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춘향(春香) - 성춘향(成春香)
우리나라 대표적 고전소설인 《춘향전(春香傳)》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전라도 남원(南原)의 퇴기(退妓)인 월매(月梅)의 외동딸로, 사또의 아들인 이몽룡(李夢龍)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고난 속에서도 수절(守節)하는 여인으로 그려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춘헌(春軒)@최문도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춘헌(春軒)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춘형(春亨) - 이춘형(李春亨)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처인수(處仁守) 이성종(李盛終)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춘호(春湖) - 유영경(柳永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오름. 소북(小北)의 영수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옹립을 꾀하려다 죽임을 당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관작이 복구됨.
1550~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춘호(春豪) - 박춘호(朴春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의병ㆍ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손자. 박근제(朴根悌)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창의(倡義)하여 의병을 모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출(秫)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출강(出姜) - 애강(哀姜)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장공(莊公)의 부인. 제(齊) 나라 희공(釐公)의 딸이자 환공(桓公)의 여동생.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慶父)와 사통하여 노 나라를 문란하게 했다 하여 오빠인 환공의 명령에 의해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충(充) - 가충(賈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예주 자사(豫州刺史)를 지낸 가규(賈逵)의 아들. 무제(武帝) 때 상서복야(尙書僕射)로 《진율령(晉律令)》을 편찬함. 두 딸이 태자비(太子妃)와 제왕비(齊王妃)가 되었는데, 태자비는 후에 혜가황후(惠賈皇后)가 되어 횡포를 부려 팔왕(八王)의 난을 초래함.
217~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冲)@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충(冲)@신충 - 신충(申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사예(司藝)를 지낸 신여즙(申汝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충(冲)@조충 - 조충(趙冲)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명종 때 음서(蔭敍)로 내시(內侍)에 임명됨. 1219년 몽고(蒙古)ㆍ동진(東眞)군과 연합하여 거란군(契丹軍)의 항복을 받고 몽고군 원수인 합진(哈眞)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공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에 오름.
1171~122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충(冲) - 김충(金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호조 정랑(戶曹正郞)ㆍ교감(校勘)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내고,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을 지음.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충(忠)@목충 - 목충(睦忠)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사천(泗川).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목인길(睦仁吉)의 종제(從弟). 1363년(공민왕 12) 공민왕을 호종(護從)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이 되었고, 홍건적(紅巾賊)을 막아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忠)@한충 - 한충(韓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주부(主簿) 한창유(韓昌愈)의 아들. 종계변무(宗系辨誣) 주청사(奏請使) 남곤(南袞)의 서장관(書狀官)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죽음.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충(忠)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忠)@성충 - 성충(成忠)
백제 의자왕(義慈王) 때의 문신. 656년 좌평(佐平)으로 있을 때,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왕이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극간하다가 옥에 갇혀 단식 끝에 죽음.
?~656 한국>백제 , 인명>관인>문신
-
충(忠)@원충 - 원충(元忠)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부(元傅)의 손자. 충선왕(忠宣王)의 총애로 왕씨(王氏)를 하사받아 이름을 왕주(王鑄)로 바꾸고,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추성좌리공신(推誠佐理功臣)에 봉해짐.
1290~133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沖)@반충 - 반충(潘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지극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충효로써 정려함. 《약포집(藥圃集)》과 《학사집(鶴沙集)》에 묘지(墓誌)와 비명(碑銘)이 실려 있음.
1508~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충(沖) - 양충(梁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희부(梁希傅)의 아버지로, 돈용교위(敦勇校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충(衷) - 권충(權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형.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고 진하사(進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역임함.
1352~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간(忠侃)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김속명 - 김속명(金續命)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1361년(공민왕 10)에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녹훈되고,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충혜왕(忠肅王)의 비(妃)인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인척으로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함.
?~138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개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동표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조종영 - 조종영(趙鍾永)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고, 우참찬(右參贊)에 이름.
1771~18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조정 - 조정(趙鼎)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정이(程頤)의 제자. 재상(宰相)으로서 국력 배양에 진력하다가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파직되어 적소(謫所)에서 단식으로 항거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윤승순 - 윤승순(尹承順)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윤척(尹陟)의 아들로, 공민왕 때 신돈(辛旽)을 살해하려던 일이 누설되어 유배됨. 창왕(昌王) 때 권근(權近)과 함께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냄.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충간(忠簡)@정황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조석문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윤지표 - 윤지표(尹之彪)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재상. 본관은 해평(海平). 윤석(尹碩)의 아들로, 충혜왕의 폐신(嬖臣)이었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재등용되었으며,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윤현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순평군 - 순평군(順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기씨(淑儀奇氏)의 소생으로, 설존(薛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충간(忠簡)@임성미 - 임성미(林成味)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밀직부사(密直副使)ㆍ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으로 삼사우사(三司右使)에 제수됨.
?~13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왕개 - 왕개(王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왕야(王埜)의 아버지로,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에게 배웠음. 직언(直言)을 잘하였고 집영전 수찬(集英傳修撰)을 역임함.
1158~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산보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숭원 - 이숭원(李崇元)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보정(李補丁)의 아들로,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28~14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김보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백문보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 - 곽부(郭郛)
고려 후기의 문신. 곽원진(郭元振)의 손자. 본관은 현풍(玄風). 추충익대공신(推忠翊戴功臣)으로, 벼슬이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민환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임현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부백성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이성중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남지 - 남지(南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경문(南景文)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돈. 문종(文宗)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端宗) 보필에 관한 고명(顧命)을 받았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풍질(風疾)로 인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간(忠簡)@양백연 - 양백연(楊伯淵)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평정한 공으로 추성익위공신(推誠翊衛功臣)에 책록되고,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격퇴하였으나, 후에 이인임(李仁任) 등의 미움을 받아 합주(陜州)로 귀양 갔다가 살해됨.
?~137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간(忠簡)@호전 - 호전(胡銓)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으로 금(金)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 간신 진회(秦檜)ㆍ왕륜(王倫)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資政殿學士) 등을 지냄.
110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구인기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김권 - 김권(金權)@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全州)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짐.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강계(江界)ㆍ무안(務安)으로 유배되어 죽음.
1549~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간(忠簡)@오윤겸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갑(冲甲)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갑(忠甲)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剛)@김제민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剛) - 송간(宋侃)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남방을 순시하고 돌아오다가 단종(端宗)이 영월(寧越)에 안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영월로 가서 복명(復命)한 후 낙향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剛)@박쟁 - 박쟁(朴崝)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ㆍ도총관(都摠管) 등을 지냄.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며 세조ㆍ한명회(韓明澮)ㆍ권람(權擥)ㆍ정인지(鄭麟趾) 등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김질(金礩)의 밀고로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사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충강(忠康)@김세필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康)@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康)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충강(忠康)@이승언 - 이승언(李承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충개(忠介) - 김제(金濟)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杜門洞) 칠십이현(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충거(冲擧) - 임붕(林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건(忠楗)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충결(忠潔)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충겸(忠謙)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경(冲鏡)@혼원 - 혼원(混元)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제4대 종사(宗師)로, 수선사(修禪社)의 선풍(禪風)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 수선사ㆍ선원사(禪源社)ㆍ단속사(斷俗社)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
1191~1271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충경(冲鏡) - 천영(天英)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5세 국사(國師)로, 1236년(고종 23) 승과(僧科)에 급제함. 수선사 제3세인 청진국사(淸眞國師)의 교화를 받고 제4세인 진명국사(眞明國師)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복구(復邱)를 출가시킴.
1215~1286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충경(忠卿)@조방좌 - 조방좌(趙邦佐)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조사수(趙士秀)의 아버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卿) - 신의충(申義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교감(校勘) 지낸 신억수(申億壽)의 아들이자, 신각(申恪)의 아버지로, 홍섬(洪暹)이 지은 만시(挽詩)가 《인재집(忍齋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敬)@원종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경(忠敬)@정충경 - 정충경(鄭忠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대제학(大提學) 정역(鄭易)의 아들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경(忠敬)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경(忠敬)@이양 - 이양(李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ㆍ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손자이며, 완천군(完川君) 이숙(李淑)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피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충경(忠敬)@윤관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敬)@권오복 - 권오복(權五福)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일손(金馹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
1467~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敬)@목성 - 목성(沐晟)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서평후(西平侯) 목영(沐英)의 아들.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장보(張輔)와 함께 안남을 평정함.
?~143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충경(忠景)@신임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김익복 - 김익복(金益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찰방(察訪)을 지낸 김광(金光)의 아들이며, 노진(盧禛)의 문인.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
1551~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윤사로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경(忠景)@정효전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경(忠景)@조광원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심명세 - 심명세(沈命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청운군(靑雲君)에 봉해졌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87~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화의군 - 화의군(和義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첫 번째 서자. 영빈강씨(令嬪姜氏)의 소생으로, 형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모의한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익산(益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충경(忠景)@유량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유성원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유백증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경(忠景)@신점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경(沖卿) - 신담(申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申永源)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1519~15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충경왕(忠敬王)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공(忠公)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관(忠寬) - 유충관(柳忠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몽인(柳夢寅)의 조부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충국(充國) - 조충국(趙充國)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흉노의 정벌에 많은 공을 세워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걸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 - 호성공신(扈聖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이항복(李恒福)ㆍ정곤수(鄭崐壽) 등 총 86인에게 내림.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 - 호성공신(扈聖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이항복(李恒福)ㆍ정곤수(鄭崐壽) 등 총 86인에게 내림.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 - 호성공신(扈聖功臣)
조선 선조(宣祖) 37년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이항복(李恒福)ㆍ정곤수(鄭崐壽) 등 총 86인에게 내림.
160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충기(忠基) - 정충기(鄭忠基)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을 지낸 정탁(鄭鐸)의 아버지로,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충길(忠吉)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남(忠南) - 김충남(金忠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광산(光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충녕군(忠寧君)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충녕대군(忠寧大君)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