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허재선생(虛齋先生) - 채청(蔡淸)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경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를 지내고, 《역경(易經)》 연구로 명성이 높음.
1453~150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허재채선생문집(虛齋蔡先生文集) - 허재집(虛齋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채청(蔡淸)의 문집. 5권. 학문의 허(虛)를 주장했던 저자의 글을 수록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허정(許亭) - 읍청정(挹淸亭)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정자 이름. 해주 사람 허희(許曦)가 지은 정자로 허정(許亭)이라 부르기도 함.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누정
-
허정간(許貞簡) - 허후(許詡)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조(許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된 후 교살(絞殺)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종경(許宗卿)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주(虛州) - 김반(金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익산 군수(益山郡守)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고, 김익훈(金益勳)의 아버지.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있음. 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됨.
1580~164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주(虛舟)@해선 - 해선(海禪)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허주해선자권(書虛舟海禪者卷)〉과 〈서여정해선자권(書驢井海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허주(虛舟) - 신포(申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시인ㆍ화가. 호를 장륙(藏六)이라 하였는데, 친구 이종준(李宗準)이 그 호를 탐내어 술 한 병과 바꾼 일화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허주(許州) - 함양(咸陽)
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양 , 지명>행정지명
-
허중(虛仲) - 안우기(安于器)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아들. 충렬왕 때 국학좨주(國學祭酒)로 최응(崔凝)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 우부승지(右部承旨)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1265~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허중통(許仲通)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허중화(許仲和)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지(虛之) - 이선(李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영월 군수(寧越郡守) 이각(李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허지(許止) - 태자지(太子止)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 제후인 도공(悼公)의 맏아들. 학질에 걸린 도공에게 약을 올려 도공이 죽게 되자, 임금 자리를 아우 훼(虺)에게 넘겨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허천(虛川)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
-
허초당(許草堂)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초희(許楚姬) - 허난설헌(許蘭雪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허엽(許曄)의 딸로, 김성립(金誠立)과 혼인함.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는데, 자신의 불우한 삶을 시에 담아 총 210여 수의 시를 남겼으며, 유고집으로 《난설헌집(蘭雪軒集)》이 있음.
1563~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
-
허충정(許忠貞)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허태휘(許太輝)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허하곡(許荷谷)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허황옥(許黃玉) - 보주태후(普州太后)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왕비.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 우리나라 허씨(許氏)의 도시조(都始祖)임.
?~188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왕비
-
허황후(許皇后) - 보주태후(普州太后)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왕비.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 우리나라 허씨(許氏)의 도시조(都始祖)임.
?~188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왕비
-
허후(許后) - 보주태후(普州太后)
가락국(駕洛國)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왕비.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 우리나라 허씨(許氏)의 도시조(都始祖)임.
?~188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왕비
-
허희화(許熙和)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헌(憲)@황헌 - 황헌(黃憲)@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추록되고 좌의정을 지냈으나,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陳復昌)의 탄핵을 받고 삭훈(削勳)ㆍ탈작(奪爵)됨.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헌(憲)@금헌 - 금헌(琴憲)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봉화 현감(奉化縣監)을 지낸 금난수(琴蘭秀)의 아버지로, 정로위(定虜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헌(憲)@권헌 - 권헌(權憲)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경주 부윤(慶州府尹) 권걸(權傑)의 아들. 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부당한 처사에 여러 번 상소하다가 파직되어 옥중에서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헌(憲)@조헌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헌(憲) - 두헌(竇憲)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ㆍ문신. 후한 제3대 장제(章帝)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 정치를 전횡하고, 화제(和帝)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
?~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헌(櫶) - 정헌(鄭櫶)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짐. 진주정씨(晉州鄭氏) 헌계(櫶系)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헌(獻)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헌(軒) - 유헌(柳軒)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세린(柳世麟)의 아버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 때 만언소(萬言疏)를 올리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제주도(濟州道)로 귀양감.
1462~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헌(軒)@함헌 - 함헌(咸軒)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호군(副護軍) 함좌무(咸佐武)의 아들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강릉에 오봉서원(五峯書院)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 이황(李滉)ㆍ정광필(鄭光弼) 등과 교유함.
150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헌^희(軒^羲) - 희^헌(羲^軒)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왕(聖王)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헌가(獻可)@김순 - 김순(金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백경(金伯卿)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ㆍ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헌가(獻可)@임회 - 임회(林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임억령(林億齡)ㆍ백광훈(白光勳)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헌가(獻可)@여공저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헌가(獻可)@이날 - 이날(李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으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이맹현(李孟賢)의 아들. 직장(直長) 등을 지내고,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헌가(獻可) - 여회(呂誨)
중국 북송(北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종 때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부국강병을 위하여 신법(新法)을 만들자 반대에 앞장서고 탄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헌간(憲簡) - 윤은필(尹殷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영의정 윤은보(尹殷輔)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옹호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헌간(獻簡) - 부요유(傅堯兪)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英宗)의 생부인 복안의왕(濮安懿王)을 추숭하는 일을 반대하다가 파직됨.
1024~109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헌강대왕(憲康大王)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헌경(獻卿) - 이초옥(李楚玉)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豊). 흡곡 현령(歙谷縣令) 이지렴(李之濂)의 아버지로,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름.
1606~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헌경(獻慶)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헌공(憲公) - 사장(謝莊)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시인.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侍中)에 제수됨. 사부(詞賦)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월부(月賦)》가 있음.
421~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헌길(獻吉)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헌대(憲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헌릉(憲陵)@광종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헌릉(憲陵)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릉(獻陵)@태종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릉(獻陵)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헌묘(憲廟)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묘(獻廟)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무(憲武)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헌무(獻武) - 사현(謝玄)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때의 무신. 재상 사안(謝安)의 조카로, 정예 8천 군사를 이끌고 부견(苻堅)의 백만 대군을 비수(肥水)에서 격파하여 용맹을 떨침.
343~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헌무(獻舞) - 애후(哀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 식후(息侯)의 부인에게 마음을 빼앗겨 초왕(楚王)을 선동하여 식(息)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자신도 초(楚) 나라의 공격을 받고 투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헌문(憲文)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문의무(獻文懿武)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문의무장숙흠효(獻文懿武章肅欽孝)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민(憲敏)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헌민(憲敏)@노직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헌민(憲敏)@고항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헌민(獻愍) - 정종(鄭悰)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부마. 본관은 해주(海州). 참판 정충경(鄭忠敬)의 아들로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함. 단종(端宗) 초기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지만, 세조(世曹)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
?~14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왕실>인척
-
헌병(獻丙)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헌보(獻甫)@기윤헌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헌보(獻甫) - 여세침(呂世琛)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여윤수(呂允秀)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 등을 역임함
1490~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헌부(憲府)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헌산(巘山) - 언양(彦陽)
경상도 울주(蔚州)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고려 인종(仁宗) 때 감무(監務)를 두고 언양으로 개칭함.
경상도>언양 , 지명>행정지명
-
헌숙(憲叔)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헌숙(憲肅) - 김치인(金致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로,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1785년(정조 9)에 《대전통편(大典通編)》 편찬을 주관함.
1716~17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헌숙(獻叔)@김근공 - 김근공(金謹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모(金瑁)의 서자로, 박응남(朴應男) 등과 함께 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함.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헌숙(獻叔)@송세형 - 송세형(宋世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재정(財政)에 밝아 시폐(時弊) 개혁에 힘씀.
?~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헌숙(獻叔)@허찬 - 허찬(許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허원보(許元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장인으로,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황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1~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헌숙(獻叔) - 백양규(白良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군위 훈도(軍尉訓導) 백승문(白承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헌순(獻舜)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헌양(巘陽) - 언양(彦陽)
경상도 울주(蔚州)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고려 인종(仁宗) 때 감무(監務)를 두고 언양으로 개칭함.
경상도>언양 , 지명>행정지명
-
헌왕(憲王)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헌왕(獻王)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헌왕(獻王)@혜왕 - 혜왕(惠王)@백제
백제 제28대 국왕. 재위 598~599. 성왕(聖王)의 둘째 아들로 형인 위덕왕(威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백제의 국세(國勢)가 점차 쇠약해지던 시기임.
?~599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헌왕(軒王)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헌요(軒曜) - 헌원성(軒轅星)
별자리 이름. 남방에 속하는 주작칠수(朱雀七宿)의 유(柳), 성(星), 장(張), 익(翼) 네 별자리에 걸쳐 있는 17개의 별. 황제(黃帝)의 모성(母星)이라 하며, 여주(女主)를 상징함.
자연물>천체
-
헌원계도현덕정공흠문예무제성소효황제(憲元繼道顯德定功欽文睿武齊聖昭孝皇帝)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윤(憲胤) - 김헌윤(金憲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의 아버지.
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헌의(獻懿) - 윤금손(尹金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강(尹之岡)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1458~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헌자(憲子)@사장 - 사장(謝莊)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시인.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侍中)에 제수됨. 사부(詞賦)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월부(月賦)》가 있음.
421~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헌자(憲子)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헌자(獻子)@맹헌자 - 맹헌자(孟獻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어진 대부. 다섯 사람의 벗과 교유하였는데, 스스로 세력 있는 가문임을 염두에 두지 않았고, 세력에 아부하는 세속 사람을 멀리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헌자(獻子) - 극극(郤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大夫).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헌자(獻子)@한궐 - 한궐(韓厥)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대부. 한기(韓起)의 아버지로, 여공(厲公)이 무도(無道)하여 난서(欒書)와 순언(荀偃)이 죽이려 할 때 동참하기를 거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헌장(獻章) - 진헌장(陳獻章)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오여필(吳與弼)에게 사사하고, 송대(宋代) 육상산(陸象山)의 학풍을 계승함. 유교경전의 자질구레한 해석에 몰두하는 명대(明代)의 주자학에 반발하고 실천성을 강조함.
1428~150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헌종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실록(憲宗經文緯武明仁哲孝大王實錄) - 헌종실록(憲宗實錄)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재위 15년간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기록한 책. 조인영(趙寅永)ㆍ정원용(鄭元容)ㆍ권돈인(權敦仁)ㆍ김흥근(金興根) 등이 편찬함.
18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헌주(獻主)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중(獻仲)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헌지(憲之)@고헌지 - 고헌지(顧憲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나라의 문신. 진남장군(鎭南將軍) 고개지(顧愷之)의 손자. 건강령(建康令)으로 있을 때 소도둑이 있었는데, 소를 풀어 가는 대로 두게 하니 다시 주인에게 돌아가서 도둑에게 벌을 주었다고 함.
436~50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헌지(憲之) - 금헌(琴憲)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봉화 현감(奉化縣監)을 지낸 금난수(琴蘭秀)의 아버지로, 정로위(定虜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헌지(獻之)@기자헌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헌지(獻之)@황필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헌지(獻之)@허침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헌지(獻之) - 변벽(卞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변중량(卞仲良)의 5대손으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평생을 바침.
148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헌지(獻之)@조침 - 조침(趙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의 부마인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