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지남(金止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김표(金彪)의 아들로, 경상 감사(慶尙監司) 등을 지냈음. 광해군(光海君)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고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하려는 이이첨(李爾瞻) 일당의 죄상을 폭로함.
1559~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지윤(金智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김균(金稛)의 아버지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직손(金直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낸 김회윤(金懷允)의 아들로,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등을 지냈음.
1437~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직재(金直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역임. 아들 김백함(金白緘)의 역모에 연루되어 옥사함.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진(金稹)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진(金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낸 김순정(金順貞)의 아들이며, 우참찬을 지낸 김수현(金壽賢)의 아버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진강(金振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응복(金應福)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어록(語錄)을 기록한 것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5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진려(金進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평(司評)을 지낸 김이(金洢)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인 김반(金槃)을 사위로 맞았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고, 송익필(宋翼弼)이 만년에 그의 집에서 우거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진옥(金鎭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승지(承旨)를 지낸 김만균(金萬均)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음보(蔭補)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대보단(大報壇)을 건의(建議)하여 설치됨.
1659~17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진하(金鎭河)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김기중(金基中)의 아들로, 삼사(三司)의 청직(淸職)을 두루 거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86~18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질충(金質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부호군(副護軍) 김경(金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都承旨)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집(金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시좌(金時佐)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양산 군수(梁山郡守) 등을 지냄.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징(金澄)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봉증김자호변여윤(奉贈金子浩卞汝潤)〉이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찬(金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언침(金彦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인(東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 일본과의 강화(講和)에서 공을 세움.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
1543~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찬(金巑)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면천(沔川). 중종(中宗) 때의 유학(幼學) 김경원(金景元)의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무신
-
김찬선(金纘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손자로, 1569년(선조 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역임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창(金敞)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이종사촌으로, 덕원군(德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창즙(金昌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다섯째 아들. 조봉원(趙逢源)의 문인이며, 여섯 형제들이 문장의 대가(大家)라 육창(六昌)이라 불림. 아버지 김수항이 사사된 뒤 학문에 전념하였고,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1662~17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창집(金昌集)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협(金昌協)의 형. 노론(老論)의 대표 인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나,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延礽君:영조)를 세웠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임을 당함.
1648~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책(金策)
고려 광종(光宗) 때의 문신. 처음 과거제도(科擧制度)가 도입된 후 실행된 조익방(趙翌榜) 시험에서 문과에 장원 급제를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천(金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김영후(金永煦)의 아들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천령(金千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만균(金萬鈞)의 아버지.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69~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천록(金天祿)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삼별초의 난 때 진도(珍島)에서 김방경(金方慶)을 위기에서 구하였고, 1274년(충렬왕 1) 일본정벌에서도 전공을 세움. 도첨의시랑찬성사(都僉議侍郞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무신
-
김천명(金天命)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이 지은 〈차한익부익지김여순증별운(次韓益夫益之金汝順贈別韻)〉이라는 시가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천부(金天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에 입격하여,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천서(金天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제2대 왕 정종(定宗)의 비(妃)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아버지로,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천손(金千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도(珍島). 중종(中宗) 때의 진사 김초(金軺)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김천영(金千英)
조선 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직장(直長) 김태명(金泰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우인 김백영(金百英)과 함께 김천일(金千鎰)의 의병(義兵)에 참가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천우(金天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벽(金碧)의 아들. 예문관 응교(藝文官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천일(金千鎰)@1622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중기(金重器)의 아들이고 정온(鄭蘊)의 문인으로, 춘추관(春秋官)ㆍ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냄. 저서에 《송천집(松川集)》이 있음.
1622~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천일(金千鎰)@1537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언침(金彦琛)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倡義起兵)하여 수원(水原)ㆍ강화도(江華島)에서 전공을 세우고, 2차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
1537~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김철산(金鐵山)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문(金問)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첨(金瞻)@1542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한(典翰) 김홍도(金弘度)의 아들.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고, 1584년(선조 17)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죽음.
15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첨경(金添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윤개(尹漑)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金虯) 등을 구원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역학(易學)과 경학(經學)에 밝음.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초(金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도(珍島). 충무위 사용(忠武衛司勇)을 지낸 김천손(金千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김추(金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주(蔚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대명(金大鳴)의 아버지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추(金錘)
조선 전기의 문신. 선산(善山)에 거주함.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관련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추산(金楸山)
조선 전기의 유학.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기김화헌(寄金花軒)〉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춘(金春)@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응상(金應商)의 아들로,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냄.
1503~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춘(金春)@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부령부원군(扶寧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춘경(金春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민(金仁民)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춘택(金春澤)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종조부 김만중(金萬重)에게 수학하고, 노론(老論) 집안의 자손으로 상대 당파의 공격을 자주 받음.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구운몽(九雲夢)》 등을 한문으로 번역함.
1670~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충(金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호조 정랑(戶曹正郞)ㆍ교감(校勘)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내고,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을 지음.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충남(金忠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광산(光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김충원(金忠元)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응회(金應會)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김충한(金冲漢)
고려 후기의 유학.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취려(金就礪)@고려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으로, 김부(金富)의 아들. 거란군(契丹軍)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움.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김취려(金就礪)@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으로,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수원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김취문(金就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로,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됨.
1509~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취빈(金就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취성(金就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김광좌(金匡佐)의 아들. 평생 학문탐구에 힘쓰며, 의학을 연구하여 병든 사람을 치료해 줌.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김취정(金就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필(金匡弼)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치(金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흡곡 현령(歙谷縣令)을 지낸 김숙춘(金叔春)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치구(金致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일손(金馹孫)의 증손자이며,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치만(金致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李縕)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 시직(侍稷)을 역임함.
1697~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치양(金致陽)
고려 성종(成宗)~목종(穆宗) 때의 외척ㆍ권신. 경종(景宗)의 비 헌애왕후(獻哀王后)와 사통하여 목종 즉위후 권력을 휘두르고 역모를 꾀하다가, 강조(康兆)에게 살해됨.
?~1009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왕실>인척
-
김치운(金致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김인령(金引齡)의 아버지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치운(金致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들로,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치정(金致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종혁(金從革)의 아들이고,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버지이며,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조부.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치화(金致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역임한 문신 김지(金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김탁(金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고령(高靈).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탄(金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낸 김부인(金富仁)의 아들.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만사(輓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탄행(金坦行)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金濟謙)의 아들. 신임옥사(申壬獄事)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錦山)에 유배되고, 영조(英祖)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714~177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지 , 인명>관인>문신
-
김태경(金泰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당(金璫)과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버지.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태명(金泰溟)
조선 후기의 문신. 직장(直長)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이 의병(義兵)을 모집할 때 노비 수십 명과 양식을 두 아들 편에 보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김태암(金泰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조양(金調陽)의 아들. 김정(金淨)ㆍ성운(成運)과 교우가 두터웠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에서 죽음.
1477~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태정(金泰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찰방(察訪) 김백간(金伯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문목(問目)에 답한 글이 실려 있음.
154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패연(金沛然)
조선 전기의 유학. 이정(李楨)의 《구암집(龜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포(金浦)
경기도 북서쪽 한강(漢江) 하구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시대 한양(漢陽)의 관문이며, 김포평야(金浦平野)를 끼고 있어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임.
경기도>김포 , 지명>행정지명
-
김표(金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경상 감사(慶尙監司)를 지낸 김지남(金止男)의 생부.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역임함.
1508~15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필(金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헌납(獻納) 김괴(金塊)의 아버지.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하(金何)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자지(金自知)의 아들.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 나라 사신을 접대하고 자주 중국에 내왕하였음.
?~14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하(金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세업(金世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한(金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수의부위(修義副尉) 김세묵(金世默)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등을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한(金澣)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아들로, 정종의 넷째 딸인 고성옹주(高城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9~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한걸(金漢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우봉이씨(牛峯李氏)
고려시대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에 봉해진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우봉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