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행보(行甫)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행산(杏山) - 박전지(朴全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충선왕(忠宣王)이 세자일 때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1250~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행암(杏巖) - 이윤량(李閏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서자로, 내의원 판사(內醫院判事) 등을 역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행오(行吾)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행와(杏窩)@이유인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행와(杏窩) - 박린(朴璘)@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도 의병으로 활약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행우(杏雨)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행원(杏園)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행원(杏院)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행원(行源)@황수 - 황수(黃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전라 감사(全羅監司) 황치경(黃致敬)의 아들로, 연천 현감(漣川縣監)ㆍ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행원(行源)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행원(行源)@장흥효 - 장흥효(張興孝)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단념한 채 후학 양성에만 힘씀.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경광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됨.
1564~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행원(行遠) - 박민(朴敏)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정구(鄭逑)의 제자로, 《대학(大學)》과 《심경(心經)》에 뛰어남.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강우의병장(江右義兵將)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 진주 정강서원(鼎崗書院)ㆍ정산(鼎山) 향현사(鄕賢祀)에 제향됨.
1566~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태안 , 인명>문사>학자
-
행장(行長) - 소서행장(小西行長)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평양(平壤)까지 침공하였으며,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맞서 싸우다가 패하여 참수형을 받았으며, 카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깊었음.
?~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행재(行在) - 항주(杭州)
중국 절강성(浙江省) 북부에 있는 도시. 소주(蘇州)와 함께 아름다운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隋) 나라 때 건설한 대운하의 남쪽 끝지점이 됨. 남송(南宋) 때는 수도가 되었으며, 오늘날 성도(省都)로서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행정(杏亭)@탁순창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행정(杏亭) - 송인(宋因)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부 판관(漢陽府判官)에 제수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ㅣ경기도>과천 , 인명>관인>문신
-
행주(幸州) - 고양(高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에 고봉(高峯)과 덕양(德陽)의 이름을 따서 고양(高陽)이라 부름.
경기도>고양 , 지명>행정지명
-
행지(行之)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행촌(杏村)@홍주 - 홍주(洪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삼사사(三司使)를 지낸 홍융(洪戎)의 아들로,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행촌(杏村)@주지번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행촌(杏村)@정척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행촌(杏村)@이암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행촌(杏村)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행호거사(杏湖居士)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향(向) - 윤향(尹向)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문하 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의 아들이며, 윤계동(尹季童)의 아버지.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된 윤목(尹穆)의 죄를 고발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당시의 공신녹권(功臣錄券) 개정을 상소했다가 파직됨.
1374~141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향(珦)@이향 - 문효세자(文孝世子)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첫째 아들. 어머니는 의빈성씨(宜嬪成氏). 세 살 때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다섯 살의 나이로 요절함.
1782~17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향(珦)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계(香溪)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계선생(香溪先生)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담(香覃)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향사(鄕射)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사(香社) - 향산사(香山社)
중국 당(唐) 나라 때 백거이(白居易)가 향산(香山)의 승려 여만(如滿) 등과 맺은 향화(香火)의 결사(結社). 뜻이 맞는 일을 평생 함께 하기로 맹약(盟約)함을 비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향사례(鄕射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산(響山)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산(香山)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향산거사(香山居士)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향산로(香山老)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선(享仙)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향설당(香雪堂)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향성(香城) - 오향성(五香城)
강원도 회양(淮陽)에 있는 마하연(摩訶衍) 주변 지역을 부르는 말. 마하연은 절 이름인데, 이 주위에 향나무가 빙 둘러져 있어 이곳을 오향성(五香城)이라 부름.
강원도>회양 , 지명>자연지명
-
향심(香蕈)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향약재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조선 세종(世宗) 때 간행된 향약(鄕藥)과 한방(韓方)에 관한 책. 85권 30책. 활자본. 1433년(세종 15)에 권채(權採)ㆍ유효통(兪孝通) 등이 재래의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편찬ㆍ간행하였으며, 1488년(성종 19) 서거정(徐居正)ㆍ허종(許琮) 등에 의해 일부가 국역됨.
143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향여(向如) - 각해(覺海)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검교시중(檢校侍中)을 지낸 이진(李瑱)의 둘째 아들이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형. 공주 반룡사(盤龍社)에 주석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향음례(鄕飮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음주례(鄕飮酒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의(香蟻)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향일(向日)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향일당(嚮日堂)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향점(香簟)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향지(嚮之) - 권오복(權五福)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일손(金馹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
1467~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향초원(香草園)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향추(香篘)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향해(香孩)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향현사(鄕賢祠) - 여남서원(汝南書院)
조선시대에 경상도 영양(英陽)에 건립된 서원. 영양남씨(英陽南氏) 후손들이 시조 남민(南敏)을 봉사하던 사당인 향현사(鄕賢祠)를 여남강당(汝南講堂)으로 이름을 바뀌었다가, 1830년(순조 30)에 여남서원(汝南書院)으로 승격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영해 , 유적>건물>서원,향교
-
향화사(香火社) - 향산사(香山社)
중국 당(唐) 나라 때 백거이(白居易)가 향산(香山)의 승려 여만(如滿) 등과 맺은 향화(香火)의 결사(結社). 뜻이 맞는 일을 평생 함께 하기로 맹약(盟約)함을 비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허^연(許^燕) - 연^허(燕^許)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인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연국공(燕國公) 장열(張說)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은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불림.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허가정자(許家亭子) - 읍청정(挹淸亭)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정자 이름. 해주 사람 허희(許曦)가 지은 정자로 허정(許亭)이라 부르기도 함.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누정
-
허각로(許閣老)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강(虛江)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강지(許剛之) - 허흠(許欽)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허금수(許金壽)의 아들로, 독서하기를 좋아하고 벗들과 우애가 깊었음.
1472~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허겸(許謙)@이허겸 - 이허겸(李許謙)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자연(李子淵)의 할아버지이고 문하시중 김은부(金殷傅)의 장인이며 원성왕후(元成王后)의 외할아버지. 상서좌복야 상주국 소성현 개국후(尙書左僕射上柱國邵城縣開國侯)에 추증됨. 인천이씨(仁川李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허경암(許敬菴)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곡(虛谷)@방회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허곡(虛谷) - 육통(六通)
조선 전기의 승려.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에게 써 준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허국공(許國公) - 소정(蘇頲)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중서사인(中書舍人)ㆍ익주장사(益州長史) 등을 지내고, 문학에 조예가 깊어 현종의 총애를 받음.
670~72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허국선(許國善)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기(許耆) - 허기(許愭)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들로,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이 있음.
1365~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노재(許魯齋)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당(虛堂)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문경(許文敬)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문정(許文正)@허침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문정(許文正)@허형 - 허형(許衡)
중국 송(宋) 말~원(元)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학(理學)에 밝았으며, 세조 때 역법을 수정하여 《수시력(授時歷)》을 완성함.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내며 평생 교육에 힘씀.
1209~1281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문정(許文正)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미숙(許美叔)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허백(虛白)@홍귀달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허백(虛白)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백당(虛白堂)@홍귀달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허백당(虛白堂)@정난종 - 정난종(鄭蘭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훈구 세력의 중진으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쓰고, 특히 조맹부체(趙孟頫體)에 뛰어났음.
1433~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허백당(虛白堂)@성현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백당(虛白堂) - 김양진(金楊震)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역학(易學)ㆍ음양(陰陽) 및 복서(卜筮)에 통달하였으며, 이행(李荇)ㆍ정희량(鄭希良)ㆍ권달수(權達手) 등과 교유가 깊었음.
1467~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백당시집(虛白堂詩集) - 허백당집(虛白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成世昌)이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백정(虛白亭)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허백집(虛白集) - 허백당집(虛白堂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成世昌)이 중종(中宗)~선조(宣祖)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보(虛父)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허사아(許士牙) - 허강(許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허자(許磁)의 아들로, 정작(鄭碏)ㆍ이지함(李之菡)ㆍ양사언(楊士彦) 등과 교계(交契)가 깊었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조부.
1520~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
-
허상우당(許尙友堂)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세자(許世子) - 태자지(太子止)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 제후인 도공(悼公)의 맏아들. 학질에 걸린 도공에게 약을 올려 도공이 죽게 되자, 임금 자리를 아우 훼(虺)에게 넘겨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허순지(許順之) - 허승(許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따라 공부하였으나 끝내 선학(禪學)에 탐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허암(虛庵)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허암(虛菴)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허암집(虛庵集) - 허암유집(虛庵遺集)
조선 전기의 문인인 정희량(鄭希良)의 문집. 6권 2책. 목활자본. 원집은 김언평(金彦平) 등이 1506년(중종 1)에 3권 1책으로 편집 간행하고, 1897년에 후손 정광숙(鄭光淑) 등이 원집에 빠진 시문과 부록을 엮어 속집을 간행함.
150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허영천(許榮川) - 허충길(許忠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기(許伯琦)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명종(明宗)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의주(義州)로 유배되고, 후에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요(許繇)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허응(虛應)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허응(許膺)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응천(許凝川) - 허조(許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후(許詡)의 아들이며 이개(李塏)의 매부(妹夫)로,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을 지냄. 성삼문(成三問) 등이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할 때 가담하였으나, 거사가 수포로 돌아가자 자진(自盡)함.
143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의(許儀) - 허공(許珙)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윤극민(尹克敏)의 사위로, 최령(崔寧)ㆍ원부(元傅)와 함께 ‘정방삼걸(政房三傑)’로 불림. 원부ㆍ한강(韓康)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했으며, 1291년(충렬왕 17) 원(元) 나라와 함께 합단(哈丹)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함.
1233~12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허재(虛齋) - 채청(蔡淸)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경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를 지내고, 《역경(易經)》 연구로 명성이 높음.
1453~150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재(虛齋)@안처겸 - 안처겸(安處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냄.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