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황(況)@반황 - 반황(班況)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반표(班彪)의 조부이자, 성제(成帝) 때의 후궁 반첩여(班婕妤)의 아버지로, 교위(校尉)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황(滉)@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滉)@최황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滉) - 권황(權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낙선(成樂善)의 장인으로, 거창 현감(居昌縣監)ㆍ한산 군수(韓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황(煌) - 권황(權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낸 권현(權鉉)의 아들로,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냄.
150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황(煌)@윤황 - 윤황(尹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창세(尹昌世)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함.
1571~163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황(熿)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항(恒)@박항 - 박항(朴恒)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춘천박씨(春川朴氏)의 시조로, 박광정(朴光挺)의 아버지.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27~128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항(恒) - 모용각(慕容恪)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장군. 태조(太祖)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로, 장군이 되어 요동(遼東)을 정벌함.
?~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항(抗) - 황보항(皇甫抗)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영천(永川).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 중의 한 명으로, 1176년(명종 6) 승보시(升補試)에 수석으로 급제하였으나 중원 서기(中原書記)에 머무름. 악장(樂章)에 능하였다 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문인
-
항(沆)@1474 - 이항(李沆)@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주도하여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했으며, 영천 군수(榮川郡守)ㆍ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냈음.
1474~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항(沆)@1506 - 이항(李沆)@1506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증손. 고성군(固城君) 이강(李鋼)의 아들로, 인종(仁宗)의 장례를 담당한 공으로 덕평군(德平君)에 봉해짐.
1506~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항(沆)@조항 - 조항(曺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며 영의정을 지낸 조석문(曺錫文)의 아버지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항(沆) - 신항(申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惠淑翁主)와 혼인하여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77~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항(沆)@정항 - 정항(鄭沆)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서(鄭敍)의 아버지로, 우정언(右正言)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080~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항(沆)@윤항 - 윤항(尹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윤희길(尹希吉)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항(沆)@최항 - 최항(崔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우(崔瑀)의 서자로, 집권 초기에는 과중한 세금을 경감하고 탐관오리를 소환하는 등의 정책을 펼쳐서 인망을 얻었으나, 점차 호사와 향락을 일삼고 몽고(蒙古)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함.
?~125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항(沆)@송 - 이항(李沆)@송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天災)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 당시에 ‘성상(聖相)’으로 일컬어짐.
947~100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항(沆)@하항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항(沆)@허항 - 허항(許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일당으로 옥사를 함부로 일으키고 무고한 사림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으므로, 김안로ㆍ채무택(蔡無擇) 등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림.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항(沆)@강항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항(衖) - 윤항(尹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해남(海南).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억령(林億齡)ㆍ노수신(盧守愼)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문인
-
항(閌)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항^유(項^劉) - 유^항(劉^項)
중국 한(漢) 나라를 건국한 고조(高祖) 유방(劉邦)과 진(秦) 나라의 장군 항우(項羽)를 함께 부르는 말. 천하를 다투는 영웅호걸(英雄豪傑)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항랑(項郞)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항무(恒茂) - 이항무(李恒茂)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권근(權近)과 동년(同年)으로 《양촌집(陽村集)》에 노곡(魯谷)의 시를 차운한 것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항보(恒甫) - 완안(阮安)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시를 주고받음.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항복(恒福)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항아(嫦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항안(巷顔)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항애산(杭愛山) - 연연산(燕然山)
몽골 지역에 있는 산 이름.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인 두헌(竇憲)이 흉노(匈奴)를 격파하고 나서 이곳에 올라 공적비를 세움.
기타지역 , 지명>자연지명
-
항양(恒陽) - 양근(楊根)
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경기도>양근 , 지명>행정지명
-
항왕(項王)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항재(恒齋)@유운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항재(恒齋)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항적(亢迪) - 문공유(文公裕)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문익(文翼)의 아들. 합문지후(閤門祗侯)ㆍ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고, 인종(仁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088~115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항적(項籍)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항지(恒之)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항지(沆之) - 이항(李沆)@1506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증손. 고성군(固城君) 이강(李鋼)의 아들로, 인종(仁宗)의 장례를 담당한 공으로 덕평군(德平君)에 봉해짐.
1506~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항회(巷回)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해(侅) - 김해(金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김제신(金悌臣)의 아버지로, 내자시 윤(內資寺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해(侅)@윤해 - 윤해(尹侅)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암(尹諳)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역임함.
1307~137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偕) - 이해(李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대적하다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해(垓) - 김해(金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광주(光州). 김부의(金富儀)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안동(安東) 등지에서 분전하다가 전사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며 문집《근시재집(近始齋集)》이 있음.
1555~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해(垓)@신해 - 신해(申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둘째 아들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으며, 숙부인 신경인(申景禋)의 계후(繼後)가 되어 평원군(平原君)에 봉해짐.
1598~163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해(垓)@노해 - 노해(盧垓)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짐. 광주노씨(光州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해(嶰) - 서해(徐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학문과 덕망이 높았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537~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해(晐) - 허해(許晐)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변계량(卞季良)의 《춘정집(春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해(海)@최해 - 최해(崔海)
조선 명종(明宗) 때의 진사(進士). 본관은 전주(全州). 아우 최심(崔深)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인이며,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해(海) - 강해(康海)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수찬(翰林修撰) 등을 지냈으며, 이몽양(李夢陽) 등과 문학의 복고(復古)를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특히 산곡(散曲)에 뛰어나 왕구사(王九思)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
1475~154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해(澥)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瀣)@조선 - 최해(崔瀣)@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수찬(修撰) 최희맹(崔希孟)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해(瀣)@고려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해(瀣) - 김해(金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낸 김덕붕(金德鵬)의 아버지로, 수성금화사 제검(修城禁火司提檢)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瀣)@이해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해(瀣)@유해 - 유해(兪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종묘(宗廟)의 신주를 평양(平壤)의 행재소(行在所)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1~162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瀣)@신해 - 신해(申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낼 때 머무른 청신당(淸神堂)에 관해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기문(記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瑎)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해(畡) - 임해(林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으로, 부제학을 지낸 임형수(林亨秀)의 백부.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해(蟹) - 이해(李蟹)
조선 연산군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12년(숙종 38) 건립된 나주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향사(享祀)됨.
14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해(解) - 민해(閔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민호문(閔好問)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민사건(閔師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해(該) - 이해(李該)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중립(李中立)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해(諧) - 정해(鄭諧)
고려 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지제고(知制誥)를 지낸 정승원(鄭承源)의 아들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해(𥩲) - 이해(李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의병장 이개립(李介立)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해객(海客)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해경(海瓊)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해경자(海瓊子)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해고(海皐)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해고(海皐)@이광정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곡주인(蟹谷主人)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관(海寬) - 송해관(宋海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송순(宋純)의 아들로,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해광(海狂)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해광선생집(海狂先生集) - 해광집(海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송제민(宋齊民)의 저서. 2권 1책. 목판본. 5대손인 송익중(宋益中)이 편찬하여 간행하고, 김종수(金鍾秀)가 쓴 서문이 전함.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해광유고(海狂遺稿) - 해광집(海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송제민(宋齊民)의 저서. 2권 1책. 목판본. 5대손인 송익중(宋益中)이 편찬하여 간행하고, 김종수(金鍾秀)가 쓴 서문이 전함.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해교(海嶠)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해독정후(解瀆亭侯) - 효인황(孝仁皇)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버지. 효원황(孝元皇)에 추존(追尊)된 유숙(劉淑)의 아들로, 영제 즉위 후 효인황(孝仁皇)으로 추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해동고정(海東考亭)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공자(海東孔子)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국기(海東國記) -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일본(日本)에 관한 저서. 2책. 필사본. 일본의 지세ㆍ문물, 조선과의 외교관계의 대강을 기록하였음.
14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해동기(海東記) -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일본(日本)에 관한 저서. 2책. 필사본. 일본의 지세ㆍ문물, 조선과의 외교관계의 대강을 기록하였음.
14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해동노련(海東魯連)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명적(海東名迹) - 해동명적(海東名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신공제(申公濟)의 탁본집(拓本集). 2권 2책. 우리나라 역대 명필(名筆)의 글씨를 모아 석각(石刻)하고 탁본한 것으로, 조선 문종(文宗)ㆍ성종의 어필(御筆)과 신라의 최치원(崔致遠)ㆍ김생(金生) 등 여러 사람의 글씨를 수록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해동부자(海東夫子)@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부자(海東夫子)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부자(海東夫子)@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성국(海東盛國) -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遺民) 대조영(大祚榮)이 699년에 세운 나라. 중국 동북(東北) 지방ㆍ연해주(沿海州)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南北國時代)를 이룸. 14대 228년간 존속.
698~926 한국>발해 , 시간>국명
-
해동소(海東疏) -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신라 때의 고승인 원효(元曉)가 대승불교의 개론서인 인도 마명(馬鳴)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주석한 책. 2권 1책.
한국>신라 , 문헌>서명
-
해동승전(海東僧傳) -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인 각훈(覺訓)이 편찬한 여러 고승(高僧)들의 전기. 완본(完本)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권수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음.
1215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해동염계(海東濂溪)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요순(海東堯舜)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해동주부자(海東朱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주자(海東朱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동회옹(海東晦翁)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려(海礪) - 이상경(李商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 이수림(李壽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해룡왕(海龍王)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해미류왕(解味留王) -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의 제17대 왕. 재위 371~384.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 불교 수용ㆍ태학(太學) 설립ㆍ율령(律令)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침공하여 견제함.
?~38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해밀턴항구() - 거문도(巨文島)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는 다도해(多島海) 최남단의 섬. 1885년(고종 22)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에 속함.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해부(海夫)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빈(海濱)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해사(海師) - 무제(無際)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무제권(書無際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