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화중(和仲)@윤여해 - 윤여해(尹汝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윤여필(尹汝弼)의 아우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역임함.
1480~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화중(和仲)@신국균 - 신국균(辛國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문천 군수(文川郡守) 신학(辛鶴)의 아들로,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냄.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있음.
1479~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성윤해 - 성윤해(成允諧)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近)의 아들로, 학행(學行)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 현감(泰仁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화중(和仲) - 성간(成侃)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나 요절함.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궁사(宮詞)〉ㆍ〈신설부(新雪賦)〉 등의 작품을 남김.
1427~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유식 - 유식(柳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판(參判)을 지낸 유윤덕(柳潤德)의 아버지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중(和仲)@허흡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중(華仲)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지(和之)@박형 - 박형(朴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1507년(중종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9~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화지(和之) - 이원화(李元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화직(和直)@김희교 - 김희교(金希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화직(和直) - 김순정(金順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양진(金楊震)의 아들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집(華集) - 황화집(皇華集)
조선시대에 명(明) 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遠接使)가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문집. 50권. 목판본. 1450년(세종 32)부터 1633년(인조 11)까지 개별적으로 간행했던 것을 영조(英祖)가 한 질(帙)로 모아 간행함. 양국 간의 외교ㆍ정치ㆍ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ㆍ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됨.
17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화천(禍泉)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화천(花川)@이수붕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화천(花川) - 신익전(申翊全)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의 아들. 1636년(인조 14)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음.
1605~166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화천(華泉) - 변공(邊貢)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태상승(太常丞) 등을 지냈으며,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1476~153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화천군(花川君)@권감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천군(花川君)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화천군(花川君)@심정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화천부정(花川副正)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화천위(花川尉)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화천정(花川正)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화청(和淸) - 권안(權晏)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남효온(南孝溫) 등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화촉(化蜀)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촉옹(化蜀翁)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타(華陀)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화평(化平)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화평군(化平君)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화포(花浦)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화표(華表) - 화표주(華表柱)
궁전이나 성곽, 무덤의 앞에 세우는 돌기둥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요동(遼東)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신선술을 배워 천 년 뒤에 학(鶴)이 되어 화표주(華表柱)에 내려와 앉았다는 데서 유래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시설>기타시설
-
화표빈(華表賓)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화헌(花軒) - 김추산(金楸山)
조선 전기의 유학.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기김화헌(寄金花軒)〉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화헌(華軒)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혜(和惠)@정현왕후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화혜(和惠)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화희태후(和熹太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확(確)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확(確)@조선후기 - 권확(權確)@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결(權潔)의 아들로, 1611년(광해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여주 목사(驪州牧使)를 지냄.
1568~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확(確)@축확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확(確)@김확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확(確)@허확 - 허확(許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허항(許沆)ㆍ허흡(許洽) 형제의 아버지로, 수원 도호부사(水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확(確)@조선전기 - 권확(權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우(權愚)의 둘째 아들이자, 권승(權昇)의 아버지.
1502~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확곡(穫穀)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확삭옹(矍鑠翁)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확재(擴齋) - 호실(胡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호원(胡瑗)의 아들이자, 호굉(胡宏)의 사촌동생으로, 주희(朱熹)ㆍ장식(張軾)과 논쟁하였으며, 장사랑(將仕郞) 등을 역임함.
1136~11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환(晥) - 윤환(尹晥)
조선 전기의 문신.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낼 때 중수(重修)한 면천객사중수기(沔川客舍重修記)가 《용재집(容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환(桓)@이환 - 이환(李桓)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성신(李省身)의 아들로, 이치신(李致身)에게 출계(出系)함.
1629~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환(桓)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환(歡) - 양공(襄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문공(文公)의 아들. 문공이 죽고 장사 지내기 전에 출병(出兵)하게 되자, 상복을 검게 물들여 입고 전쟁에 나가 진(秦) 나라를 격퇴함.
?~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환(渙) - 최환(崔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고성 현령(固城縣令)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표창을 받았으나, 나주 목사(羅州牧使) 시절 전라도 방어사로 부임하는 남치근(南致勤)을 병으로 맞이하지 못하였다가 이로 인해 장살(杖殺)당함.
?~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환(煥)@정환 - 정환(丁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산 감역관(四山監役官)을 지낸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형조 좌랑(刑曹佐郞)ㆍ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지내고,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497~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환(煥) - 박환(朴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박겸무(朴兼武)의 아들이자, 선조(宣祖) 때 효자로 이름 높은 박사관(朴思寬)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환(環)@김환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환(環) - 왕환(王環)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6대손으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 1371년(공민왕 20) 처남 신순(辛珣)의 일로 연좌되어 무릉도(武陵島)에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환(瓛) - 윤환(尹瓛)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고산(孤山)을 유람할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환고(還古) - 박환고(朴還古)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보낸 차운시(次韻詩)가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환구(環丘) - 원교(員嶠)
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오도(五島)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환국공(恒國公) - 장역지(張易之)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총신. 동생 장창종(張昌宗)과 함께 국정을 농단하다가 측천무후가 죽자 승상 장간지(張柬之)에게 죽임을 당함.
?~7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환기(煥箕)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환도(鴅兜)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두(讙頭)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두(驩頭)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랑(桓郞)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환로(幻老)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환백(懽伯)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환백(歡伯)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환백장군(歡伯將軍)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사마(桓司馬) - 상퇴(尙魋)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송 나라를 지나갈 때 해치려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환선무(桓宣武)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환성(喚醒)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환성(歡城) - 천안(天安)
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 삼남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
충청도>천안 , 지명>행정지명
-
환성군(懽城君) - 이징(李澄)@이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환성군(歡城君) - 이징(李澄)@이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환숙황제(桓肅皇帝) - 헌종(憲宗)@원
몽고의 제4대 칸이며,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51~1259. 태조(太祖)의 막내아들인 예종(睿宗)의 장자이며 세조(世祖)의 형으로, 강력한 형제정권을 지향하면서 제국의 기반을 다짐.
1208~125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환아경(換鵝經)@황정경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환아경(換鵝經)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환암(幻庵)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환옹(幻翁)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환옹(幻翁)@탄여 - 탄여(坦如)
고려 후기의 승려. 진공(軫公)의 제자로, 화엄업(華嚴業)의 승통(僧統)을 지냄.
?~1299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환왕(桓王)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환원(還源) - 회사(廻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환원회사권(書還源廻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환자(桓子)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환자야(桓子野)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환적(桓笛)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환주(歡州) - 천안(天安)
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 삼남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
충청도>천안 , 지명>행정지명
-
환주(讙朱)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환주(還珠)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환지(煥之) - 심환지(沈煥之)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철저한 노론계 당인으로, 남인과 소론을 공격하여 벽파(僻派)의 선봉이 됨.
1730~18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환퇴(桓魋) - 상퇴(尙魋)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송 나라를 지나갈 때 해치려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환환선생(還還先生) - 고하(高荷)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난주 통판(蘭州通判) 등을 지냈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환후(桓侯)@환공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활(活) - 하활(河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인 하맹보(河孟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활(𤂾) - 이활(李𤂾)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손자이며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 숙부인 창원군(昌原君) 이성(李晟)에게 입후됨. 성희안(成希顔)과 사돈관계로 아들 성률(成瑮)을 사위로 맞이함. 왕족의 권세를 믿고 방자한 행실을 하여 지탄받음.
1469~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활계(活溪)@이대유 - 이대위(李大▼(由/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냈으나, 이후 더 이상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주력함. 남원(南原)의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540~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활계(活溪) - 김우굉(金宇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대사성(大司成)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활구(闊口) - 무본(無本)
조선 초기의 승려.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한 승려 운봉(雲峯)의 스승.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활탄(活灘)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황(愰) - 하황(河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인 하맹보(河孟寶)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황(晃) - 원황(元晃)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호(元昊)의 형. 1405년(태종 5)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정언(右正言)을 지냈고, 원산군(原山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황(況) - 곽황(郭況)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외척. 광무제의 처남으로 금보(金寶)를 많이 하사받아 세인들이 그 집을 금혈(金穴)이라 할 정도였는데, 집안의 4백여 명이나 되는 가솔이 날마다 금을 정련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