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충헌왕(忠憲王)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충현(忠顯)@송시영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충현(忠顯) - 유갑(劉韐)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흠종(欽宗) 때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
1067~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현사(忠賢祠)@대봉서원 - 대봉서원(大峯書院)
조선 헌종(憲宗) 때 경상도 영덕(盈德)에 건립한 서원. 1835년(헌종 1)에 충현사(忠賢祠)라는 이름으로 세웠으나 1847년(헌종 13) 대봉서원으로 개칭함. 권자신(權自愼)을 배향함.
18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혜(忠惠)@채양 - 채양(蔡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역사에 밝으며 명필(名筆)로 이름남. 지간원(知諫院)ㆍ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충혜(忠惠) - 심연원(沈連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녹훈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1~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혜(忠惠)@정교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충화(冲和) - 송인(宋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동생. 고향인 담양(潭陽)에 제승정(濟勝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충효(忠孝)@김충효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황(虎皇)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후(胡后)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혹문(或問) - 논어혹문(論語或問)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논어(論語)》의 각 장을 문답식으로 논변(論辯)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혼(混)@원혼 - 원혼(元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유륜(元有綸)의 아들.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0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혼(混)@이혼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혼(混) - 신혼(申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냈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혼(渾)@유혼 - 유혼(柳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유수천(柳壽千)의 아들이자 공조 판서(工曹判書) 유잠(柳潛)의 형.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혼(渾)@정혼 - 정혼(鄭渾)
고려 창왕(昌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정지상(鄭之祥)의 아들. 전리좌랑(典理佐郞)으로 있을 때 어머니가 왜구에게 살해되자 소모별감(召募別監)이 되어 박위(朴葳)를 따라 대마도에 종군해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혼(渾)@이혼 - 이혼(李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이석형(李石亨)의 아들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혼(渾)@경혼 - 경혼(慶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보우(普雨)를 중용하는 데 반대함.
1498~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혼(渾)@성혼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혼(渾)@조혼 - 조혼(曺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낸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자 창성군(昌城君) 조효문(曺孝門)의 아버지로,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혼(渾)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혼(渾)@하혼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혼(琿)@이혼 - 광해군(光海君)
조선의 제15대 왕. 재위 1608~1623.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 대북(大北)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永昌大君) 살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빌미를 제공함.
1575~16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혼(琿) - 김혼(金琿)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경손(金慶孫)의 아들로,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냈으며,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1239~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혼^이(渾^珥)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혼각(魂閣) - 초혼각(招魂閣)
조선 세조(世祖)가 단종(端宗) 및 그의 충신들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제각(祭閣). 충청남도 공주(公州)의 동학사(東鶴寺) 경내에 있음.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당
-
혼계(渾溪)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혼돈(渾敦)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혼돈(渾沌)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혼돈산인(渾沌山人)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혼성(混成) - 동진(董晉)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ㆍ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하였고, 태부(太傅)에 추증됨. 한유(韓愈)가 시호(諡號)를 청하기 위해 행장(行狀)을 지음.
724~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혼수(混修)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혼원(混元)@박백응 - 박백응(朴伯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사길(朴士吉)의 아버지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해촌사(海村祠)에 배향됨.
1525~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혼의(渾儀) - 혼천의(渾天儀)
고대에 천체(天體)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裝置). 구형(球形)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天像)을 그려 사각(四脚)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공구
-
혼의기(渾儀器) - 혼천의(渾天儀)
고대에 천체(天體)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裝置). 구형(球形)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天像)을 그려 사각(四脚)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공구
-
혼정록(混定錄) - 혼정편록(混定編錄)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저서. 18권 10책. 1575년(선조 8)부터 1650년(효종 1)까지의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말(始末)과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신원(伸寃)에 관한 글을 모아 엮은 책.
18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혼조(昏朝)@고려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혼조(昏朝)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혼조(昏朝)@광해군 - 광해군(光海君)
조선의 제15대 왕. 재위 1608~1623.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 대북(大北)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永昌大君) 살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빌미를 제공함.
1575~16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혼주(昏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혼중(渾仲) - 박응천(朴應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혼후(昏侯) - 동혼후(東昏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498~501. 총희(寵姬) 반비(潘妃)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迷失) -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비. 원(元) 세조(世祖)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에 체류하였을 때 결혼하여 충선왕(忠宣王)을 낳음. 독실한 불교도로 불사(佛事)에 많은 공을 들임.
1259~1297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홀필렬(忽必烈)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弘)@1467 - 권홍(權弘)@1467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령(權齡)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고 문장이 뛰어났음.
1467~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弘) - 공손홍(公孫弘)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승상(丞相).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짐. 최초의 승상봉후(丞相封侯).
B.C.200~B.C.12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弘)@1360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弘)@위홍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홍(弘)@신홍 - 신홍(申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州). 신인보(申仁甫)의 아버지로, 영동정(令同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홍(泓)@송홍 - 송홍(宋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송유순(宋惟諄)의 아버지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홍(泓)@유홍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泓)@장홍 - 장홍(張泓)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泓) - 김홍(金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익견(金益堅)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홍(洪)@유홍 - 유홍(柳洪)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정주(貞州)로, 숙종(肅宗)의 비(妃)인 명의태후(明懿太后)의 아버지. 호부 상서(戶部尙書)로 송(宋) 나라에 다녀왔으며,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오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병가(兵家)의 비결(秘訣)에 정통함.
?~109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홍(洪) - 김홍(金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세진(金世震)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홍(洪)@정홍 - 정홍(鄭洪)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일성군(日城君) 정사도(鄭思道)의 아들. 우왕 때 제릉서 영(諸陵署令)을 지내고, 조선 건국 이후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홍(洪)@윤홍 - 윤홍(尹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 부사(原平府使) 윤구(尹救)의 아들이며 함열 현감(咸悅縣監) 윤공(尹恭)의 아버지로, 서흥 부사(瑞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홍(洪)@반홍 - 반홍(潘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홍(鴻) - 유홍(劉鴻)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질제(質帝)의 아버지. 유총(劉寵)의 아들로, 아버지의 관작을 이어 낙안왕(樂安王)이 되었다가, 아들이 황제가 되자 발해왕(渤海王)으로 봉해짐.
?~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홍(鴻)@안홍 - 안홍(安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1566년(명종 21)에 청주 목사(淸州牧使)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홍(鴻)@노홍 - 노홍(盧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수신(盧守愼)의 아버지로, 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를 지냈음.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홍각범(洪覺範) - 혜홍(惠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승려. 임제종(臨濟宗) 황룡파(黃龍派)에 속하며 시승(詩僧)으로 유명함. 저서로 《임간록(林間錄)》ㆍ《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ㆍ《냉재야화(冷齋夜話)》등이 있음.
1071~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홍간(弘幹) - 이홍간(李弘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했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의 과오를 지적하는 등 강직한 언사로 명망이 있었음.
1486~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홍경(弘景)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홍계(弘啓)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계관(洪繼寬) - 홍계관(洪啓寬)
조선 세조(世祖)~명종(明宗) 때의 점술가. 점이 신묘하여 서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홍계관리(洪啓寬里)’가 있었다고 하며, 명종이 시험 삼아 상자 속에 있는 쥐의 마리수를 점치게 했을 때 어미 뱃속에 있는 새끼 숫자까지 맞혔다는 이야기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홍교(洪喬) - 은선(殷羨)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성품이 탐욕스럽고 잔인하였으며,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옮겨 갈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백여 통의 편지를 모두 물에 던져버렸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구(紅寇) - 홍건적(紅巾賊)
중국 원(元) 나라 말기에 하북성(河北省) 영평(永平)에서 일어난 한족(漢族) 반란군. 중심 세력은 백련(白蓮)ㆍ미륵(彌勒) 교도로서 민심을 얻어 세력을 확장하였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두 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공하였다가 패퇴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홍국로(洪國老) - 홍인필(洪仁弼)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군서(洪君敍)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군서(洪君瑞)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규(弘逵) - 문홍규(文弘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손자이며,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1582~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홍근(弘根) - 김홍근(金弘根)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진급을 거듭하여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788~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남(洪男) - 이홍남(李洪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李洪胤)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농후인(弘農後人)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홍눌암(洪訥庵)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달(弘達) - 문홍달(文弘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의(執義)을 지낸 문려(文勵)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7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홍달(弘達)@고홍달 - 고홍달(高弘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성주 통판(星州通判) 고현(高晛)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었으나 곧 물러나 부안(扶安)에 은거하여 학문에 몰두하였고, 권필(權韠)과 교유하였음.
157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홍달가(洪達可) - 홍천민(洪天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인. 교지(敎旨)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덕원군(弘德院君) - 왕규(王圭)
고려 태조(太祖)의 손자. 목종(穆宗)의 비(妃)인 선정왕후(宣正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홍도(弘度)@하홍도 - 하홍도(河弘度)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성균관 유생일 때 광해군의 실정을 개탄하며 낙향하여 경사(經史)에만 전념함. 현종 때 남구만(南九萬)이 해박한 그의 지식에 감탄하여 임금에게 상주(上奏)해서 상을 내렸으나 사양함.
1593~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홍도(弘度)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홍도(洪度) - 설도(薛濤)
중국 당(唐) 나라의 기생ㆍ여류시인. 본래 양가집 태생이나 집안의 몰락으로 기녀(妓女)가 됨. 음률(音律)과 시사(詩詞)에 뛰어났으며, 양질의 종이를 사용하여 명사들과 시를 주고받아 설도전(薛濤牋)이란 용어가 생겨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ㅣ인명>문사>문인
-
홍두적(紅頭賊) - 홍건적(紅巾賊)
중국 원(元) 나라 말기에 하북성(河北省) 영평(永平)에서 일어난 한족(漢族) 반란군. 중심 세력은 백련(白蓮)ㆍ미륵(彌勒) 교도로서 민심을 얻어 세력을 확장하였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두 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공하였다가 패퇴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홍량(洪亮)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려경(鴻臚卿) - 공방(孔方)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假傳體) 소설 《공방전(孔方傳)》의 주인공.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천(泉)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鴻臚卿) 등을 지냈으나,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홍련(紅蓮)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련객(紅蓮客)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홍련거사(紅蓮居士)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련녹수(紅蓮綠水) - 범련(泛蓮)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유고지(庾杲之)가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가 되자, 소면(蕭緬)이 왕검에게 “녹수에 떠다니며 홍련에 기대었구나[泛綠水依芙蓉]”라며 유고지의 인품을 칭찬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훌륭한 막료(幕僚)로 등용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홍례(弘禮) - 탁홍례(卓弘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세영(世英)의 맏아들이고, 탁홍지(卓弘智)ㆍ탁홍인(卓弘仁)ㆍ탁홍주(卓弘柱)의 형이며, 탁은수(卓殷秀)ㆍ탁은언(卓殷彥)ㆍ탁은보(卓殷輔)ㆍ탁은필(卓殷弼)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홍륜(弘綸) - 손홍륜(孫弘綸)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린(洪鱗) - 박홍린(朴洪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눌(朴訥)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82~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홍립(弘立) - 강홍립(姜弘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신(姜紳)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홍만전(洪晩全)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명(弘溟)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홍모당(洪慕堂)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목재(洪木齋)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무(洪武)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