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악집(東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문신ㆍ문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원집 26권과 속집으로 구성됨. 1639년(인조 17) 재종질인 이식(李植)과 조카 이침(李梣)이 수집, 편차하여 전주(全州)에서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이승휴(李承休)의 문집. 잡저(雜著) 1권과 행록(行錄) 4권. 이연종(李衍宗)이 수집 편차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이색(李穡)이 서(序)를 씀.
1359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암(同菴)
고려 후기의 승려. 경기도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 대장각(大藏閣)의 공사를 감독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종교인>승려
-
동암집(東菴集)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인 동암(東菴) 이진(李瑱)의 저서.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애선생실기(桐崖先生實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안중묵(安重默)의 유문(遺文)과 사적(事蹟) 관련 기사를 모아 편찬한 실기(實記). 1책 32장. 신식활자본(新式活字本). 후손 안장순(安章淳)이 1967년에 간행함.
196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약(僮約)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인인 왕포(王褒)가 지은 문권(文券). 노예(奴隷)가 한 번 팔려 가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주인이 시키는 대로 조금도 거역 없이 해내야 한다는 노예의 계약(契約)을 서술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동원집(東園集)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김귀영(金貴榮)의 문집. 8세손인 김우현(金禹鉉)이 저자의 시문을 정리하고, 1934년 12세손 김교희(金敎熙)가 편찬하여 1935년에 간행함. 3책.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월(董越)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조선 성종(成宗) 때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의 풍토(風土)를 부(賦)로 읊은 《조선부(朝鮮賦)》를 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신라부터 조선 선조(宣祖) 때까지 유학자들의 사우(師友) 관계를 밝혀 놓은 책. 37권 19책. 필사본. 1682년(숙종 8)에 편집하고, 뒤에 문인인 이세환(李世瑍)이 보편(補編)함.
168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은집(峒隱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인 이의건(李義健)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후손 이후원(李厚源)과 심덕조(沈德祖)가 간행함.
16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음구화(桐陰舊話)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한원길(韓元吉)이 지은 책. 한씨 집안의 옛 이야기를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의보감(東醫寶鑑)
조선 선조(宣祖) 때 태의(太醫)인 허준(許浚)이 지은 의서(醫書). 25권 25책. 목판본. 1613년(광해 5) 내의원(內醫院)에서 간행함. 내경ㆍ외형ㆍ잡병ㆍ탕액ㆍ침구 등 5대 강편 아래, 각 질병에 따라 병론과 약방을 열거하고, 각 병증을 따르는 단방(單方)과 침구법, 경험방을 붙임.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인시화(東人詩話)
조선 성종(成宗) 때 문신ㆍ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시화집(詩話集). 상하 2권 2책. 신라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화(詩話)를 모아 엮은 최초의 순수시화집으로서 문학사적인 가치가 큼. 1475년(성종 6)에 간행함.
1475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일원(董一元)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배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동정기략(東征紀略)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 문신인 왕사기(王士琦)가 지은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동정집(東亭集)
고려 우왕(禑王) 때 문신인 염흥방(廉興邦)의 문집.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그 이름이 전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정집(桐亭集)
고려 말~조선 전기 문신인 윤소종(尹紹宗)의 문집.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의 찬집목록(纂輯目錄)에 그 이름이 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정호(洞庭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부에 있는 가장 큰 민물 호수. 양자강(揚子江)의 흐름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며, 예로부터 명승지(名勝地)로 유명하여 많은 시인들의 소재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주유고(東洲遺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제원(成悌元)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후손 성기운(成璣運)이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병준(宋秉俊)과 성기운의 발문이 있음.
190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주집(東洲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어득강(魚得江)의 문집.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과 《해동잡록(海東雜錄)》에 그 이름이 전함. 1558년(명종 13) 경상 감사(慶尙監司) 오겸(吳謙)이 편집 간행함.
155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중서(董仲舒)
중국 전한(前漢)의 유학자ㆍ문신. 유교를 한(漢) 나라의 국교로 삼도록 무제(武帝)를 설득하고, 《춘추번로(春秋繁露)》등의 저서를 남김.
B.C.176?~B.C.10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진(董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하였고, 태부(太傅)에 추증됨. 한유(韓愈)가 시호(諡號)를 청하기 위해 행장(行狀)을 지음.
724~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차집(東槎集)
조선 중종(中宗)때 중국 사신과 접반사들이 수답한 시를 묶은 시집. 1521년(중종 16) 중국 사신인 당고(唐皐)와 사도(史道)가 조선에 왔을 때 접반사 이행(李荇), 종사관 정사룡(鄭士龍)ㆍ소세양(蘇世讓) 등이 시를 수답함.
152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천(銅川)
중국 섬서성(陝西省)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낙양(洛陽)에서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춘당집(同春堂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집. 목판본. 1682년(숙종 8)에 왕명으로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을 준비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정하여 1687년(숙종 13)경에 간행함. 목록 1권, 원집 24권을 합쳐 13책.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취병산(東翠屛山)
경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동탁(董卓)
중국 후한(後漢)의 장군. 낙양(洛陽)에 입성하여 소제(少帝)를 폐하고, 헌제(獻帝)를 옹립하여 정권을 잡음. 장안(長安)으로 천도 후에도 횡포가 심하였으며 사도(司徒) 왕윤(王允)의 모략에 걸려 부장 여포(呂布)에게 살해됨.
?~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동파관(東坡館)
경기도 판문점(板門店) 부근의 임진강변에 위치한 객관(客館). 선조(宣祖)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북진하는 왜적을 피해 평양(平壤)으로 가던 도중 이곳에서 묵음.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관사
-
동파전집(東坡全集)
중국 북송(北宋)의 정치가이며 문학가인 소식(蘇軾)의 시문집. 《동파집(東坡集)》40권과 《동파후집(東坡後集)》20권에 《주의(奏議)》ㆍ《내제집(內制集)》ㆍ《외제집(外制集)》ㆍ《응소집(應詔集)》ㆍ《속집(續集)》을 합친 것을 이름. 11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파집(東坡集)
중국 송(宋) 나라의 최고 시인이자 문학가인 소식(蘇軾)의 시문집(詩文集). 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평관(東平館)
조선시대에 일본 사신(使臣)이 조선에 왔을 때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했던 객관(客館). 현재의 서울 인사동(仁寺洞) 자리에 위치했음.
서울 , 유적>건물>관사
-
동평집(東平集)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인 공풍(鞏豊)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상원사(上願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로, 조선 세조(世祖) 때 사액(賜額)됨.
724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찰
-
동한진송소상부동(東漢晉宋所尙不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개청(鄭介淸)이 쓴 책. 주희(朱熹)의 글을 읽고 합치되는 뜻을 모아 한편으로 만든 책.
158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현(董賢)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애제(哀帝)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르다 애제가 죽은 후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호문답(東湖問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지은 글. 1569(선조 2) 이이가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로 독서당(讀書堂)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면서 쓴 것으로, 자신의 정치관(政治觀)을 문답식으로 서술하여 선조에게 올림.
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동호집(東湖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변영청(邊永淸)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변정수(邊正銖) 등이 편집해 1860년(철종 11) 변주건(邊疇建)ㆍ변용기(邊鏞夔) 등이 간행함.
18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혼후(東昏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498~501. 총희(寵姬) 반비(潘妃)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동환봉사(東還封事)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중봉(重峯) 조헌(趙憲)이 1574년(선조 7)에 성절사행(聖節使行)을 다녀와 올린 상소를 편차하여 엮은 책. 1622년(광해군 14) 안방준(安邦俊)이 편집하여, 1626년(인조 4)에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에서 간행함.
162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두^백(杜^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백거이(白居易)를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소(杜^蘇)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두보(杜甫)와 송(宋) 나라의 시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우(斗^牛)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두성(斗星)과 우성(牛星)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북방(北方)의 현무칠수(玄武七宿)에 속한 별로, 두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우성은 견우성(牽牛星)을 이름.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한^소(杜^韓^蘇)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두보(杜甫)ㆍ한유(韓愈)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감(杜淦)
중국 송(宋) 나라 사람. 사수(泗水) 부근에 살면서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수모를 견디고 벼슬하는 것에 비하면 농사짓는 것이 낫다고 말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두강(杜康)
중국 고대 황제(黃帝) 때의 재인(宰人)으로 맨 처음 술을 만들었던 사람. 혹은 주(周) 나라 때 술을 잘 만들기로 유명한 사람임. 술의 이칭(異稱)으로도 쓰임.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두건덕(竇建德)
중국 수(隨) 말~ 당(唐) 초의 무장(武將). 수 나라 말기에 하북(河北) 지방에 하(夏) 나라를 세웠으나, 621년 당 나라의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하여 장안(長安)에서 참수(斬首)됨.
573~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두겸(杜兼)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호주 자사(濠州刺史)ㆍ하남 윤(河南尹) 등을 역임하였는데, 두우(杜佑)의 보살핌을 받았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고(竇固)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장제(章帝) 때의 장수. 흉노족(匈奴族)을 공격하고 물리치는 공을 세웠음.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두곡집(杜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고응척(高應陟)의 문집. 2권 1책. 필사본.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부분 소실되고 그 나머지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두공부집(杜工部集)
중국 최고의 시인(詩人)으로서 시성(詩聖)이라 일컬어지는 당(唐) 나라 두보(杜甫)의 시문집(詩文集). 북송(北宋)의 왕수(王洙)가 편찬함. 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두광국(竇廣國)
중국 한(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외척. 문제(文帝)의 황후의 아우이자, 경제(景帝)의 외삼촌으로, 문제는 장안(長安)에 거처케 하며 벼슬을 주지 않았으나, 경제는 장무후(章武侯)에 봉해 줌.
?~B.C.1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두도(杜度)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재상ㆍ서예가. 초서(草書)에 능통하여 장제의 총애를 받았는데, 그 법을 최원(崔瑗)ㆍ최식(崔寔) 부자가 이어받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두도(竇滔)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장군. 진주 자사(秦州刺史)를 지냈으나 죄를 지어 귀양을 가자, 그의 아내 소혜(蘇蕙)가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무(杜撫)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문신ㆍ학자. 경백(敬伯) 등과 함께 설한(薛漢)에게 수학하고 《한시장구(韓詩章句)》를 편정하였으며, 공거령(公車令) 등을 지냄. 후에 낙향하여 1천여 명의 제자를 배출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무(竇武)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의 비(妃)인 두후(竇后)의 아버지. 진번(陳蕃)과 함께 국정을 보필하였으며, 환제가 죽은 뒤 영제(靈帝)를 옹립하여 이응(李膺)ㆍ두밀(杜密)과 함께 환관 조절(曹節)ㆍ왕보(王甫) 등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자결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두문동(杜門洞)
경기도 개풍군(開豐郡) 광덕면(光德面) 광덕산(廣德山) 서쪽 기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이성계(李成桂)의 조선 건국에 반대한 고려의 유신(遺臣)들이 모여 살다가 몰살당한 곳으로 유명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두문동서원(杜門洞書院)
1934년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을 배향하기 위해 개성(開城)에 세운 서원. 임선미(林先味)의 후손 임하영(林河永)이 주동이 되어 창건함.
1934 한국>근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조선 건국 후 출사(出仕)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함으로써 고려 왕조에 대해 충절을 지킨 고려의 유신 72인.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기타집단
-
두밀(杜密)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천하의 보필 두주보(天下良輔杜周甫)’라는 칭호를 받은 명신(名臣)으로, 팔준(八俊)의 한 사람. 당고지화(黨錮之禍)로 희생됨.
?~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범(杜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직언(直言)을 잘 하였음.
?~12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보(杜保)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함.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말한 ‘화호유구(畵虎類狗)’에 나오는 인물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성(斗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여덟째 별자리. 두수(斗宿)라고도 하며, 북두칠성(北斗七星)을 달리 부르는 말.
자연물>천체
-
두시(杜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횡포한 장군 소광(蕭光)을 격살(格殺)하고, 역적 양이(楊異) 등을 주벌함. 크게 선정을 베풂.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시언해(杜詩諺解)
조선 성종(成宗) 때 유윤겸(柳允謙) 등의 문신들과 승려 의침(義砧)이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한시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본문과 주석을 언해한 책. 1481년(성종 12)에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함.
14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두심언(杜審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두보(杜甫)의 할아버지로,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 등을 지냄. 이교(李嶠)ㆍ최융(崔融)ㆍ소미도(蘇味道)와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여회(杜如晦)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문학관(文學館)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방현령(房玄齡)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음. 태종(太宗) 즉위 후 태자좌서자(太子左庶子)ㆍ병부 상서(兵部尙書)ㆍ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의 요직을 맡은 명신(名臣)임.
585~63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연(杜衍)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재상이면서도 매우 검소하였으며, 청렴강직하기로 이름남. 부필(富弼) 등과 함께 많은 개혁을 함. 사위가 죄를 지어 재상에서 물러남.
978~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영(斗英)
조선 전기의 승려.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관련된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두영(竇嬰)
중국 전한(前漢) 때의 외척ㆍ문신. 효문후(孝文后) 두씨(竇氏)의 조카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승상(丞相)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 뒤에 효경후(孝景后)의 노염을 사서 기시(棄市)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두예(杜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학자.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평정하여 당양현후(當陽縣侯)에 봉해짐. 춘추의례설(春秋義例說)을 확립하고, 춘추학으로서의 좌씨학을 집대성함.
222~2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두우(杜佑)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에 힘썼음. 역사연구가로, 《통전(通典)》을 저술함.
73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우(杜宇)
중국 촉(蜀)의 국왕. 왕위를 빼앗기고 나라를 그리워하며 울다가 죽어서 두견(杜鵑)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음.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두유(杜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남송(南宋) 이종(理宗) 단평(端平) 연간에 비각교수(秘閣校讐)를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율우주(杜律虞註)
중국 원(元)나라 때 우집(虞集)이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칠언율시(七言律詩)를 모아 주해를 붙여 만든 책.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두지인(杜知仁)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어릴 때부터 시문(詩文)을 지었고, 자라서는 육경(六經)과 《논어(論語)》ㆍ《맹자(孟子)》를 공부했음. 저서로는 《시문십오권(詩文十五卷)》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두추랑(杜秋娘)
중국 당(唐) 헌종(憲宗)의 후궁. 〈금루의곡(金縷衣曲)〉을 잘 불렀으며, 목종(穆宗)이 즉위하자, 황자(皇子) 장왕(漳王)의 보모(保姆)가 되었다가 늙어서 고향에 돌아옴, 두목(杜牧)이 〈두추랑시(杜秋娘詩)〉를 지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두헌(竇憲)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ㆍ문신. 후한 제3대 장제(章帝)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 정치를 전횡하고, 화제(和帝)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
?~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두호(杜浩)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 내주(萊州)의 공관(公館)에서 이숭인(李崇仁)을 만나 〈배열부전(裵烈婦傳)〉을 베껴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회정(竇懷貞)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宰相). 고종(高宗)의 딸인 태평공주(太平公主)와 더불어 당시 태자인 현종(玄宗)의 폐립(廢立)을 모의하였으나 일이 발각되자 자살함.
?~7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둔촌잡영(遁村雜詠)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학자 이집(李集)의 시문집(詩文集). 조선 태종(太宗) 때 저자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에 의해 초간(初刊)되었으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문학(詩文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둔학집(遯壑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송경원(宋慶元)의 시문집. 상ㆍ하 2권 1책. 1826년(순조 26)에 간행함.
182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득검지(得劍池)
경상남도 합천(陜川)의 가야산(伽倻山) 내원사(內院寺) 안에 있던 연못 이름. 승려 옥명(玉明)이 절을 지을 때에 못을 파다가 칼이 나왔기 때문에 득검지라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지명>자연지명
-
등^가(鄧^賈)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인 등우(鄧禹)와 가복(賈復)을 함께 부르는 말. 후한 건국의 대표적인 공신(功臣)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등경(鄧絅)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근사록(近思錄)》에 주희(朱熹)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등린(滕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에게 수학했으며, 관직은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이름. 저서에는 《계재유고(溪齋類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등무(滕撫)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정치를 잘하여 백성에게 사랑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수안(鄧守安)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나부산(羅浮山)에 거처했고, 소식(蘇軾)이 등수안(鄧守安)을 평소 존중하여 서로 깊은 우애를 나눔.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등악양루(登岳陽樓)
중국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가 지은 오언 율시(五言律詩). 두보가 57세에 악양루(岳陽樓)에서 동정호(洞庭湖)를 바라보고 지음. 광활한 자연과 초라한 인간을 대비시키는 효과가 뛰어남.
768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등완(鄧琬)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 때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인 유자훈(劉子勛)을 황제로 옹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살해됨.
407~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왕각(滕王閣)
중국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누각. 당(唐) 고조(高祖)의 아들 원영(元嬰)이 세운 것으로, 이곳에서의 잔치를 배경으로 지은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가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등왕각서(滕王閣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 시인인 왕발(王勃)이 지은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등왕각(滕王閣)에서 열린 잔치 때 지음.
676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등용문(登龍門)
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 용문은 황하(黃河)의 상류에 있는 수세(水勢)가 험난한 지역으로, 이 곳을 잉어가 올라가면 용(龍)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함. 현재는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출세한다는 뜻으로 쓰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