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화부독(華父督) - 화독(華督)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대공(戴公)의 손자. 공보가(孔父嘉)를 살해한 후 그 처를 취하고, 다시 상공(殤公)을 시해한 후 정(鄭) 나라에 있던 목공자(穆公子)를 데려다 장공(莊公)을 세움.
?~B.C.6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화산(火山) - 관악산(冠岳山)
서울과 안양(安養)ㆍ시흥(始興)ㆍ과천(果川)의 경계에 있는 산. 북한산(北漢山)ㆍ남한산(南漢山) 등과 함께 서울분지를 이중으로 둘러싼 자연의 방벽으로, 옛 서울의 요새지를 이루었음.
경기도>금천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화산(花山)@안동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화산(花山)@강화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화산(花山)@금화 - 금화(金化)
강원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영동(嶺東)과 영북(嶺北)으로 가는 경유지 역할을 함.
강원도>금화 , 지명>행정지명
-
화산(花山)@신녕 - 신녕(新寧)
경상도 영천(永川)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 초기에는 화산현(花山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신녕현(新寧縣)으로 고쳤다가 1914년 영천에 병합됨.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화산(花山)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화산(花山)@이천 - 이천(伊川)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 때 이진매현(伊珍買縣)이라 부르고 신라 때 이천(伊川)으로 고쳤으며, 벼를 비롯하여 보리ㆍ목화ㆍ대마 등이 경작됨. 별호는 화산(花山)임.
강원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화산(花山)@권극중 - 권극중(權克中)@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대사간(大司諫) 권덕여(權德輿)의 아들. 세마(洗馬)를 지냈으며, 성혼(成渾)ㆍ성문준(成文濬) 등과 교유함.
1560~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산(華山)@용화산 - 용화산(龍華山)
전라도 익산(益山)의 북쪽 8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남쪽 기슭에 미륵사(彌勒寺)가 있어 ‘미륵산(彌勒山)’으로도 불림.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금마면(金馬面)에 속함.
전라도>익산 , 지명>자연지명
-
화산(華山)@삼각산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화산(華山)@신녕 - 신녕(新寧)
경상도 영천(永川)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 초기에는 화산현(花山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신녕현(新寧縣)으로 고쳤다가 1914년 영천에 병합됨.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화산(華山)@조말생 - 조말생(趙末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태종(太宗)의 부마인 조선(趙璿)의 아버지.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등을 지냄.
1370~14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화산군(花山君)@권응수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화산군(花山君)@장사길 - 장사길(張思吉)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의주(義州) 지방의 토호(土豪)로 이성계(李成桂)에게 인정받아 회군공신(回軍功臣)ㆍ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화산군(花山君)@이수경 - 이수경(李壽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산군(花山君)@권중달 - 권중달(權仲達)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화산군(花山君)@송세충 - 송세충(宋世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거쳐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역임함.
1468~152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화산군(花山君) - 김경운(金慶雲)@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괄(李适)의 난 때 안현 전투(鞍峴戰鬪)에 참여하여 전사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화산군(花山君)@권희 - 권희(權僖)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장단(長湍)에서 적을 물리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319~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산군(花山君)@김주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산군(花山君)@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산군(花山君)@권반 - 권반(權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찬성(贊成) 권제(權踶)의 아들. 1453년(단종 1) 형 권람(權攬)과 함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 부윤(開城府尹) 등을 지냄.
1419~14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장사길 - 장사길(張思吉)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의주(義州) 지방의 토호(土豪)로 이성계(李成桂)에게 인정받아 회군공신(回軍功臣)ㆍ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화산상공(花山相公)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산수(花山守) - 이수경(李壽卿)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산조씨(華山趙氏) - 양주조씨(楊州趙氏)
고려시대의 호장(戶長)인 조잠(趙岑)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양주 , 인명>집단>성씨
-
화상(花相)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화서(華西) - 김상철(金尙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시혁(金始爀)의 아들로, 영의정 등을 지냄.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고,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석주인(花石主人)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화성(火城)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화성(畫省) - 상서성(尙書省)
고려시대 삼성(三省)의 하나로,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尙書都省)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구성됨.
995~1275, 1356~136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화성(華城)@지명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화성부정(花城副正) - 이준(李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세련(和世㻋) - 명종(明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연도 1329. 무종(武宗)의 장자이나 인종(仁宗)에 의해 차카타이 한국으로 망명한 후 정세를 관망하다가, 차카타이 한국의 지원을 받아 1329년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살해됨.
1314~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화수(和受) - 금응빈(琴應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낸 금의(琴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화수고사(華首古寺) - 화수사(華首寺)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의 나부산(羅浮山)에 건립한 사찰. 나부산 제1의 선림(禪林).
738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화수대(華首臺) - 화수사(華首寺)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의 나부산(羅浮山)에 건립한 사찰. 나부산 제1의 선림(禪林).
738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화숙(和叔)@여대균 - 여대균(呂大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아우로, 장재(張載)에게 수학하고, 부연전운사(鄜延轉運使) 등을 지냄. 조선시대 향약의 기본이 된 여씨향약(呂氏鄕約)의 네 가지 강령을 제정함.
1031~10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원섭 - 원섭(袁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로 그의 문집 서문을 쓰고 간행했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ㆍ직학사(直學士) 등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이집 - 이집(李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풀려났으며,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함.
1438~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박세채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김세균 - 김세균(金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익수(金益壽)의 아버지로, 1506년(중종 1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참의(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형서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숙(和叔)@구유온 - 구유온(仇有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학생(學生) 구석종(仇碩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화씨(和氏)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화악(花岳)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화악(華岳)@화산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화악(華岳)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화암(和庵)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화암(花嵒)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화암(花巖) - 낙화암(落花巖)
충청도 부여(扶餘)의 부소산(扶蘇山)에 있는 암벽 이름. 백제 의자왕(義慈王)의 궁녀들이 이곳에서 투신하여 죽었다는 전설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화암사(華巖寺) - 화암사(禾巖寺)
통일신라 혜공왕(惠恭王) 때 진표율사(眞表律師)가 강원도 고성(高城) 설악산(雪嶽山) 북쪽 기슭에 건립한 비구니 사찰. 본래 이름은 화암사(華巖寺)이며 1864년(고종 1) 이전하여 중건한 뒤 수암사(穗岩寺)로 개칭했다가 1912년 화암사(禾巖寺)로 고침.
769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화암서원(畫巖書院) - 연경서원(硏經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북도 대구(大邱)에 창건한 사액서원(賜額書院). 이황(李滉)ㆍ정구(鄭逑)ㆍ정경세(鄭經世)를 배향하였음.
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화암종사(花嵒宗師)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화양동주(華陽洞主)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양옹(華陽翁)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양은거(華陽隱居)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화언(和彦) - 유혜운(柳惠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화엄사(花嚴寺) - 화엄사(華嚴寺)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인도(印度)의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전하는 사찰. 전라남도 구례(求禮) 방면 지리산(智異山) 노고단(老姑壇) 서쪽에 세웠다고 함.
544 한국>신라 , 전라도>구례 , 유적>건물>사찰
-
화엄수좌(華嚴首座)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화염산(火焰山) - 철산(鐵山)
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993년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철산 , 지명>행정지명
-
화옥(華玉) - 송병선(宋秉璿)
조선 후기~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 저서로 《근사속록(近思續錄)》ㆍ《무계만집(武溪謾輯)》ㆍ《연재집(淵齋集)》 등이 있음.
1836~1905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문인
-
화왕(花王)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화왕도인(火旺道人) - 성세창(成世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났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다시 유배되어 죽음.
1481~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화요(火曜) - 화성(火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남방(南方)을 상징하는 별.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형혹(熒惑)’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화원(化元) - 사홍조(史弘肇)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한(後漢)의 무신. 대장(大將) 등을 지냈으며, 무(武)를 숭상하고 문(文)을 배척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화원군(花原君) - 권중달(權仲達)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화음(華陰)@김문행 - 김문행(金文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화음동주(華陰洞主) 김수증(金壽增)의 증손이며,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낸 김이탁(金履鐸)의 아버지. 좌승지(左承旨)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701~17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음(華陰)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화의(和義)@의주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화의(和義) - 선산(善山)
경상북도 구미(龜尾)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 금오산(金烏山)과 천생산(天生山)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 낙동강(洛東江)이 가로지르고 있음.
경상도>선산 , 지명>행정지명
-
화인진강(化仁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화자현(火者峴) - 고절령(高絶嶺)
경상남도 거제(巨濟)에 있는 고개 이름.
경상도>거제 , 지명>자연지명
-
화잠(華岑)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화장사(華莊寺) - 화장사(花庄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던 절.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인 안경창(安慶昌)이 한 신승(神僧)을 따라 공부했다고 함.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화재(和齋) - 강인수(姜仁壽)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동향(同鄕) 사람인 문익성(文益成)ㆍ주이(周怡)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화전(花田)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화접동(花蝶洞) - 주곡(注谷)
경상북도 영양(英陽)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화정(和靖)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화정(和靖)@임포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화정(和鼎) - 이감(李甘)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시어사(侍御史)를 지낼 때 교활한 정주(鄭注)에게 재상 임명장이 내려지자 이것을 찢어버렸다가 죄를 얻어 좌천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정윤씨(和靖尹氏)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화정장공(華亭張公) - 장승헌(張承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45년(인종 1)에 황제의 고명(告命)을 받들고 와서 중종(中宗)의 국상(國喪)에 대해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하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정처사(和靖處士)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화정처사(和靖處士)@임포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화정후(華亭侯) - 육손(陸遜)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荊州)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
183~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화주(和州)@영흥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화주(和州) - 양주(襄州)
강원도 양양(襄陽)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화주(華柱) - 화표주(華表柱)
궁전이나 성곽, 무덤의 앞에 세우는 돌기둥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요동(遼東)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신선술을 배워 천 년 뒤에 학(鶴)이 되어 화표주(華表柱)에 내려와 앉았다는 데서 유래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시설>기타시설
-
화중(和中)@변협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화중(和中)@윤화중 - 윤화중(尹和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목사(牧使) 윤행(尹行)의 아들이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윤광계(尹光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中) - 신의충(申義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교감(校勘) 지낸 신억수(申億壽)의 아들이자, 신각(申恪)의 아버지로, 홍섬(洪暹)이 지은 만시(挽詩)가 《인재집(忍齋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노숙동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홍춘년 - 홍춘년(洪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고부 군수(古阜郡守)ㆍ봉상시 정(奉常寺正) 등을 지냄. 교서관(校書館) 별좌(別坐)로 있을 때 《두률우주(杜律虞註)》를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원숙강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조순손 - 조순손(趙順孫)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했으며, 《사서찬소(四書纂疏)》를 지음.
1215~12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장세균 - 장세균(張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장오상(張五常)으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