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진강공(晉康公)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강군(晉康君) - 하식(河湜)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증조부로, 선관서 승(膳官署承)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군(晉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 - 하시원(河恃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륜(河崙)의 조부로, 식목도감 녹사(式目都監錄事)를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유정 - 유정(柳挺)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진주유씨(晉州柳氏)의 시조. 최충헌(崔忠獻)의 외조부로, 중서령(中書令) 좌우위(左右衛) 상장군(上將軍)에 이르렀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진강정(鎭江正) - 이찬(李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고, 옥산군(玉山君) 이제(李躋)의 다섯째 아들이며,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강후(晉康侯)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객(晉客)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진경(振卿) - 김탁(金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고령(高靈).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진경(晉卿)@황진 - 황진(黃溍)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혜종(惠宗) 때의 문신ㆍ학자. 시강학사(侍講學士) 등을 지내고, 게혜사(揭傒斯)ㆍ우집(虞集)ㆍ유관(柳貫)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저서로 《일손재필기(日損齋筆記)》ㆍ《황문헌집(黃文獻集)》이 있음.
1277~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경(晉卿) - 왕선(王詵)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 시(詩)와 사(詞)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ㆍ미불(米芾) 등과 친교가 깊었음.
1048~1104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진경(晉慶)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진경(晉景) - 경공(景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병이 들었을 때 두 아이[二豎子]가 고황(膏肓)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는데, 의원이 병이 고황에 들어 고칠 수 없다고 하였으며, 그 후에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경(眞卿) - 권식(權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權應昌)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뒤 통례랑(通禮郞)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경(眞卿)@안진경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진경(眞經)@진무경 - 진무경(眞武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별의 형체와 자취를 적은 책으로, 조선시대 도류취재(道流取才)의 시험 과목에 포함되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경(眞經) - 심경(心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가 선현(先賢)의 여러 책 가운데에서 심법(心法)에 관한 글들을 모아 엮은 책.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경(秦京) - 함양(咸陽)@중국
중국 섬서성(陝西省) 중앙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의 효공(孝公)이 이곳에 도읍하였고, 시황제(始皇帝)가 천하를 통일한 후 부호(富豪)들을 이주시켜 정치ㆍ경제ㆍ교통ㆍ문화의 중심지로 삼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진경(鎭卿) - 조철산(趙哲山)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옥천(玉川). 조숭문(趙崇文)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을 하다가 고신(告身)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진경(震卿)@권동보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진경(震卿)@유양춘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진경(震卿)@정사룡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경(震卿)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진경공(晉景公) - 경공(景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병이 들었을 때 두 아이[二豎子]가 고황(膏肓)으로 들어가는 꿈을 꾸었는데, 의원이 병이 고황에 들어 고칠 수 없다고 하였으며, 그 후에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공(晋公) - 범상(范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郎)을 지낸 범육(范育)의 아버지로, 지당주사(知唐州事)를 지냄.
?~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공(陳公)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진공자(晉公子) - 문공(文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35~B.C.628.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으로, 제(齊) 환공(桓公)에 이어 제후들의 패자(覇者)가 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광(晉狂)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교(晉喬)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진국(鎭國)@최하림 - 최하림(崔河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최계사(崔季思)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태학생으로 있을 때 승려인 학조(學祖)의 무리가 불상(佛像)을 이용하여 혹세무민(惑世誣民)하자, 그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문을 올림.
1454~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진국(鎭國) - 유용(柳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도호부사(都護府使) 유백손(柳伯孫)의 아들로, 양산 군수(梁山郡守)ㆍ전라우도 절도사(全羅右道節度使)를 지냈음.
1470~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진국(震國) -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遺民) 대조영(大祚榮)이 699년에 세운 나라. 중국 동북(東北) 지방ㆍ연해주(沿海州)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를 이룸. 14대 228년간 존속.
698~926 한국>발해 , 시간>국명
-
진국공(晉國公) - 정위(丁謂)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丞相) 구준(寇準)을 배척하였으나, 인종 때 애주(崖州)로 쫓겨나 죽음. 노다손(盧多遜)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奸臣)으로 꼽힘.
966~103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국공(陳國公)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군(秦君)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극재(陳克齋)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금(眞金) - 유종(裕宗)
중국 원(元) 세조(世祖)의 손자. 성종(成宗)의 아버지로, 이름은 진금(眞金)이며, 유종(裕宗)으로 추존되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기수(陳幾叟) - 진연(陳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관(陳瓘)의 질손(姪孫)이며 양시(楊時)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기지(陳器之)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남(振南) - 백진남(白振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 본관은 해미(海美)로,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 시부(詩賦)가 뛰어나 이이(李珥)의 칭찬을 받았고, 명사(明使)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할 때 주지번이 그의 필법과 문장을 보고 절찬함.
1564~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진남당(陳南塘)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내군(進乃郡) - 금산(錦山)
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과 영규(靈圭)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
전라도>금산 , 지명>행정지명
-
진내을군(進仍乙郡) - 금산(錦山)
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과 영규(靈圭)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
전라도>금산 , 지명>행정지명
-
진녀(秦女) - 농옥(弄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소사(簫史)의 고사에 나오는 진(秦) 목공(穆公)의 딸. 소사(簫史)에게 퉁소를 배워 함께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진녕군(晉寧君) - 강홍립(姜弘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신(姜紳)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진도(晉悼) - 도공(悼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572~B.C.558. 14세에 즉위한 뒤 국가 대정(大政)을 총괄하고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초(楚) 나라를 꺾고 천하의 패자(覇者)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도(晉鄙)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도(陳濤)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진도공(晉悼公) - 도공(悼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572~B.C.558. 14세에 즉위한 뒤 국가 대정(大政)을 총괄하고 인재(人才)를 등용하여 초(楚) 나라를 꺾고 천하의 패자(覇者)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도남(陳圖南)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진독청(進讀廳)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진동(辰仝)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동보(陳同父)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동보(陳同甫)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락(眞樂)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진락(眞樂)@이자현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진락당(眞樂堂)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진랑(眞娘) - 황진이(黃眞伊)
조선 종종(中宗) 때의 기생. 한시(漢詩)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며, 서경덕(徐敬德)ㆍ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술인>기생
-
진려(秦呂)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려(進礪) - 김진려(金進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평(司評)을 지낸 김이(金洢)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인 김반(金槃)을 사위로 맞았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고, 송익필(宋翼弼)이 만년에 그의 집에서 우거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진례군(進禮君) - 이형(李衡)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문무의 재질이 있어 경상 병사(慶尙兵使)로 있다가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름.
1426~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진록(晉祿) - 박진록(朴晉祿)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제학(提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민왕 때에는 신돈(辛旽)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 우왕 때에는 천도(遷都) 문제에 관여하였으며, 조준(趙浚)의 급진주의에 반대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진뢰(震雷) -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조선 선조(宣祖) 때 발명ㆍ사용되었던 화기(火器). 보물 제860호. 군기시(軍器寺)의 화포장(火砲匠) 이장손(李長孫)이 발명하여 임진왜란 때 그 위력을 발휘함.
한국>조선후기 , 물품>기타용품>무기
-
진류왕(陳留王)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명(眞明) - 혼원(混元)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제4대 종사(宗師)로, 수선사(修禪社)의 선풍(禪風)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 수선사ㆍ선원사(禪源社)ㆍ단속사(斷俗社)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
1191~1271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진명국사(眞明國師) - 혼원(混元)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제4대 종사(宗師)로, 수선사(修禪社)의 선풍(禪風)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 수선사ㆍ선원사(禪源社)ㆍ단속사(斷俗社)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
1191~1271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진목(秦穆) - 목공(穆公)@춘추전국(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9대 제후. 재위 B.C.660~B.C.621. 백리해(百里奚)를 등용하여 국력을 크게 신장시켜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하나가 됨.
?~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목정(眞木亭)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진무(晉武)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무경(陳茂卿)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무기(陳無己)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무제(晉武帝)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문(晉文) - 문공(文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35~B.C.628.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으로, 제(齊) 환공(桓公)에 이어 제후들의 패자(覇者)가 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문(進文) - 원진문(元進文)
조선 전기의 무신. 우후(虞侯)를 지냈으며,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함께 망선대(望仙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진방(秦房) -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장안(長安) 서쪽에 세운 궁전 이름. 진을 정복한 항우(項羽)에 의해 전소되었는데, 석 달에 걸쳐 불탔다고 함. 호화로움의 극치를 상징함.
B.C.212~B.C.206 중국>진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진백(搢伯) - 형개(邢玠)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조선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의 원군(援軍)으로 참전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에는 청산(青山)과 직산(稷山)에서 왜군을 무찌름.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16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진백(晉伯)@하진 - 하진(河溍)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각(李殼)의 문인(門人)으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에 임명되나 노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부임하지 않음. 효종 때 지평(持平)이 되어 김자점(金自點)의 전횡(專橫)을 논핵함.
159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백(晉伯) - 여대충(呂大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형으로, 하북전운판관(河北轉運判官) 등을 지내고,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백(進伯) - 여대충(呂大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형으로, 하북전운판관(河北轉運判官) 등을 지내고,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백(陳伯)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백(陳栢) - 진백(陳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선비가 공부하고 수양하는 절차를 말한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백사(陳白沙)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보(晉輔) - 왕현(王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며, 여조검(呂祖儉)의 사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보(眞寶) - 고문진보(古文眞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했다는 책. 주대(周代)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詩文選集).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부중(陳膚仲)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북계(陳北溪) - 진순(陳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부(主簿)를 지냄.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
1159~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북계자의(陳北溪字義)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북산(陳北山)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사(晉謝)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사(陳思)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진사왕(陳思王)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진사재(進思齋)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진산(晉山)@진주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산(晉山)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산강씨(晉山姜氏) - 진주강씨(晉州姜氏)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때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산고(晉山藁) - 사숙재집(私淑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강희맹(姜希孟)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初刊本)은 1483년(성종 14) 아들 강귀손(姜龜孫)이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함.
148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진산군(晉山君)@유인비 - 유인비(柳仁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버지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판시사(判寺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진산군(晉山君)@하륜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군(晉山君)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군(晉山君)@유홍 - 유홍(柳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북병사(北兵使) 등 변경 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8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산군(晉山君)@강시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