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진원군(晉原君)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원군(晉原君)@유근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원귀인(眞元貴人) - 효인황후(孝仁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어머니이고 효인황(孝仁皇)의 아내로, 영제 즉위 후 진원귀인(眞元貴人)으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강군보 - 강군보(姜君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계림 판관(鷄林判官)을 지낸 강창귀(姜昌貴)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 - 강창귀(姜昌貴)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음직으로 판도정랑(版圖正郞)에 오르고, 아들 군보(君寶)의 공적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유근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진원여(陳元輿) - 진헌(陳軒)
중국 송(宋)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관직으로 병부 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월인(秦越人) - 편작(扁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명의(名醫). 장상군(長桑君)에게 의학을 배워 금방(禁方)의 구전과 의서를 받아 명의가 됨. 흔히 인도의 기파(者婆)와 함께 명의의 대명사가 되고 있으며, 진(秦)나라의 태의령(太醫令)인 이혜(李醯)에게 죽음을 당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진위(進位) - 탁진위(卓進位)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시랑(侍郞) 탁난(卓蘭)의 둘째 아들이며, 탁이위(卓理位)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축구씨(祝鳩氏)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축담유(竺曇猷) - 법헌(法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시풍(始豊) 적성산(赤城山) 석실에서 선(禪)을 수행함. 최치원(崔致遠)의 진감화상비명(眞監和尙碑銘)에 기록이 있음.
423~49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축도생(竺道生) - 도생(道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 문하 4철(四哲)의 한 사람으로, 선불수보설(善不受報說)ㆍ돈오성불설(頓悟成佛說) 등을 주창하여 다른 학승들의 배척을 받다가 《열반경(涅槃經)》의 번역으로 학설을 인정받음.
?~4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축릉수(蹙凌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축반성(祝半城)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축불도징(竺佛圖澄) - 불도징(佛圖澄)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때 활동한 서역(西域)의 승려.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락하도록 하였고, 북방 민족을 불교문화로 교화하는 등 중국 초기 불교 발전에 공헌함.
232~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축산(竺山)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축섭마등(竺葉摩騰) - 가섭마등(迦葉摩騰)
고대 인도의 승려. 후한(後漢) 때 중국에 불법을 최초로 전하고 불경을 번역하였으며, 낙양(洛陽)에서 죽었음.
중국>후한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축예(縮曳)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축옹(畜翁) - 황효헌(黃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담론(談論)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 이행(李荇)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함.
1491~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축원(竺源) - 지천(智泉)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자초(自超)와 함께 원(元) 나라에 가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가 되었고, 귀국해서는 수행에만 전념하였음.
1324~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재령 , 인명>종교인>승려
-
축은(築隱)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축은(築隱)@정탁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춘(春)@조선 - 김춘(金春)@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응상(金應商)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춘(春)@고려 - 김춘(金春)@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춘(椿)@조춘 - 조춘(趙椿)
고려 전기의 무신. 평양조씨(平壤趙氏)의 시조.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로 송(宋) 나라에 가서 금(金) 나라를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송 나라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무신
-
춘(椿)@임춘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춘(瑃) - 왕춘(王瑃)
고려 제22대 강종(康宗)의 부마(駙馬). 강종 원년에 수령궁주(壽寧宮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춘간(春磵) - 강대수(姜大遂)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1612년(광해군 4)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승지(右承旨)ㆍ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646년(인조 24)에 영국공신(寧國功臣)에 녹훈되고, 합천(陜川)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91~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춘강(春江) - 여유길(呂裕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여이징(呂爾徵)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實錄)의 재간(再刊)에 참여하였으며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이름. 저서에 《춘강집(春江集)》이 있음.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박태무 - 박태무(朴泰茂)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박창윤(朴昌潤)의 아들로, 하정(河瀞)의 문인.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군량을 지원하고 가정(家丁)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씀. 남명(南冥) 학문의 계승과 선양에 공헌함.
1677~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춘경(春卿)@송춘경 - 송춘경(宋春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송명의(宋明誼)의 아버지로, 보성 군사(寶城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이수인 - 이수인(李守仁)@이준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인 이준(李埈)ㆍ이전(李㙉)의 아버지.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내고, 후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유만지 - 유만지(柳萬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후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춘경(春卿)@유탁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춘경(春卿)@이인 - 이인(李仁)@1524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손자이며, 이성군(伊城君) 이수강(李壽剛)의 아들.
152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경(春卿)@이규보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이수진 - 이수진(李守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손자이며, 이세걸(李世傑)의 아들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1482~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김춘경 - 김춘경(金春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민(金仁民)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황보인 - 황보인(皇甫仁)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을 지냄.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ㆍ정분(鄭奔)ㆍ이양(李穰)ㆍ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
1387~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이순인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한응인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경(春卿)@홍춘경 - 홍춘경(洪春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김생체(金生體)의 글씨에 능하고,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誌文)을 지음.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춘계(春桂) - 권춘계(權春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백인국(白仁國) 등과 교유함.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춘곡(春谷)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춘곡(春谷)@정탁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춘곡주인(春谷主人) - 박승언(朴承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30년(중종 2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黃海道) 평산(平山)에 우거(寓居)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춘관(春官) - 예조(禮曹)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 걸쳐 존속된 관청으로, 육조(六曹)의 하나. 1389년(공양왕 1) 예부(禮部)를 개칭하여 조선시대에 계승되었으며, 예의(禮儀)ㆍ제향(祭享)ㆍ조회(朝會)ㆍ교빙(交聘)ㆍ학교ㆍ과거(科擧)에 관한 일을 관장함.
1389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청
-
춘년(春年)@홍춘년 - 홍춘년(洪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고부 군수(古阜郡守)ㆍ봉상시 정(奉常寺正) 등을 지냄. 교서관(校書館) 별좌(別坐)로 있을 때 《두률우주(杜律虞註)》를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춘년(春年)@윤춘년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춘년(春年) - 이인숙(李寅叔)
조선 전기의 유학. 이정(李楨)의 《구암집(龜巖集)》에 그의 연갑(硯匣) 보자기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춘당(春堂) - 변중량(卞仲良)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며 사예(司藝) 변구상(卞九祥)의 아버지.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시에 능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참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춘당(春塘) - 박맹지(朴孟智)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세조(世祖)의 부름을 사양하고 함양(咸陽)에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성종 때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춘당(春塘)@유양춘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춘당(春塘)@이양 - 이양(李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인범(李仁範)의 아들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춘당(春塘)@박영덕 - 박영덕(朴盈德)
조선 전기의 문인.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무예(武藝)에도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춘당(春塘)@오수영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춘당문집(春塘文集) - 춘당집(春塘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오수영(吳守盈)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38년(헌종 4)에 후손이 간행함.
18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춘동(春童) - 김응기(金應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음.
1457~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춘란(春蘭) - 권춘란(權春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사간(司諫) 등을 지냈으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벗삼아 유유자적함.
1539~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춘령(春嶺) - 선춘령(先春嶺)
함경도 두만강(豆滿江)의 북쪽 칠백 리 지점에 있는 고개. 1107년(예종 2)에 윤관(尹瓘)이 여진족(女眞族)을 내쫓고 9성(城)을 쌓은 뒤 이곳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경계비(境界碑)를 세움.
함경도>회령 , 지명>자연지명
-
춘복(春福) - 이춘복(李春福)
조선 전기의 종친. 영성수(寧城守) 이경생(李敬生)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부(春富) - 이춘부(李春富)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1359년(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쳐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가 되고, 충근절의동덕찬화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功臣)에 책록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산(春山) - 김홍근(金弘根)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진급을 거듭하여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788~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춘산도정(春山都正)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산부령(春山副令)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산부정(春山副正)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산수(春山守)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산정(春山正)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성(春城)@덕원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춘성(春城) - 이위(李偉)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성군(春城君)@이수산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성군(春城君) - 이당(李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춘성령(春城令) - 이형(李珩)
조선 전기의 종친. 부사과(副司果) 이양필(李良弼)의 아들인 이종(李琮)의 사위로, 춘성령(春城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성부정(春城副正) - 이위(李偉)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수당(春睡堂) - 정수민(鄭秀民)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여창(鄭汝昌)의 증손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간행하고, 저서에 《춘수당집(春睡堂集》등이 있음.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
-
춘신(春申) - 춘신군(春申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재상. 춘추전국시대 사군(四君)으로 불렸고 태자 완(完)과 함께 진(秦) 나라에 인질로 붙잡혔다가 탈출하였으며, 효열왕(孝列王)이 즉위하자 재상에 임명되어 20년간 정치를 보좌함.
?~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춘양(春陽) - 이춘양(李春陽)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양군(春陽君) - 이래(李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셋째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춘양정(春陽正) - 이래(李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셋째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춘억(春億) - 이춘억(李春億)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옥(春玉) - 유천지(柳千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흡(柳洽)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춘옹(春甕)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춘원(春元) - 이춘원(李春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의(春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춘장(春長) - 허격(許格)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이안눌(李安訥)에게 수학하였는데 스승이 죽은 후 심상(心喪) 3년을 지내고 김상헌(金尙憲)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굴욕적인 강화로 끝나자 통곡하고 학문을 그만두었음.
1607~169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
-
춘전(春田)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춘전거사(春田居士)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춘정(春亭) - 하을지(河乙沚)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개경(開京)을 수복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여 문책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정(春亭)@변계량 - 변계량(卞季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ㆍ권근(權近)ㆍ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 오랜 기간 대제학(大提學)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1369~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춘정(春程) - 이춘정(李春程)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정선생문집(春亭先生文集) - 춘정집(春亭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변계량(卞季良)의 시문집. 12권 5책. 목판본. 문인 정척(鄭陟)이 찬집한 것을 유의손(柳義孫)ㆍ김서진(金瑞陳)이 교정하고, 경상도 감사(慶尙道監司) 권맹손(權孟孫)이 밀양(密陽)에서 간행함. 권제(權踶)의 서문과 안지(安止)의 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춘정유고(春亭遺稿) - 춘정집(春亭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변계량(卞季良)의 시문집. 12권 5책. 목판본. 문인 정척(鄭陟)이 찬집한 것을 유의손(柳義孫)ㆍ김서진(金瑞陳)이 교정하고, 경상도 감사(慶尙道監司) 권맹손(權孟孫)이 밀양(密陽)에서 간행함. 권제(權踶)의 서문과 안지(安止)의 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춘추서(春秋書)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오패(春秋五伯)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춘추전(春秋傳)@춘추공양전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주석서(註釋書)의 하나.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공양고(公羊高) 이래 공양가(公羊家)에서 가학으로 전승하여 완성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전(春秋傳) - 춘추삼전(春秋三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대표적인 세 가지 주석서(註釋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좌전(春秋左傳)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춘추찬례(春秋纂例) -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
중국 당(唐) 나라의 육질(陸質)이 춘추삼전(春秋三傳)의 내용을 배격하고 담조(啖助)와 조광(趙匡)의 학설을 보정(補訂)하여 엮은 책.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춘택(春澤) - 김춘택(金春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종조부 김만중(金萬重)에게 수학하고, 노론(老論)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구운몽(九雲夢)》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
1670~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