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헌지(獻之)@임영대군 - 임영대군(臨瀛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銃筒) 제작을 감독하고, 문종(文宗) 때 화차(火車)를 제작하였으며, 세조(世祖)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
1418~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헌지(獻之)@왕헌지 - 왕헌지(王獻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부친으로부터 서법을 이어받아 호기 있는 서풍(書風)을 완성함.
344~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헌지(獻之)@황여헌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헌창(憲昌) - 김헌창(金憲昌)
신라 헌덕왕(憲德王) 때의 왕족. 무열왕계인 아버지 김주원(金周元)이 내물왕계 귀족들의 반대로 왕위 계승에서 밀려나자 822년 공주(公州)에서 난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했다가 관군에 패하여 자살함.
?~82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헌천숭도영명신성흠문소무관인순효장황제(憲天崇道英明神聖欽文昭武寬仁純孝章皇帝) - 선종(宣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5대 황제. 재위 1425~1435. 재위 기간 중 과거법(科擧法)을 고치고 군제(軍制)와 학제(學制)를 개혁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1398~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천홍도(憲天弘道)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헌평(憲平) - 이봉(李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이자, 이파(李坡)의 아우로,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41~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헌혜(獻惠)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헌황(憲皇)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황(軒皇)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헌황제(獻皇帝)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헌효(獻孝) - 충혜왕(忠惠王)
고려 제28대 왕. 재위 1330~1332, 1339~1344. 충숙왕(忠肅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재리(財利)에 밝아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탐음부도(貪淫不道)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아 원(元) 나라로 귀양가다가 중도에 죽음
1315~134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헌후(軒后)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헐후(歇後) - 정오헐후체(鄭五歇後體)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정계(鄭綮)가 쓴 시체(詩體). 헐후(歇後)는 뒤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앞의 은유어로 대신하고 말하지 않는 문체로, 정계가 시에 능하여 헐후체를 사용하여 시사를 풍자한 데서 비롯됨.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헐후정공(歇後鄭公) - 정계(鄭綮)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 헐후체(歇後體)의 해학적인 시로써 조정의 실정(失政)을 풍자하는 데 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헐후정오(歇後鄭五) - 정계(鄭綮)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 헐후체(歇後體)의 해학적인 시로써 조정의 실정(失政)을 풍자하는 데 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헐후체(歇後體) - 정오헐후체(鄭五歇後體)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정계(鄭綮)가 쓴 시체(詩體). 헐후(歇後)는 뒤에서 하고자 하는 말을 앞의 은유어로 대신하고 말하지 않는 문체로, 정계가 시에 능하여 헐후체를 사용하여 시사를 풍자한 데서 비롯됨.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험(嶮) - 이험(李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참판(參判) 이륙(李陸)의 아들이며 대사간(大司諫) 이찬(李澯)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혁(奕)@조혁 - 조혁(趙奕)
고려 후기의 무신. 원(元) 나라에서 활동한 승려 해원(海圓)의 아버지로, 검교감(檢校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무신
-
혁(奕) - 윤혁(尹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밀직사(密直司) 등을 지냈으며,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혁(赫) - 황혁(黃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黃廷彧)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 이이첨(李爾瞻)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혁(革)@홍혁 - 홍혁(洪革)
고려 후기의 유학. 권보(權溥)ㆍ민지(閔漬)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혁(革) - 김혁(金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백겸(金伯謙)의 아버지로, 행 통정대부(行通政大夫) 중화군 지사(中和郡知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혁거세(赫居世)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혁거씨(赫居氏) -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신라의 시조. 재위 B.C.57~A.D.4. 양산(楊山) 아래 나정(蘿井)에서 난생(卵生)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居西干)에 올랐으며,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
B.C.69~A.D.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혁지(革之) - 박항(朴恒)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춘천박씨(春川朴氏)의 시조로, 박광정(朴光挺)의 아버지.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27~128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혁충(奕忠) - 오혁충(吳奕忠)
고려 후기의 문신. 태허정(太虛亭) 최항(崔恒)의 외조부(外祖父)이며,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를 역임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현(俔) - 이현(李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여섯 번째 아들.
1543~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현(俔)@성현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俔)@김현 - 김현(金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낸 김봉상(金鳳祥)의 아버지. 강이습독관(講肄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현(晛)@윤현 - 윤현(尹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담수(尹聃壽)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며, 서인(西人)의 거두인 윤두수(尹斗壽)ㆍ윤근수(尹根壽)와 함께 ‘삼윤(三尹)’으로 일컬어짐.
1536~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현(晛)@남현 - 남현(南晛)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 남응정(南應井)의 아들로, 유생 정려(鄭呂)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현(晛)@권현 - 권현(權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권진(權縉)의 아버지로, 《미수기언(眉叟記言)》에 묘지명이 전함.
1554~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현(晛) - 고현(高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제주(濟州). 영성군(瀛城君) 고희(高曦)의 동생.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까지 호위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현(晛)@최현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현(玄)@최현 - 최현(崔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충숙왕(忠肅王) 때의 폐신(嬖臣)인 최안도(崔安道)의 아버지로, 광정대부 검교 첨의평리(匡靖大夫檢校僉議評理)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 , 인명>관인>문신
-
현(玄) - 이현(李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현(玄)@구양현 - 구양현(歐陽玄)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경세대전(經世大典)》ㆍ《사조실록(四朝實錄)》을 편찬하였으며, 《요사(遼史)》ㆍ《금사(金史)》ㆍ《송사(宋史)》의 찬수 총재관(撰修總裁官)을 맡음.
1273~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玹)@민현 - 민현(閔玹)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대제학 첨의정승(大提學僉議政丞) 민지(閔漬)의 손자이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민여익(閔汝翼)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현(玹) - 안현(安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醫局)도 관리하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1~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현(玹)@이현 - 수춘군(壽春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서자. 어머니는 혜빈양씨(惠嬪楊氏)이고 1437년(세종 19) 수춘군(壽春君)에 봉해졌으나 일찍 죽음.
1431~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현(琄) - 제안대군(齊安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韓氏). 예종이 죽자 어리고 총명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즉위하지 못하고, 1470년(성종 1) 제안대군(齊安大君)에 봉해짐.
1466~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현(睍) - 권현(權睍)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넷째 아들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으며, 외직을 두루 거친 후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576~16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현(礥)@정현 - 정현(鄭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정백붕(鄭百朋)의 아들로, 아버지를 도와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됨. 말년에는 부사(府使)직을 사임하고 양주(楊州) 소요산(逍遙山)에 은거함.
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현(礥) - 신현(申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통판(通判)을 지냄. 유호인(兪好仁)의 《뇌계집(㵢谿集)》〈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현(贒)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현(鉉)@김현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현(鉉)@송현 - 송현(宋鉉)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희규(宋希奎)의 아들로, 1556년(명종1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현(鉉)@임현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현(鉉)@이포의아들 - 이현(李鉉)@이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자,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아들로, 호산군(湖山君)에 봉해지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현(鉉)@윤현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鉉) - 권현(權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낸 권황(權煌)의 아버지.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현(鉉)@이희의아들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현(顯) - 곽현(霍顯)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외척. 곽광(霍光)의 처로 막내딸 성군(成君)을 귀하게 만들 욕심으로, 선제(宣帝)의 허후(許后)를 독살하고 성군을 후비(后妃)가 되게 하였으며, 음란한 짓을 일삼다가 허후를 시해한 일이 탄로가 나 일문이 멸족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현(顯)@강현 - 강현(姜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여 귀양보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ㆍ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등을 지냄.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현강(玄江) - 유성(柳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유현강(柳玄江)이 지은 〈차면앙정운(次俛仰亭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현경(玄慶)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현경(玄經)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현경(顯卿)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현계(賢契) - 신영손(辛永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문인으로 김숙자(金淑滋)와 교유하였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현곡(玄谷)@조위한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곡(玄谷)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공(玄恭) - 모용각(慕容恪)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장군. 태조(太祖)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로, 장군이 되어 요동(遼東)을 정벌함.
?~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현과(賢科) -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中宗) 때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과거제도 대신 대책(對策)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 1519년(중종 15)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
1519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현관(賢關)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현광(顯光) - 장현광(張顯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된 이후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몰두하여 경학(經學)에 일가를 이룸.
155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구(玄駒)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현규(玄圭)@우공 - 우공(禹貢)
조선 세종(世宗)~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선언(禹善言)의 아버지. 세조(世祖) 때 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을 토벌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었으며, 단성군(丹城君)으로 봉해짐.
1415~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현규(玄圭) - 하우석(河禹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사과(司果)를 지낸 하유(河鮪)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현기(玄磯)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현기(玄紀)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현길(見吉) - 우복룡(禹伏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龍宮縣監)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승진하였으며, 홍주 목사(洪州牧使)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
1547~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현덕(玄德)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덕(顯德)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현덕선생(玄德先生) - 법진(法眞)
중국 후한(後漢) 효순제(孝順帝) 때의 처사(處士). 여러 학문에 통달하여 관서(關西) 지역의 대유(大儒)가 됨
99~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현도(玄度)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현도(顯道)@나양좌 - 나양좌(羅良佐)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윤선거(尹宣擧)의 문인으로,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金壽恒)과 매제 이사명(李師命)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
1638~17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현도(顯道)@이문좌 - 이문좌(李文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안협 현감(安峽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현도(顯道)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동(賢同)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현동(賢童)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현동자(玄洞子)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현랑(玄朗)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량방정과(賢良方正科) -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中宗) 때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과거제도 대신 대책(對策)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 1519년(중종 15)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
1519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현령(玄齡) - 방현령(房玄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 정관(貞觀)의 치세(治世)를 이끈 핵심 인물로, 두여회(杜如晦)를 천거함.
578~64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례(玄醴)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현로(玄老)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룡(玄龍) - 권현룡(權玄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우왕 7)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는 등 여러 차례 왜구토벌에 공을 세움. 힘이 세어 대항할 자가 없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만인적(萬人敵)이라 일컬음.
?~1386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현룡(見龍)@백현룡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현룡(見龍)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릉(玄陵)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릉(顯陵)@문종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현릉(顯陵)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릉(顯陵)@현릉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현명(玄明)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명(顯命)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현모(顯廟)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현몽(玄蒙) - 박현몽(朴玄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풍천 교수(豐川敎授) 등을 지냈으며,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그에게 보내는 시(詩)가 실려 있음.
1442~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현묘(顯墓)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현묘(顯廟)@현종(고려)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