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해산(海山)@해주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해산(海山)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해상선(海上仙)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서군자(海西君子)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해서주(海西州)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해서주인(海西主人)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해서후(海西侯)@납합출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해서후(海西侯) - 이광리(李廣利)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무신. 무제(武帝)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이 되어 4년에 걸쳐 대완(大宛)을 격파하고 많은 양마(良馬)를 얻어 돌아왔으나, 그 후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됨.
?~B.C.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해선(梅仙)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해선군(海善君)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선자(海禪者) - 해선(海禪)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허주해선자권(書虛舟海禪者卷)〉과 〈서여정해선자권(書驢井海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성군(海城君)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성부원군(海城府院君)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수(海壽)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숭도위(海嵩都尉)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해숭위(海嵩尉)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해실(海室) - 산해정(山海亭)
경상도 김해(金海) 대동면(大東面)에 있는 누정(樓亭). 조선 중종(中宗) 때 조식(曺植)이 건립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강학하던 곳.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해악(海岳)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해악(海嶽)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악도인(海岳道人)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해악화사(海岳畵史)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해애루(解愛婁)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해양(海陽)@남해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해양(海陽)@김준 - 김준(金俊)@고려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최우(崔瑀)에게 발탁된 후 최의(崔竩)를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 탐학(貪虐)을 일삼다가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원종(元宗)에 의해 참살됨.
?~126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해양(海陽)@광주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해양(海陽)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해양(海陽)@해주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해양군(海陽君)@탁종성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해양군(海陽君)@윤희평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해양군(海陽君)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해양대군(海陽大君)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해양후(海陽侯) - 김준(金俊)@고려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최우(崔瑀)에게 발탁된 후 최의(崔竩)를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 탐학(貪虐)을 일삼다가 왕권 강화를 도모하던 원종(元宗)에 의해 참살됨.
?~126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해어화(解語花)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해옹(海翁)@이희삼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해옹(海翁)@장필 - 장필(張弼)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남안지부(南安知府) 등을 역임했으며, 시문에 능했고 초서(草書)에 뛰어나 서웅(書雄)으로 칭해짐.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해옹(海翁)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해옹(海翁)@임억령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해우(解憂)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해운(海雲)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운로(海雲老)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운암(海雲庵) - 해운사(海雲寺)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경상도 선산(善山) 금오산(金烏山)에 창건한 사찰. 고려 말에 길재(吉再)가 머무른 곳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가 복구됨.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사찰
-
해원(海原)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원군(海原君)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월(海月) - 최시형(崔時亨)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제2대 교조(敎祖)로 《동경대전(東經大全)》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 교조 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을 주도하고,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
1827~1898 한국>근대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해월당(海月堂) - 박춘호(朴春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의병ㆍ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손자. 박근제(朴根悌)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창의(倡義)하여 의병을 모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월헌(海月軒)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해인사(解印寺) - 해인사(海印寺)
신라 애장왕(哀莊王) 때 경상도 합천(陜川) 가야산(伽倻山)에 창건한 사찰.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法寶寺刹)로 일컬어짐.
8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해인삼사(海印三寺) - 해인사(海印寺)
신라 애장왕(哀莊王) 때 경상도 합천(陜川) 가야산(伽倻山)에 창건한 사찰.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法寶寺刹)로 일컬어짐.
8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해정(海亭) - 산해정(山海亭)
경상도 김해(金海) 대동면(大東面)에 있는 누정(樓亭). 조선 중종(中宗) 때 조식(曺植)이 건립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강학하던 곳.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해정(海靖)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해조(海朝)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해조(海釣)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해좌(海左) - 정범조(丁範祖)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나주(羅州)로,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 문체반정(文體反正)에 주력하던 정조(正祖)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
1723~18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해좌칠현(海左七賢) - 죽림고회(竹林高會)
고려 후기에 명리(名利)를 떠나 망년지교(忘年之交)를 맺고 청담(淸談)을 즐기던 일곱 명의 선비. 이인로(李仁老)ㆍ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ㆍ조통(趙通)ㆍ황보항(皇甫抗)ㆍ함순(咸淳)ㆍ이담지(李湛之)를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인명>집단>조직
-
해진(海珍) - 이비(李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지활(李智活)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해징부원군(海澄府院君)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해창(海昌)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창군(海昌君)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창군(海昌君)@윤이지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해창위(海昌尉) - 오태주(吳泰周)
조선 제18대 현종(顯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주(海州). 오두인(吳斗寅)의 아들로,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와 혼인하고, 귀후서 제조(歸厚署提調)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왕실의 옥책(玉册)ㆍ신판(神板)ㆍ유지(幽誌) 등을 많이 씀.
1668~17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해천사(海川寺) - 선암사(仙巖寺)
통일신라 헌강왕(憲康王) 때 전라도 순천(順天) 조계산(曹溪山)에 창건한 사찰. 신라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창건했다고 함. 고려 1088년(선종 5)에 의천(義天)이 중창함. 선암사 승선교(仙巖寺昇仙橋) 등 다수의 유물이 있음.
875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해촌(海村)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해탈(解脫)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해평(海平)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김수 - 김수(金銖)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개성윤(開城尹)을 지냈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과 교유하고, 천곡(川谷)에 녹봉서당(鹿峯書堂)을 짓고 유학에 정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윤진 - 윤진(尹珍)@고려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의 아들로, 밀직부사(密直副使) 이희번(李希蕃)과 함께 명(明) 나라에 가서 세공(歲貢) 감면에 대해 사례함.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윤지표 - 윤지표(尹之彪)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재상. 본관은 해평(海平). 윤석(尹碩)의 아들로, 충혜왕의 폐신(嬖臣)이었다는 이유로 유배되었다가 재등용되었으며,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군(海平君)@윤희평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윤방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윤석 - 윤석(尹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만비(尹萬庇)의 아들로, 조적(曺頔)의 난을 진압하여 일등공신이 되고 좌정승 등을 역임하였으나, 충목왕 때 유배되어 죽음.
?~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윤석충 - 윤석충(尹碩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도첨의 우정승(都僉議右政丞)를 지내고,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풍(海豊)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해풍군(海豊君) - 이기(李耆)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운성군(雲城君) 이수철(李壽鐵)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해풍부정(海豊副正) - 이기(李耆)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운성군(雲城君) 이수철(李壽鐵)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해학(海鶴)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해혼후(海昏侯) - 폐제(廢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무제(武帝)의 손자로, 소제(昭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霍光)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해화당(海華堂)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해흥(海興)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핵(翮) - 이핵(李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ㆍ대제학(大提學) 이세기(李世基)의 아버지로, 문하부 평리(門下府評理) 등을 지내고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행(幸)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행(杏)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행(荇)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행(行)@고려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행(行)@윤행 - 윤행(尹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효정(尹孝貞)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행(行)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행(行)@조선 - 이행(李行)@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여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행가(行可)@선정달 - 선정달(宣廷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門人).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행가(行可)@권행가 - 권행가(權行可)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권선문(權善文)의 아들이며, 숙부 권호문(權好文)에게 입양됨. 김성일(金誠一)과 권대기(權大器)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대장 김해(金垓)를 도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행가(行可) - 구부국(丘富國)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에게서 수학하고 단양 첨판(端陽僉判)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주역집해(周易輯解)》ㆍ《경세보유(經世補遺)》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행검(行儉) - 왕직(王直)
중국 명(明) 나라 성종(成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20여 년간 한림(翰林)에 있으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영(王英)과 이름을 나란히 함.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억암집(抑菴集)》이 있음.
1379~14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행당(杏堂)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행당유고(杏堂遺稿) - 행당선생유고(杏堂先生遺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복(尹復)의 시문집. 5권 3책. 석인본. 1930년에 후손 윤주헌(尹柱憲)이 간행함.
193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행록(行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행림정(杏林亭) - 진조전(陳祖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문신. 관직으로 원외랑(員外郞)을 지냄. 서거정(徐居正)이 준 시가 《사가집(四佳集)》에 전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행만(行滿)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