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지임(之任) - 윤지임(尹之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외척(外戚).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윤원형(尹元衡)의 아버지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파산부원군(坡山府院君)에 봉해짐.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지임(摯任) - 태임(太任)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강(太姜)ㆍ태사(太姒)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지장(知章)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김익희 - 김익희(金益熙)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김반(金槃)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인조를 호종함.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610~16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진부량 - 진부량(陳傅良)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냄. 설계선(薛季宣)ㆍ섭적(葉適) 등과 함께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
1137~12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김청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이수경 - 이수경(李首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
1516~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재(止齋)@만인걸 - 만인걸(萬人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남헌(南軒) 장식(張栻)과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지재(至哉) - 탁함(卓諴)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을 지낸 탁윤순(卓允順)의 아들로, 1393년(태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 윤(漢城尹) 등을 지냄.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인 탁기(卓耆)를 입양함.
13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재(芝齋)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지재(趾齋)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지정(之淀) - 유지정(柳之淀)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개성윤(開城尹)을 지낸 유간(柳玕)의 아들로,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냈고, 진천군(晉川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지정(持正)@홍식 - 홍식(洪湜)
조선 예종(睿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부안(扶安)에 부처되었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화를 입어 참형당함.
1449~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지정(持正)@신포 - 신포(申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시인ㆍ화가. 호를 장륙(藏六)이라 하였는데, 친구 이종준(李宗準)이 그 호를 탐내어 술 한 병과 바꾼 일화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지정(持正) - 성수(性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이희보(李希輔)의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지정(持正)@이존비 - 이존비(李尊庇)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진(李瑨)의 아들이자,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우(李瑀)와 승려 복구(復邱)의 아버지로, 유경(柳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1233~12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지정(智正) - 귤지정(橘智正)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덕천가강(德川家康)의 명으로 국서를 가지고 와 조선과 국교를 요청함.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지정(止亭)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정(池亭)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지정당(止正堂) - 김맹달(金孟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김득제(金得齊)의 손자로,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지정옹(止亭翁)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정제(至正帝)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지정주(至正主)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지제(之悌)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지족(知足)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족당(知足堂)@유언술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족당(知足堂)@신여철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지족당(知足堂)@남곤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족당(知足堂)@김우홍 - 김우홍(金宇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나주 목사(羅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지족당(知足堂)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족암(知足庵)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족암(知足庵)@임호신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족암(知足庵)@윤변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지족정(知足亭) - 삼락정(三樂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이현(李俔)이 서호(西湖)에 세운 정자. 관직이 2품에 이른 것, 부부가 해로한 것, 자손이 번성한 것을 삼락(三樂)이라 하여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유적>건물>누정
-
지족헌(止足軒)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종(之琮) - 조지종(趙之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숭령(趙崇齡)의 아버지로, 순천 교수(順天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지주(之周) - 조지주(趙之周)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판중추부사 조혜(趙惠)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인수부 승(仁壽府丞)에 서용되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중(摯仲) - 태임(太任)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강(太姜)ㆍ태사(太姒)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지중(止中)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지(地志)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지지(止止)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지(止止)@안여지 - 안여지(安汝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임억령(林億齡)ㆍ나세찬(羅世纘) 등과 교유함. 《석천시집(石川詩集)》과 《송재유고(松齋遺稿)》에 증시(贈詩)ㆍ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지지(知止)@이지지 - 이지지(李知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완산(完山).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 이나(李那)의 아들이며, 동래군(東萊君) 정난종(鄭蘭宗)의 장인이자,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의 외조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지지(知止)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지지(至之) - 독고급(獨孤及)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문신. 비서감(秘書監)을 지낸 독고욱(獨孤郁)의 아버지로, 상주 자사(常州刺史)를 지냄.
725~77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지지당(止止堂)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지당(知止堂)@이영민 - 이명민(李命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 일파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지지당(知止堂)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지직(之直) - 이지직(李之直)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이집(李集)의 장남.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등을 지냄.
1354~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지천(芝川)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지천(遲川)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천고(芝川稿) - 지천집(芝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황정욱(黃廷彧)의 문집. 1632년(인조 10) 외손인 이후원(李厚源)이 단양 군수(丹陽郡守)를 지낼 때 3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63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지천자(芝川子)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지촌(芝村)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지추(之推)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지추(之推)@안지추 - 안지추(顔之推)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인ㆍ학자. 양 나라에서 태어나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를 거쳐 수 나라에서 벼슬함. 학식이 뛰어나고 유불(儒佛)의 조화를 주창하였으며, 가족과 가정도덕의 확립을 역설한 《안씨가훈(顔氏家訓)》을 지음.
531~591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지충(之冲) - 설지충(薛之冲)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설공검(薛公儉)의 아들.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지충(之忠)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지탁(之卓) - 남지탁(南之卓)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남을번(南乙蕃)의 선조.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통대사(智通大師) - 혜적(慧寂)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희종(僖宗) 때의 선승(禪僧). 위산 영우(潙山靈祐)의 제자로, 앙산(仰山)을 중심으로 법을 선양하여 위앙교(潙仰敎)를 성립시킴.
807~88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지통선사(智通禪師) - 혜적(慧寂)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희종(僖宗) 때의 선승(禪僧). 위산 영우(潙山靈祐)의 제자로, 앙산(仰山)을 중심으로 법을 선양하여 위앙교(潙仰敎)를 성립시킴.
807~88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지퇴당(知退堂) - 이정형(李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탕(李宕)의 아들이며, 정윤희(丁胤禧)의 문인. 성리학(性理學) 등 다방면에 밝고, 이원익(李元翼)ㆍ이호민(李好民)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조 참판 등을 지냄.
1549~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포(止浦) - 김구(金坵)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시문(詩文)에 능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북정록(北征錄)》을 지었으며, 《고종실록(高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211~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지포(芝圃) - 강세륜(姜世綸)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783년(정조 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성 부사(鍾城府使)ㆍ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61~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지포선생문집(止浦先生文集) - 지포집(止浦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김구(金坵)의 문집. 1801년(순조 1) 후손들이 여러 문헌에 산재하던 시문을 정리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180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지표(之彪) - 윤지표(尹之彪)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재상. 본관은 해평(海平). 윤석(尹碩)의 아들로, 충혜왕의 폐신(嬖臣)이었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재등용되었으며,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지품천(知品川) - 산음(山陰)
경상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단성(丹城), 서쪽으로는 함양(咸陽), 북쪽으로는 거창(居昌)과 접해 있음. 지리산(智異山)과 서계서원(西溪書院) 등이 있으며, 지금은 경상남도 산청(山淸)에 속함.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지학(志學) - 공지학(孔志學)
중국 명(明) 나라의 의생(醫生). 요동(遼東) 사람.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지함(之菡)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함(之諴) - 윤지함(尹之諴)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엽(尹燁)의 아들로,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爕)에게 출계함. 윤엄(尹儼)의 아버지. 1546년 (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지해(志海) - 김면(金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학자. 경원 부사(慶源府使) 김세문(金世文)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工曹佐郞)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戰功)을 세움.
154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행(志行)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지헌(智軒) - 연희(演熙)
조선 전기의 승려. 선비 출신의 승려로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했는데, 유술(儒術)과 해법(楷法)에도 능통했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지헌(止軒)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헌(芝軒)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헌문집(芝軒文集) - 지헌집(芝軒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사성(鄭士誠)의 문집. 1821년(순조 21) 7대손 정내성(鄭來成)이 저자의 동생인 매창공(梅窓公) 정사신(鄭士信)의 유고(遺稿)와 함께 목판으로 간행함.
182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지헌선생문집(芝軒先生文集) - 지헌집(芝軒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사성(鄭士誠)의 문집. 1821년(순조 21) 7대손 정내성(鄭來成)이 저자의 동생인 매창공(梅窓公) 정사신(鄭士信)의 유고(遺稿)와 함께 목판으로 간행함.
182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지현(之顯) - 강은(姜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권근(權近)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지현(志玄) - 단지현(段志玄)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고조 이연(李淵)의 거병(擧兵)에 천여 명의 병사를 모집해 참여하고,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왕세충(王世充)을 토벌하는 등 당 나라 건국에 기여함.
?~64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지형(止衡) - 윤지형(尹止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효손(尹孝孫)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심정(沈貞) 등의 사주를 받아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지호(芝湖)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지혼(之渾) - 김생해(金生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평양부 서윤(庶尹)을 지낸 김번(金璠)의 아들. 1537년(중종 32) 진사시에 입격하여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역임하였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51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지화(之和) - 윤지화(尹之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폐비 윤씨(廢妃尹氏)의 당질(堂姪).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내고, 당시 문장으로 유명한 눌재(訥齋) 박상(朴祥)ㆍ하천(霞川) 고운(高雲)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지화(志和) - 장지화(張志和)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은자.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발탁되어 벼슬하다가 물러나와 연파조도(煙波釣徒)라 자처하고 은둔하였으며, 《현진자(玄眞子)》라는 저술을 남김.
730~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지화(枝華)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지화(至華)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지활(智活) - 이지활(李智活)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居昌)의 박유산(朴儒山)에 은거하였으며,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지효(至孝) - 장지효(張至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지례(知禮). 별좌(別坐)를 지낸 장관(張寬)의 아들로, 울진 현령(尉珍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지휴(之休) - 정문연(鄭文淵)
고려 후기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지흥(智興) - 박지흥(朴智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눌재(訥齋) 박상(朴祥)과 육봉(六峯) 박우(朴祐)의 아버지로, 세조(世祖)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은거함.
14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직(㮨) - 성직(成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大字)를 잘 썼음.
1586~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직(溭) - 이직(李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이영(李嶸)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직(直) - 신직(申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예(司藝)를 지낸 신봉전(申奉全)의 아들로,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직(稙)@노직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직(稙)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직(稷)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직강선생(直講先生)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직강이선생문집(直講李先生文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직경(直卿)@유직경 - 유직경(柳直卿)
조선 전기의 유학. 철산부수(鐵山副守) 이효순(李孝順)ㆍ회산(檜山) 정환(丁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해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