정랑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순(至順) - 문종(文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13대 황제. 재위 1329~1332. 북방 영주파(領主派)가 추대한 태정제(泰定帝)가 죽자 연철목아(燕鐵木兒) 등 궁정관료파의 옹립으로 황제에 오름.
1304~133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지술(知述) - 박지술(朴知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길주 목사(吉州牧使)를 지낸 박희립(朴希立)의 아들로, 백부 박대립(朴大立)에게 출계함. 자산 군수(慈山郡守)ㆍ부평 부사(富平府使) 등을 지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숭(之崇) - 윤지숭(尹之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윤잠(尹岑)의 아들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지숭(志崇) - 법장(法藏)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본관은 신주(愼州). 나옹(懶翁) 혜근(惠勤)에게서 법(法)을 이어받았으며, 송광사를 복원(復元)함. 수선사(修禪寺) 16국사(國師) 중 제16세를 지냄.
1350~142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종교인>승려
-
지승(智承) - 유지승(柳智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빈(柳贇)의 아버지로, 승훈랑(承訓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악(智嶽)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지안(之安) - 이인전(李仁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만간(李萬幹)의 아들로,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감정(監正)ㆍ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암(智巖) - 철사(哲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지암철사권(書智巖哲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지암(止庵) - 김서(金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흥 현감(大興縣監)을 지낸 김계문(金季文)의 아들.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동생으로, 영평 현령(永平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암(止菴)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애(芝厓)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양자(智襄子) - 지백(智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卿). 조양자(趙襄子)를 공격하려다가, 조(趙)ㆍ한(韓)ㆍ위(魏)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함.
?~B.C.45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지언(止彦) - 유자신(柳自新)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의 국구(國舅). 유잠(柳潛)의 아들이자 이담(李湛)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 등을 지내고,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짐.
1541~161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지언(知言) - 남지언(南知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고성(固城). 남인(南寅)의 아들이며, 남정(嵐亭) 김시창(金始昌)의 사위이자 문인.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며, 말년에 황간(黃澗)에 삼괴당(三槐堂)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황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연(之衍)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연(芝衍)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지엽(之葉)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영(智永) - 유천지영(柳川智永)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 집안의 가신(家臣)으로, 아버지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지온(子溫)@당 - 유자온(柳子溫)@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태자 소사(太子少師)를 지낸 유공권(柳公權)과 헌종(憲宗)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버지로, 단주 자사(丹州刺史)를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옹(智翁) - 유순정(柳順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짐. 경오왜변(庚午倭變) 때 병사를 총괄하고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함.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옹(芝翁)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지완(之完) - 곽지완(郭之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한 곽준(郭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지완(志完) - 추호(鄒浩)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영창부 교수(穎昌府敎授)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정언(右正言)으로 있을 때 장돈(章惇)의 불충을 폭로하고 유후(劉后)를 세울 것을 간하였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됨.
1060~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완(志完)@이지완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지요(智瑤) - 지백(智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卿). 조양자(趙襄子)를 공격하려다가, 조(趙)ㆍ한(韓)ㆍ위(魏)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함.
?~B.C.45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지욱(之煜) - 유지욱(柳之煜)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유진정(柳震楨)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유효립(柳孝立)과 함께 광해군(光海君)을 상왕으로 삼고 선조의 일곱째 서자인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처형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지운(之耘)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지운(之雲)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지원(之元) - 곽지원(郭之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역관. 심통원(沈通源)을 따라 명(明) 나라에 갔을 때 은냥을 몰래 가져와 탄핵을 받은 적이 있으며, 하정사(賀正使) 오상(吳祥)을 따라 명 나라로 가던 도중 여양역(閭陽驛)에서 거란 병사를 만났는데, 이때 역승(驛丞)의 투항을 막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역관
-
지원(之元)@이지원 - 이지원(李之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와 교유했으며, 이이가 그의 집에 가서 주고받은 시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지원(之源) - 심지원(沈之源)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원래 이이첨(李爾瞻)의 대북파(大北派)였으나 광해군 때 은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기용되어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1593~16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지원(之瑗) - 조지원(趙之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침(趙世琛)의 아버지로, 전력 부위(展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
-
지원(智源) - 심준(沈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내고 좌찬성(左贊成)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지원(智遠) - 문지원(文智遠)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양간공(讓簡公) 문인걸(文仁傑)의 아들로,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지원(止源) - 이약수(李若水)@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자(李滋)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가 투옥됨. 평해(平海)로 유배되었다가 예산(禮山)으로 이배되어 죽음.
1486~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지원(趾源)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원절(至元節)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지유(之柔) - 이지유(李之柔)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셋째 아들로,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지윤(志尹)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윤(智允) - 김지윤(金智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김균(金稛)의 아버지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지음지교(知音之交) - 지음(知音)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백아(伯牙)와 종자기(種子期)의 고사에서 나온 말. 백아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알아주던 종자기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고 더 이상 연주하지 않은 데서 유래하여,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를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지의(之義) - 정지의(鄭之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전농시 판사(典農寺判事)를 지낸 정복주(鄭復周)의 아버지로,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지인(之仁) - 곽지인(郭之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율(郭𧺝)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지인(志仁)@양복 - 양복(楊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의례도(儀禮圖)》를 저술하고, 《가례(家禮)》의 주석을 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지인(智仁)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인(知人)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지인(知仁) - 두지인(杜知仁)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어릴 때부터 시문(詩文)을 지었고, 자라서는 육경(六經)과 《논어(論語)》ㆍ《맹자(孟子)》를 공부했음. 저서로는 《시문십오권(詩文十五卷)》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지인계운성문신무(至仁啓運聖文神武)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지일(之一)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