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지(泓之)@유홍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지(洪之) - 신영홍(申永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사(僉知事) 등을 역임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진(鴻進) - 정홍진(丁鴻進)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화가. 묵죽(墨竹)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李奎報)ㆍ최종준(崔宗峻)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贊)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 비서감(祕書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홍진(鴻鎭) - 김홍진(金鴻鎭)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종 때의 문신 김영한(金寗漢)의 생부.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을 역임함.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홍천군(洪川君) - 홀실첩목이(忽失帖木耳)
중국 원(元) 나라의 지방관. 심양로(瀋陽路)의 다루가치(達魯花赤)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密直代言兼監察執義)를 지낸 유보발(柳甫發)의 사위.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천부수(洪川副守)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홍천수(洪川守)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홍철(洪哲)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충도(洪忠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홍충정(洪忠正)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치재(洪恥齋)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홍치제(弘治帝)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치칠자(弘治七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치칠재자(弘治七才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태고(洪太古)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태허(洪太虛) - 홍담(洪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언광(洪彦光)의 아들. 훈구파(勳舊派)의 거두로서 정철(鄭澈) 등의 사림파(士林派)와 대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택(弘澤) - 양홍택(梁弘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남계서원(灆溪書院) 운영의 재정(財政)을 담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홍평보(洪平甫)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필(弘弼) - 김홍필(金弘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낸 김영세(金英世)의 아버지.
1467~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홍하의(洪荷衣)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허백(洪虛白)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헌(弘憲) - 이길보(李吉甫)@당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재상.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黨)과 대립함. 저서에 《원화군현도지(元和郡縣圖志)》 등이 있음.
758~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헌(洪憲) - 황홍헌(黃洪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82년(선조 15) 왕경민(王敬民)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詔書)를 반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혜국사(弘慧國師) - 중긍(中亙)
고려 후기의 승려. 나이 들어서 내원당(內願堂)에서 물러나와 남원(南原)에 있는 승련사(勝蓮寺)에서 죽었는데, 졸암(拙菴) 연온(衍昷) 등이 그의 뜻을 이어 승련사를 증축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홍화문(弘化門) - 혜화문(惠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숙정문(肅靖門)과 흥인지문(興人之門)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東北間門). 양주(楊州)ㆍ포천(抱川)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홍화중(洪和仲) - 홍춘년(洪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고부 군수(古阜郡守)ㆍ봉상시 정(奉常寺正) 등을 지냄. 교서관(校書館) 별좌(別坐)로 있을 때 《두률우주(杜律虞註)》를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흉(弘凶)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흥도(洪興道)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희(洪熙)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희제(洪熙帝)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화(和)@고려후기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화(和)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화(和)@조선후기 - 권화(權和)@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1711년(숙종 37) 박경여(朴慶餘)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간행.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화(和)@조선전기 - 권화(權和)@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숙(姨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장인인 신명화(申命和)에게서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후손들에게 관리하게 함.
1518~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화(澕) - 진화(陳澕)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양(驪陽).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낸 진광현(陳光賢)의 아들로,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냄.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이름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화(華)@고려 - 이화(李華)@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의 막내 아들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화(華)@조선 - 이화(李華)@조선
조선 전기의 무신. 주세붕(周世鵬)의 시에 보이는데, 관직은 미조항 첨사(彌助項僉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무신
-
화(譁) - 이화(李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으로, 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의 아들.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수언(李粹彦)의 사위로, 칠성수(漆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貨) - 양화(陽貨)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가신(家臣). 계평자(季平子)를 섬기다가 그가 죽은 후 권력을 장악하여 전횡하였으며, 삼환(三桓)을 제거하려다 실패한 후 제(齊) 나라를 거쳐 진(晉) 나라로 도망쳐 조둔(趙盾)에게 의지하고, 조간자(趙簡子)의 모사(謀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화(鏵) - 김화(金鏵)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1460년(세조 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ㆍ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냈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화^숭(華^嵩) - 숭^화(嵩^華)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에 있는 숭산(嵩山)과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화산(華山)을 함께 부르는 말. 오악(五嶽)에 속하며 중앙과 서쪽에 위치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화^작(和^鵲) - 화^편(和^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인 의화(醫和)와 주(周) 나라의 명의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편(華^扁) - 편^타(扁^佗)
중국 주(周) 나라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과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를 함께 부르는 말. 의술이 뛰어난 명의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훈(華^勳) - 요^순(堯^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요(堯)와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키거나 임금의 성덕(聖德)을 말함.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사신(史臣)이 요(堯)의 덕을 ‘방훈(放勳)’이라 하고, 〈순전(舜典)〉에 순(舜)의 덕을 ‘중화(重華)’라고 한 데서 ‘훈^화(勳^華)’로 병칭되기도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가옹(貨家翁)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강(花岡)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화강(花江) - 소봉(蘇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량(蘇世良)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0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화강산인(花江散人) - 소봉(蘇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량(蘇世良)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0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화경(和卿)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화곡(華谷)@이경억 - 이경억(李慶億)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판서(判書) 이시발(李時發)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휘(李慶徽)의 동생으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20~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곡(華谷) - 정종명(鄭宗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인ㆍ문신인 정철(鄭澈)의 아들로,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江陵府使)를 지냄.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화곡원(花谷院) - 화곡서원(花谷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창건한 사액서원(賜額書院). 서경덕(徐敬德)ㆍ박순(朴淳)ㆍ민순(閔純)ㆍ허엽(許曄)을 배향함.
160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곡자(和谷子)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화관옹(樺冠翁)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화광(和光) - 훈사(熏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화광훈사권(書和光熏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화국(華國) - 신화국(申華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아들 신잡(申磼)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자 평주부원군(平州府院君)에 추숭(追崇)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화길(和吉) - 김충(金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호조 정랑(戶曹正郞)ㆍ교감(校勘)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내고,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을 지음.
1513~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화남(華南)@유희분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남(華南) - 김농(金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지낸 김의정(金義貞)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노옥증(花奴玉蒸)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화담(花潭)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화담군(花潭君)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화담로(花潭老)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화담선생문집(花潭先生文集) -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에 박민헌(朴民獻)ㆍ허엽(許曄) 등이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화담유고(花潭遺稿) -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선조(宣祖) 연간에 박민헌(朴民獻)ㆍ허엽(許曄) 등이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화담처사(花潭處士)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화담행록(花潭行錄) - 유금강록(遊金剛錄)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이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한 후 쓴 기행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화당(化堂) - 신민일(申敏一)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신암(申黯)의 아들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냄. 저서로는 《화당집(化堂集)》이 있음.
1576~165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화당(花堂) - 배규(裵規)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장이 탁월하여 관서(關西)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화도(花渡)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화도(花都)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화독좌(華獨坐)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동(花洞) - 임백영(任百英)
조선 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이 그를 위해 쓴 만시(挽詩)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화랑부령(火郞副令) - 이귀남(李貴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청평위(淸平尉) 한기(韓紀)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령(和寧)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화릉(和陵) - 의혜왕후(懿惠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어머니. 본관은 영흥(永興). 최한기(崔漢奇)의 딸로, 태조가 등극한 후 의비(懿妃)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의혜왕후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왕비
-
화릉군(花陵君) - 이수혜(李秀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손자이며, 영안정(永安正) 이학수(李鶴壽)의 아들.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릉부정(花陵副正) - 이수혜(李秀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손자이며, 영안정(永安正) 이학수(李鶴壽)의 아들.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릉정(花陵正) - 이수혜(李秀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손자이며, 영안정(永安正) 이학수(李鶴壽)의 아들.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림(花林)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화명(化溟) - 윤화명(尹化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한(尹瀚)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최항(崔恒)의 《태허정집(太虛亭集)》에 그의 명자(名字)에 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화백(和伯)@김숙춘 - 김숙춘(金叔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로,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화백(和伯)@인조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화백(和伯)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백(花伯)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父)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父)@이재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화보(和父)@송호례 - 송호례(宋好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96년(연산군 2)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직이 삭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甫)@축목 - 축목(祝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사문유취(事文類聚)》ㆍ《방여승람(方輿勝覽)》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화보(和甫) - 성맹온(成孟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준(成俊)의 조카로, 연산군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이행(李荇)의 《용재집(容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甫)@이재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화보(和甫)@이광우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화보(和甫)@이흡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甫)@봉여해 - 봉여해(奉汝諧)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座) 등을 지냈으나, 1456년(세조 2)에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
1419~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甫)@이조 - 이조(李調)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 이사성(李思誠)의 아들.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화보(和甫)@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보(和甫)@최경지 - 최경지(崔敬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필선(弼善) 최유종(崔有悰)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으로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화보(華父) - 위요옹(魏了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
1178~123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부(花府)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화부(華敷)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