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진산군(晉山君)@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산군(晉山君)@하윤원 - 하윤원(河允源)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즙(河楫)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돈(辛旽)이 정사를 전횡할 적에 아첨하지 않고 지조를 지킴.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군(晉山君)@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백(晉山伯)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수(珍山副守) - 이륜(李倫)@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규보(奎甫) 박종문(朴宗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하윤원 - 하윤원(河允源)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즙(河楫)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돈(辛旽)이 정사를 전횡할 적에 아첨하지 않고 지조를 지킴.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강우덕 - 강우덕(姜友德)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강회백(姜淮伯)의 아들.
1385~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강시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 강맹경(姜孟卿)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짐. 1459년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410~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정헌 - 정헌(鄭櫶)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짐. 진주정씨(晉州鄭氏) 헌계(櫶系)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하륜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산소씨(晉山蘇氏) - 진주소씨(晉州蘇氏)
중국에서 이주하여 진한(辰韓)을 세웠다는 소백손(蘇伯孫)을 시조로 삼고, 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소경(蘇慶)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고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산유씨(晉山柳氏) - 진주유씨(晉州柳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진 유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산하씨(晉山河氏) - 진주하씨(晉州河氏)
고려 때 좌사낭중(左司郞中)을 지낸 하공진(河拱辰), 사직(司直)을 지낸 하진(河珍), 주부(主簿)를 지낸 하성(河成)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삼국사표(進三國史表) - 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
고려 인종(仁宗) 23년에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진헌하면서 올린 표(表). 《삼국사기》의 편찬 동기와 경위 등이 밝혀져 있으며, 《동문선(東文選)》 권44 표전(表箋)에 수록되어 있음.
1145 한국>고려전기 , 문헌>기타문헌
-
진상(鎭商)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진상인(眞上人) - 성진(性眞)
조선 전기의 승려. 시에 능했으며 사암(思菴) 박순(朴淳),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진상하(鎭上河) - 시례하(是禮河)
중국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 지역에 있는 하천 이름. 최부(崔溥)의 《표해록(漂海錄)》에 나옴.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진생(晉生)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진생(辰生) - 송진생(宋辰生)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서운관 정(書雲觀正)을 지낸 송지(宋祉)의 아들로,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냄.
1371~14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진서(鎭瑞)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진서산(眞西山)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서산집(眞西山集) - 서산집(西山集)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진석재(陳石齋)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성(晉成) - 성후(成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무후(武侯)의 아들이며, 여후(厲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성(珍城) - 단성(丹城)
경상남도 산청(山淸)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단계(丹溪)와 강성(江城)이 합해서 이루어짐.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진성(眞城)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성(秦城)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진성(辰星) - 수성(水星)
초저녁의 서쪽 하늘 혹은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잠깐 동안만 보이는 별 이름. 오성(五星) 가운데 북방(西方)을 상징하며, 겨울ㆍ흑색(黑色) 등에 해당함.
자연물>천체
-
진성(鎭星)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진성군(眞城君) - 이계양(李繼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정(李禎)의 아들이며, 청해군(淸海君) 이우(李堣)의 아버지로, 단종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예안(禮安)으로 낙향함.
1424~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진성대군(晉城大君)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진성여주(眞聖女主) -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제51대 왕. 재위 887~897. 경문왕(景文王)의 딸이자 헌강왕(憲康王)ㆍ정강왕(定康王)의 누이동생.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 각간(角干) 위홍(魏弘) 등에게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편찬하게 함.
?~89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진성이씨(眞城李氏) - 진보이씨(眞寶李氏)
고려 말에 생원(生員)으로 밀직사사(密直司使)에 증직된 이석(李碩)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집단>성씨
-
진성주(眞聖主) -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제51대 왕. 재위 887~897. 경문왕(景文王)의 딸이자 헌강왕(憲康王)ㆍ정강왕(定康王)의 누이동생.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 각간(角干) 위홍(魏弘) 등에게 향가집 《삼대목(三代目)》을 편찬하게 함.
?~89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진소양(陳少陽) - 진동(陳東)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이자 우국지사(憂國之士). 흠종 때 태학생(太學生)으로서 글을 올려 채경(蔡京)ㆍ동관(童貫) 등 6인의 복주(伏誅)를 청하였고, 고종이 남도(南渡)한 뒤에는 이강(李綱)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는데, 이 일로 인하여 구양철(歐陽澈)과 함께 죽임을 당함.
1086~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소왕(秦昭王) - 소양왕(昭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306~B.C.251. 주(周)의 난왕(赧王)을 항복시키고 육국(六國)의 합종(合縱) 세력을 격파하여 진 제국의 기초를 닦음. 조(趙)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취하려다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한 일로 유명함.
B.C.324~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손(晉孫) - 배진손(裵晉孫)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배규(裵規)의 아버지로, 고려 말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공부사(判工部事)를 지냄. 조선 개국 때 이성계(李成桂)를 도왔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진손(震孫) - 황진손(黃震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황계옥(黃啓沃)의 아버지로,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진솔(眞率)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진수(晉水) - 남강(南江)
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의 지류.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
경상도>함안ㅣ경상도>진주ㅣ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진수(眞粹) - 이진수(李眞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서거정(徐居正)과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 동행한 적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진수옹(陳壽翁)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숙(晉肅) - 이진숙(李晉肅)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종친. 시인 이하(李賀)의 아버지로, 미관말직에 있다가 일찍 죽음. 후에 이하가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하였을 때 진숙의 ‘진(晉)’과 진사의 ‘진(進)’이 음이 같으므로 피휘(避諱)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낙방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진숙보(陳叔寶)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술고(陳述古) - 진양(陳襄)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王安石)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
1017~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시황제(秦始皇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신성후(晋新城侯) - 장보(張輔)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목성(沐晟)과 함께 안남을 평정하는 등 여러 지방을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움.
1375~144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진신안(陳新安)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씨예기집설(陳氏禮記集說) - 예기집설(禮記集說)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진호(陳澔)가 지은 《예기(禮記》의 주석서(註釋書). 체계적으로 편찬되어 명대(明代)에 과거(科擧)의 전용서(專用書)로 사용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진씨집설(陳氏輯說) - 예기집설(禮記集說)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진호(陳澔)가 지은 《예기(禮記》의 주석서(註釋書). 체계적으로 편찬되어 명대(明代)에 과거(科擧)의 전용서(專用書)로 사용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진아(振兒) - 백진남(白振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 본관은 해미(海美)로,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 시부(詩賦)가 뛰어나 이이(李珥)의 칭찬을 받았고, 명사(明使)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할 때 주지번이 그의 필법과 문장을 보고 절찬함.
1564~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진안경(陳安卿) - 진순(陳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부(主簿)를 지냄.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
1159~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안군(鎭安君) - 진안대군(鎭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고려 창왕(昌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강회백(姜淮伯)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親朝)를 청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진안군(鎭安君)에 봉해짐.
1354~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진안부정(鎭安副正) - 이영남(李永男)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안왕(晉安王) - 유자훈(劉子勛)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 효무제가 죽은 후 하매(何邁)의 옹립을 받았으나 전폐제(前廢帝)의 방해로 실패함. 명제(明帝) 때 등완(鄧琬) 등이 거병하여 황제로 옹립하였으나, 싸움에 패한 뒤 심양(尋陽)에서 피살됨.
456~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진앙(晉鞅) - 조간자(趙簡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양자(趙襄子)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진애(眞厓)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진양(晉襄) - 양공(襄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문공(文公)의 아들. 문공이 죽고 장사 지내기 전에 출병(出兵)하게 되자, 상복을 검게 물들여 입고 전쟁에 나가 진(秦) 나라를 격퇴함.
?~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진양(晉陽)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진양(震陽)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진양강씨(晉陽姜氏) - 진주강씨(晉州姜氏)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때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를 지낸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구려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양공(晉陽公)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양군(晋陽君)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진양대군(晉陽大君)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진양백(晉陽伯) - 하윤린(河允潾)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아버지로, 선관서 승(膳官署丞)을 거쳐 순흥 부사(順興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추록되고,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짐.
1321~139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하윤린 - 하윤린(河允潾)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아버지로, 선관서 승(膳官署丞)을 거쳐 순흥 부사(順興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추록되고,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짐.
1321~139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양부정(晉陽副正) - 이옥정(李玉貞)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4대손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오르고,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李玉崑)과 함께 국문을 받음.
1513~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양수(鎭陽守) - 이영(李渶)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의 증손이고, 금천군(錦川君) 이변(李抃)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진양유씨(晉陽柳氏) - 진주유씨(晉州柳氏)
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진 유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양자(眞陽子)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진양정씨(晉陽鄭氏) - 진주정씨(晉州鄭氏)
고려 때의 인물인 정예(鄭藝)ㆍ정장(鄭莊)ㆍ정자우(鄭子友)ㆍ정헌(鄭櫶) 등을 각 시조로 삼아, 동성동본이면서 세계(世系)를 달리하는 각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집단>성씨
-
진양후(晉陽侯)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진여원(眞如院)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진역(珒逆)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진역화엄경소(晉譯華嚴經疏) - 화엄경소(華嚴經疏)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원효(元曉)가 지은 《화엄경(華嚴經)》의 주석서. 10권. 미완성본으로 전해오던 것을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원효의 《화엄종요(華嚴宗要)》와 합본하여 만듦.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진영(秦嬴)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영(震泳) - 오진영(吳震泳)
근대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간재학파(艮齋學派)의 대표적 인물. 의리론(義利論)을 앞세워 유교전통을 수호하고,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는 등 독립운동에도 참여함. 죽천집(竹川集) 간행에 관여함.
?~1944 한국>근대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학자
-
진영(震英) - 이진영(李震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진옥(振玉) - 탁진옥(卓振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맏아들로, 1468년(세조 14)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였으며, 사인(舍人)ㆍ검상(檢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진옥(鎭玉) - 김진옥(金鎭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승지(承旨)를 지낸 김만균(金萬均)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음보(蔭補)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대보단(大報壇)을 건의(建議)하여 설치됨.
1659~17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진옹(辰翁) - 유진옹(劉辰翁)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시인. 저서로는 《수계집(須溪集)》이 있으며, 《세설신어(世說新語)》에 평점을 찍어 소설 평점의 효시를 이루었음.
1232~12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옹(鎭翁) - 곽수강(郭壽岡)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1654년(효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658년 성균관에 들어가 경의(經義)를 연구하였으나, 대과(大科) 응시 전에 죽었음.
1619~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진완(陳完)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진왕(晉王)@안경서 - 안경서(安慶緖)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안녹산(安祿山)의 둘째 아들로, 편애에 불만을 갖고 아버지인 안녹산을 살해하였다가 사사명(史思明)에게 죽임을 당함.
?~759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진왕(晉王)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왕(晉王)@현종 - 현종(顯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왕. 태정제(泰定帝)의 아버지이며, 고려 충선왕(忠宣王)의 비(妃)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1263~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왕(晉王)@풍도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왕(秦王)@민제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왕(秦王)@시황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왕(秦王)@태종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진왕(鎮王)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진요옹(陳了翁)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용천(陳龍川)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우(鎭宇)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진원(珍原) - 이진수(李眞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서거정(徐居正)과 남원(南原) 축천정(丑川亭)에 동행한 적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진원(鎭遠)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진원(震元) - 박진원(朴震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6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진원군(晉原君)@강회계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