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직경(直卿)@권근신 - 권근신(權謹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거(權擧)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훈도(訓導)ㆍ충찬위(忠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직경(直卿)@황간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직경(直卿)@진세량 - 진세량(陳世良)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직경(直卿)@한여필 - 한여필(韓汝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의 아버지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장인.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가 되고,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냄.
1505~157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직경(直卿) - 김간(金榦)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박세채(朴世采)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
1646~17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직경(直卿)@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직곡(直谷) - 남이신(南以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호(南琥)의 아들이자, 이조 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시절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2~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기노인(直奇老人)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직렴선생(織簾先生) - 심인사(沈驎士)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 학자. 빈사(貧士)로서 손수 발(簾)을 짜면서 글을 읽었지만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직방(直方) - 배계후(裵季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안의 현감(安義縣監)ㆍ진주 판관(晉州判官)을 지냈으며, 김일손(金馹孫)ㆍ조위(曺偉)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직백(直伯) - 김은(金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조 판서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형으로, 임진왜란에 해를 당함. 송익필(宋翼弼)이 그의 자(字)를 지어 주고 적은 글이 《구봉집(龜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직보(直甫) - 김덕해(金德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김치(金淄)의 아들.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내고,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였으며, 《제봉집(霽峯集)》에 그의 만사(挽詞)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봉(直峯)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직봉포의(直峰布衣)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직부(直夫)@김덕해 - 김덕해(金德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김치(金淄)의 아들.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내고,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였으며, 《제봉집(霽峯集)》에 그의 만사(挽詞)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부(直夫)@이경여 - 이경여(李敬輿)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仁祖)를 호종하고, 1642년(인조 20) 배청친명파(背淸親明派)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瀋陽)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5~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부(直夫)@김질충 - 김질충(金質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부호군(副護軍) 김경(金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都承旨)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부(直夫) - 신자승(申自繩)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좌의정을 지낸 신개(申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직사군(稷嗣君) - 숙손통(叔孫通)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문신. 한(漢) 고조(高祖) 때 조의(朝儀)를 제정하였으며, 혜제(惠帝) 때 종묘(宗廟) 등의 의법(儀法)을 정하고 태자 태부(太子太傅)를 지냈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직산군(稷山君)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직산부원군(稷山府院君)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직성(直城)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직성군(直城君)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직손(直孫) - 김직손(金直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낸 김회윤(金懷允)의 아들로,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등을 지냈음.
1437~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직언(直彦)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직옹(直翁)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직유(直孺) - 신암(申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신민일(申敏一)의 아버지. 김포 현령(金浦縣令)ㆍ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직의(直漪) - 하직의(河直漪)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리공신(佐理功臣) 하즙(河楫)의 아버지로, 호군(護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직이(直而) - 복세현(卜世顯)
조선 전기의 문인. 충청도 홍주(洪州)에 매죽당(梅竹堂)을 짓고 거처하였으며, 심의(沈義)의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
-
직재(直哉)@최유청 - 최유청(崔惟淸)
고려 예종(睿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로, 최석(崔奭)의 아들. 사신으로 송(宋) 나라와 금(金) 나라에 다녀오고, 집현전 대학사(集賢殿大學士) 등을 지냄. 경사(經史)와 불경(佛經)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
1095~1174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직재(直哉)@이유청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직재(直哉)@김직재 - 김직재(金直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역임. 아들 김백함(金白緘)의 역모에 연루되어 옥사함.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직재(直哉)@정이청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직재(直哉) - 이사청(李思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이훈(李薰)의 아들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금원복(琴元福)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직재(直齋)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직지(直之) - 김구(金鉤)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아산(牙山). 윤상(尹祥)의 문인(門人)으로, 《초학자회(初學字會)》를 언해하는 등 국역사업에 공이 크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정통함.
?~14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직지(直之)@안처직 - 안처직(安處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제용감 부정(濟用監副正)을 지낸 안선(安璿)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직지(直之)@정온 - 정온(鄭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34~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무신
-
직지(直之)@이증석 - 이증석(李曾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증손이며,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외손자로, 중화 군수(中和郡守)를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직초(直初) - 임몽정(任蒙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으며,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
1559~160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진(振)@남진 - 남진(南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일찍이 학문(學問)에 뜻을 두어 독학(篤學)하여 도학(道學)에 능했으며, 후진 양성에 힘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진(振)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晉) - 박진(朴晉)
고려 후기~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으로, 직제학(直提學)인 최직지(崔直之)ㆍ최덕지(崔德之)의 외숙(外叔). 청도 군사(淸道郡事)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가 죽자 여묘(廬墓) 3년을 지내 1398년(태조 7)에 정려(旌閭)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진(晉)@정진 - 정진(丁晉)
고려 후기의 유학(幼學). 영성군(靈城君) 정찬(丁贊)의 조부. 영성정씨(靈城丁氏)의 중시조.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진(津)@신진 - 신진(申津)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했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만사(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진(津) - 정진(鄭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정도전(鄭道傳)의 아들로,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을 전후로 정도전과 더불어 영욕을 함께함.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1~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진(溍) - 하진(河溍)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각(李殼)의 문인(門人)으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에 임명되나 노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부임하지 않음. 효종 때 지평(持平)이 되어 김자점(金自點)의 전횡(專橫)을 논핵함.
159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珍)@조선 - 윤진(尹珍)@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륜(尹倫)의 아들이며, 윤인서(尹仁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진(珍)@고려 - 윤진(尹珍)@고려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의 아들로, 밀직부사(密直副使) 이희번(李希蕃)과 함께 명(明) 나라에 가서 세공(歲貢) 감면에 대해 사례함.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진(珍) - 하진(河珍)
고려 정종(定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진주하씨(晉州河氏) 사직공파(司直公波)의 시조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珒)@이진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진(珒) - 왕진(王珒)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손자. 신종의 둘째 아들 양양공(襄陽公) 왕서(王恕)의 큰아들로, 약관의 나이에 요절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진(瑱)@이진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진(瑱) - 왕진(王瑱)
고려 후기의 종친. 조인규(趙仁規)의 첫째 아들인 조서(趙瑞)의 사위. 《가정집(稼亭集)》의 〈조정숙공사당기(趙貞肅公祠堂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진(璡) - 안진(安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진(璡)@조선후기 - 황진(黃璡)@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선조를 잘 공궤(供饋)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계되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진병(進兵)ㆍ철병(撤兵) 등을 요청함.
1542~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진(璡)@권진 - 권진(權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 권겸(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진(璡)@조선전기 - 황진(黃璡)@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황효공(黃孝恭)의 아버지로,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진(璡)@최진 - 최진(崔璡)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최명손(崔命孫)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진(璡)@김진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진(眞) - 조진(趙眞)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옥과(玉果).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인 조통(趙通)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유학
-
진(禛)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진(稹)@김진 - 김진(金稹)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진(稹) - 왕진(王稹)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인 평양공(平壤公)의 5대손이며, 희종(熙宗)의 비인 성평왕후(成平王后)의 아버지. 명종(明宗)의 딸인 연희궁주(延禧宮主)와 결혼하였고, 불교와 도교에 조예가 깊음.
?~122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진(稹)@이진 - 이진(李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한재(寒齋) 이목(李穆)의 아우로, 이목의 《이평사집(李評事集)》에 개성(開城)으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진(稹)@박진 - 박진(朴稹)
조선 중종(中宗) 때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병과(兵科)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진(縉)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縉)@홍진 - 홍진(洪縉)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정승(政丞) 홍규(洪奎)의 아버지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2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진(縉)@배진 - 배진(裵縉)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배맹후(裵孟厚)의 아버지로, 감찰(監察)을 지냈으며 좌의정(左議政)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진(蓁) - 박진(朴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원종공신(原從功臣) 박인량(朴寅亮)의 아버지로, 판결사(判決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진(袗) - 유진(柳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성룡(柳成龍)의 아들로,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世臣)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안동(安東)의 병산서원(屛山書院)에 제향됨.
1582~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軫)@남진 - 남진(南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남세걸(南世傑)의 아들로, 세 살 때 부모를 여의고 외가(外家)에서 성장한 뒤 벼슬길을 접은 채 평생 독서를 일삼음.
1520~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진(軫) - 권진(權軫)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희정(權希正)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35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軫)@이진 - 이진(李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군량을 운반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進)@기진 - 기진(奇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기묘명현(己卯名賢) 기준(奇遵)의 형이고, 기대승(奇大升)의 아버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光州)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487~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진(進)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鎭)@조선전기 - 이진(李鎭)@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며,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맏아들로, 부원군(富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鎭)@조선후기 - 이진(李鎭)@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송응경(宋應慶)의 사위로, 선조 때 법을 어기고 서북 지방의 관기(官妓)를 데려다 거느리다가 추고(推考)의 처분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鎭)@유진 - 유진(柳鎭)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유돈(柳墩)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진(鎭)@김진 - 김진(金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낸 김순정(金順貞)의 아들이며, 우참찬을 지낸 김수현(金壽賢)의 아버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鎭) - 정진(鄭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진(鎭)@신진 - 신진(辛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신종원(辛宗遠)의 아버지로,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냄.
?~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震) -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遺民) 대조영(大祚榮)이 699년에 세운 나라. 중국 동북(東北) 지방ㆍ연해주(沿海州)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를 이룸. 14대 228년간 존속.
698~926 한국>발해 , 시간>국명
-
진(震)@안진 - 안진(安震)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제현(李齊賢) 등과 더불어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善王)ㆍ충숙왕 3조(朝)의 실록을 찬수하고, 공민왕 즉위 후 조일신(趙日新)의 일파가 되어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진(震)@이진 - 이진(李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震)@박진 - 박진(朴震)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진(震)@상진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震)@곽진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𡺽)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진^구(陳^歐) - 동^철(東^徹)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충신인 진동(陳東)과 구양철(歐陽澈)을 함께 부르는 말. 간신을 배척하고 국사(國事)를 바로잡으려다 피살된 충신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진^의(秦^儀) - 소^장(蘇^張)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모사(謀士) 소진(蘇秦)과 위(魏) 나라의 모사 장의(張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진^주(陳^周) - 평^발(平^勃)
중국 전한(前漢)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진평(陳平)과 주발(周勃)을 함께 부르는 말. 고조(高祖)가 죽은 후 득세한 여씨(呂氏) 일당을 몰아내고 문제(文帝)를 옹립하였으므로, 흔히 충신(忠臣)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진가모(陳嘉謨) - 진요자(陳堯咨)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지개봉부(知開封府)ㆍ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예서(隸書)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각국사(眞覺國師)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진감(眞鑑)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진감선사(眞鑑禪師)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진갑(晉甲)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강(振綱) - 김진강(金振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어록(語錄)을 기록한 것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5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강(晉康)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강(鎭江) - 박천강(博川江)
평안도 천마산(天馬山)에서 발원하여 청천강(淸川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 사행로이자 유람지임.
평안도>태천ㅣ평안도>박천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