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무운(洪武韻) - 홍무정운(洪武正韻)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홍무(洪武) 연간에 송렴(宋濂) 등이 칙명(勅命)을 받아 편찬한 운서(韻書). 15권.
137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홍무제(洪武帝)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무황제(洪武皇帝)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묵재(洪黙齋)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문(弘文)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문계(洪文系)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홍문광(洪文匡)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문지연(鴻門之宴) - 홍문연(鴻門宴)
중국 진(秦) 나라 말에 섬서성(陝西省)의 홍문(鴻門)에서 열린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의 연회. 항우의 모신(謀臣)인 범증(范增)의 계략으로 유방은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번쾌(樊噲)와 장량(張良)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남.
B.C.206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홍문지회(鴻門之會) - 홍문연(鴻門宴)
중국 진(秦) 나라 말에 섬서성(陝西省)의 홍문(鴻門)에서 열린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의 연회. 항우의 모신(謀臣)인 범증(范增)의 계략으로 유방은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번쾌(樊噲)와 장량(張良)의 도움으로 위기를 벗어남.
B.C.206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홍문희(洪文僖)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미(弘微)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홍미(弘美) - 안홍미(安弘美)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홍민(弘敏)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홍민(弘敏)@탁홍민 - 탁홍민(卓弘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순인(卓純仁)의 아들이며, 탁유진(卓惟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홍범(洪范) - 여변(余卞)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여양굉(余良肱)의 아들이고, 여상(余爽)의 형으로, 《십이진군전(十二眞君傳)》ㆍ《송사(宋史)》〈예문지(藝文志)〉 등을 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범내편(洪範內篇) -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채침(蔡沈)이 지은 철학서(哲學書). 《주역(周易)》의 음양 이진법(陰陽二進法)에 대비되는 삼재 삼진법(三才三進法)으로 우주(宇宙)와 인사(人事)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홍범내편주해(洪範內篇註解) -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李純)이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을 주해(註解)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홍범내편해(洪範內篇解) -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李純)이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을 주해(註解)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홍보(弘甫)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홍복(洪卜) - 홍계관(洪啓寬)
조선 세조(世祖)~명종(明宗) 때의 점술가. 점이 신묘하여 서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홍계관리(洪啓寬里)’가 있었다고 하며, 명종이 시험 삼아 상자 속에 있는 쥐의 마리수를 점치게 했을 때 어미 뱃속에 있는 새끼 숫자까지 맞혔다는 이야기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홍부(洪孚) - 심홍부(沈洪孚)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로, 문림랑(文林郞)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홍부(鸿父) - 홍우(洪羽)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ㆍ홍염(洪炎)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일찍 죽어서 시문이 흩어져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홍부각(洪府閣) - 등왕각(滕王閣)
중국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누각. 당(唐) 고조(高祖)의 아들 원영(元嬰)이 세운 것으로, 이곳에서의 잔치를 배경으로 지은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가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홍빈(洪嬪)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홍산(鴻山)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상경(洪祥卿)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서(弘緖) - 김홍서(金弘緖)
조선 후기의 문신. 시정(寺正)을 지냄.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한 형 김홍업(金弘業)에 대한 〈행록(行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선(弘先)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홍수(洪壽) - 우홍수(禹洪壽)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들이며, 단양군(丹陽君) 우성범(禹成範)의 아버지. 1389년(창왕 1)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인주(仁州)에 유배되고, 1392년(태조 1) 정도전(鄭道傳)의 모함을 받아 순천(順天)에 유배되었다가 장살됨.
1355~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수(洪壽)@기홍수 - 기홍수(奇洪壽)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나, 후에 최충헌(崔忠獻)에게 정권을 양보한 뒤 음악과 글씨를 즐기며 여생을 보냄.
1148~120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홍순복(洪舜福)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홍술(洪術)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술(洪述)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습(洪霫)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시가(洪時可)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애(洪崖)@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애(洪崖)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애선생(洪崖先生)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애선생유고(洪崖先生遺槀) - 홍애집(洪崖集)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간(洪侃)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0대손 홍방(洪滂)에 의해 수집ㆍ편찬되어 1629년(인조 7) 간행되고, 1688년(숙종 14) 12세손 홍만조(洪萬朝)에 의해 중간됨. 목록ㆍ세계ㆍ본집ㆍ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애유고(洪崖遺槀) - 홍애집(洪崖集)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간(洪侃)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0대손 홍방(洪滂)에 의해 수집ㆍ편찬되어 1629년(인조 7) 간행되고, 1688년(숙종 14) 12세손 홍만조(洪萬朝)에 의해 중간됨. 목록ㆍ세계ㆍ본집ㆍ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약(紅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홍양(弘羊) - 상홍양(桑弘羊)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평준법(平準法) 등을 만들어 국가의 재정수입을 증가시켰으나, 곽광(霍光)과 반목이 격화되자 상관걸(上官桀)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됨.
B.C.152~B.C.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양(洪陽)@홍성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홍양군(洪陽君) - 임유무(林惟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임연(林衍)의 아들. 원종(元宗)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즉위시켰는데,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 - 이기종(李起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이서(李舒)의 아버지로, 연경궁제학(延慶宮提學) 등을 지냄.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에 봉해짐으로써 이때부터 홍주를 관향으로 삼은 홍주이씨(洪州李氏)의 세계(世系)가 이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홍언(弘彦) - 윤홍언(尹弘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가 되고, 직장(直長)ㆍ전중(殿中) 등을 지냄.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홍업(弘業) - 김홍업(金弘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을 모집하는 박광전(朴光前)을 찾아간 사실이《죽천집(竹川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홍우(弘祐) - 노홍우(盧弘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선조(宣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노직(盧稙)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지냈음.
1552~16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홍우(弘遇) - 김홍우(金弘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효원(金孝元)ㆍ김이원(金履元)의 아버지. 영유 현령(永柔縣令)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홍우(紅友)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홍우암(洪寓庵)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운(弘運)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홍원(洪源) - 고원(高原)
함경도 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뷱쪽으로 영흥부(永興府), 남쪽으로 문천(文川)에 접해 있음.
함경도>고원 , 지명>행정지명
-
홍원례(洪元禮)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원서실(洪源書室)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홍원서원(洪源書院)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홍유(弘儒)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홍유후(弘儒侯)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홍윤(弘允) - 설홍윤(薛弘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는 〈증장보(贈張甫)〉라는 시에 나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윤(弘胤)@김홍윤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홍윤(弘胤) - 이조손(李兆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음. 《사재집(思齋集)》에 김정국(金正國)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홍윤(洪胤) - 이홍윤(李洪胤)
조선 명종(明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로,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던 형 이홍남(李洪男)이 반역죄로 무고하여 처형당함.
?~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홍응길(洪應吉)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홍응휴(洪應休)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의의병장(紅衣義兵將)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홍의장(紅衣將)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홍의장군(紅衣將軍)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홍의천강장군(紅衣天降將軍)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홍익(弘翼) - 김홍익(金弘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성원(金成遠)의 아버지. 병절교위(秉節校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홍익(弘翼)@정홍익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홍익성(洪益城)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익성(洪益城)@홍성민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인상(洪麟祥)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인재(洪忍齋)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재(弘載) - 상노(商輅)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학자. 절강(浙江) 순안(淳安) 출신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성화(成化) 연간에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함.
1414~148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홍재(弘載)@이노 - 이노(李輅)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6대손이며 교하 현감(交河縣監) 이원우(李元友)의 아들.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 판사(敦寧府判事) 등을 지냄.
1536~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재(弘齋)@정조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홍재(弘齋)@노사예 - 노사예(盧士豫)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豐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손자이며, 진사 노희(盧禧)의 아들이자,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조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홍재(弘齋)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적(紅賊) - 홍건적(紅巾賊)
중국 원(元) 나라 말기에 하북성(河北省) 영평(永平)에서 일어난 한족(漢族) 반란군. 중심 세력은 백련(白蓮)ㆍ미륵(彌勒) 교도로서 민심을 얻어 세력을 확장하였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두 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공하였다가 패퇴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홍점(鴻漸)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홍정칠자(弘正七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정칠재자(弘正七才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제(弘濟) - 양부(楊溥)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무영전 대학사(武英殿大學士) 등을 지내고, 양우(楊寓)ㆍ양영(楊榮)과 함께 정사를 잘 보살펴 ‘삼양(三楊)’으로 일컬어짐.
1372~144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조(弘祖) - 안윤손(安潤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 때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기강을 확립하고, 회령 통판(會寧通判)으로 있을 때 선정으로 칭송을 받음. 중종 때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50~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홍조(弘祚) - 신홍조(愼弘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신수근(愼守勤)의 아들로, 삭녕(朔寧)과 양근(楊根)의 군수(郡守)를 역임함.
1490~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홍조(弘肇) - 사홍조(史弘肇)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한(後漢)의 무신. 대장(大將) 등을 지냈으며, 무(武)를 숭상하고 문(文)을 배척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홍졸옹(洪拙翁)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주(弘胄) - 이홍주(李弘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공을 크게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애책문(哀冊文)을 지음.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62~163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홍주(洪州)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홍주세(洪柱世) - 홍세주(洪世柱)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만종(洪萬宗)의 아버지로,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문집으로 《정허당집(靜虛堂集)》이 있음.
1612~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준(弘準) - 이홍준(李弘準)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금호(琴湖) 이시민(李時敏)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홍중(弘中)@윤홍중 - 윤홍중(尹弘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군수(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홍중(弘中) - 왕중서(王仲舒)
중국 당(唐)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문인ㆍ문신. 홍주 자사(洪州刺史)ㆍ중서사인(中書舍人)ㆍ강남서도 관찰사(江南西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한유(韓愈)와 교유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중(弘仲)@박대용 - 박대용(朴大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홍중(弘仲) - 유충관(柳忠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몽인(柳夢寅)의 조부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홍지(弘之)@김현도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홍지(弘之)@홍대용 - 홍대용(洪大容)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북학파(北學派) 실학자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고, 지전설(地轉說)을 주장하는 등 조선 후기 과학사상의 발전에 공헌함.
1731~17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지(弘之) - 윤승홍(尹承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간(尹侃)의 아들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냄.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3~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홍지(泓之) - 김홍(金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익견(金益堅)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