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충장(忠莊)@이보흠 - 이보흠(李甫欽)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玄寶)의 아들로,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社倉法)을 실시함. 세조 때 단종복위(端宗復位)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絞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충재(冲齋)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재(忠齋) - 최문한(崔文漢)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충숙왕(忠肅王)의 부마(駙馬)로, 삼중대광 판군기시사(三重大匡判軍器寺事)를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강화(江華)에 둔거(遯居)하였다가 강릉(江陵)으로 이적(移籍)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충재(盅齋)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충재선생문집(冲齋先生文集) - 충재집(冲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권벌(權橃)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현종(顯宗) 때 후손 권목(權霂) 등이 봉화(奉化)의 삼계서원(三溪書院)에서 간행함.
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문헌>서명
-
충재일고(冲齋逸稿) - 충재집(冲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권벌(權橃)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현종(顯宗) 때 후손 권목(權霂) 등이 봉화(奉化)의 삼계서원(三溪書院)에서 간행함.
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문헌>서명
-
충절(忠節)@길재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충절(忠節)@정성근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절(忠節)@이충절 - 이충절(李忠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훈도(訓導) 이영무(李英茂)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충절(忠節) - 김사혁(金斯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개경(開京)에 침입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함.
?~13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충절(忠節)@황서 - 황서(黃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장인. 첨의평리(僉議評理)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장만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건의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권벌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김기종 - 김기종(金起宗)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으며, 그 평정과정을 《서정록(西征錄)》으로 편찬함.
158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황보인 - 황보인(皇甫仁)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을 지냄.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ㆍ정분(鄭奔)ㆍ이양(李穰)ㆍ조극관(趙克寬)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
1387~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김약시 - 김약시(金若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진현관 직제학(進賢館直提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광주(廣州) 산골에 은거함. 두문동 칠십이현(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조여우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충정(忠定)@유빈 - 유빈(柳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뒤에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역임했음.
?~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장영 - 장영(張詠)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익주(益州)ㆍ항주(杭州) 등 지주사(知州事)로 나가 목민관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내직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추밀직학사(樞密直學士) 등을 지냈음.
946~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이귀 - 이귀(李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정화(李廷華)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함. 임진왜란 때 난후 수습에 힘쓰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성공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57~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임언수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유안세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성희안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 - 손부(孫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휘종(徽宗) 때 소식(蘇軾)과 언론(言論)이 같다는 이유로 기주(蘄州)에 안치되기도 하였으며, 상서우승(尙書右丞)과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역임함.
1078~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권징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定)@이강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홍자번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이준경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이세백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이서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정(忠正)@홍익한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正)@한연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정(忠貞)@김전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정홍익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이후원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정창손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박심문 - 박심문(朴審問)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성삼문(成三問) 등 육신(六臣)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
1408~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이홍주 - 이홍주(李弘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공을 크게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애책문(哀冊文)을 지음.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62~163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권협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김덕함 - 김덕함(金德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홍(金洪)의 아들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복직되어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유충정 - 유충정(柳忠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유해(柳瀣)의 아들로, 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뒤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나주(羅州)에 장춘정(藏春亭)을 지음.
150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충정(忠貞)@정대년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목서흠 - 목서흠(睦敍欽)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목첨(睦詹)의 아들이며, 목겸선(睦兼善)의 아버지.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남한산성에서 호종(護從)함.
1572~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이성윤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충정(忠貞)@오두인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민신 - 민신(閔伸)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단종을 보호하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首陽大君)에 의해 참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조상치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조계상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貞)@최흥원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유순익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김응남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윤형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한응인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탁도민 - 탁도민(卓道敏)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맏아들로, 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하원길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조인옥 - 조인옥(趙仁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전법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47~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정응두 - 정응두(丁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정옥형(丁玉亨)의 아들로,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유탁 - 유탁(柳濯)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고흥(高興).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張士誠)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11~1371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정(忠靖)@이희필 - 이희필(李希泌)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우왕 때 최영(崔瑩) 등과 함께 왜구를 무찔러 공을 세움. 《양촌집(陽村集)》에 권근(權近)이 지은 만사(挽辭)가 실려 있음.
?~137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충정(忠靖)@마천목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충정(忠靖)@송거신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정(忠靖)@우현보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 - 권고(權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권단(權㫜)이며,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 권보(權溥).
1294~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신준 - 신준(申埈)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정(忠靖)@심열 - 심열(沈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송(靑松). 심예겸(沈禮謙)의 아들로, 숙부 심충겸(沈忠謙)에게 출계(出系)함.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고, 탁지(度支)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
1569~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충정(忠靖)@박숭원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정공(忠靖公)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좌(忠佐)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충준(忠俊) - 황충준(黃忠俊)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창원황씨(昌原黃氏)의 시조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충지(冲之)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충천대장(衝天大將) - 황소(黃巢)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 농민반란군의 영수. 조주(曹州) 원구(冤句) 사람으로 농민반란군의 영수였던 왕선지(王仙芝)의 뒤를 계승하여 한때 당 나라의 수도인 장안(長安)을 점령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관군의 반격으로 자살함.
?~884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충철위(衝鐵衛) - 내금위(內禁衛)
조선시대 임금의 호위와 궁중의 엄호를 맡은 군대 조직. 1407년(태종 7)에 설치되었으며, 장번군(長番軍)으로서 엄격한 시험을 통해 선발됨. 주로 양반의 자제로 편제되었으며, 다른 병종보다 후대를 받음.
14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직
-
충학(沖鶴) - 오충학(吳沖鶴)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고창(高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수홍(吳守弘)ㆍ오수채(吳守蔡)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관인>무신
-
충한(冲漢) - 김충한(金冲漢)
고려 후기의 유학.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충허지덕진경(沖虛至德眞經) - 열자(列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인 열어구(列禦寇)의 저서. 8권 8편. 노자(老子)의 청허무위(淸虛無爲)의 사상을 따라 서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충허진경(沖虛眞經) - 열자(列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인 열어구(列禦寇)의 저서. 8권 8편. 노자(老子)의 청허무위(淸虛無爲)의 사상을 따라 서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충헌(忠憲)@김창집 - 김창집(金昌集)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협(金昌協)의 형. 노론(老論)의 대표 인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나,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延礽君:영조)를 세웠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임을 당함.
1648~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윤선도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이경휘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 - 권위(權韙)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조부. 원조(遠祖)는 태사(太師) 김행(金幸)인데, 고려 태조(太祖)에게서 권(權)이라는 성을 하사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윤전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임백령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헌(忠憲)@서명선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김익훈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조원길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장준 - 장준(張浚)
중국 송(宋) 나라의 무신.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아버지로, 고종(高宗) 때 선무사(宣撫使)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金)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秦檜)에 의해 폄적(貶謫)됨.
1097~11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충헌(忠獻)@조보 - 조보(趙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조(太祖)의 총애를 받았고 내외의 치정(治政)에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번진(藩鎭) 해체와 금군(禁軍)의 강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송조(宋朝)의 지배체제를 확립함.
922~99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 - 신잡(申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으로 활약하였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1~160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장정필 - 장정필(張貞弼)
고려 태조(太祖) 때의 공신(功臣).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이기는 데 크게 공을 세움.
898~978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정민시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충헌(忠獻)@최충헌 - 최충헌(崔忠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최원호(崔元浩)의 아들.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집권한 후 강력한 독점 권력을 행사했으며,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마련함.
1149~121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헌(忠獻)@한기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