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사인(禹思仁)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받음.
1527~?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상(禹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우인손(禹仁孫)의 아들.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07~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선언(禹善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노자(老子)ㆍ장자(莊子)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淸談派)의 한 사람으로, 자신을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우성범(禹成範)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단양(丹陽). 우현보(禹玄寶)의 손자이자, 우홍수(禹洪壽)의 아들로, 공양왕의 둘째 딸 정신궁주(貞信宮主)와 혼인함. 공양왕이 폐위되자 다른 부마들과 함께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우성윤(禹成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우성전(禹性傳)의 조부.
1473~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세남집(虞世南集)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인 우세남(虞世南)의 저서.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송집(友松集)
조선 후기의 문인인 김세규(金世奎)의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918년 후손 김용환(金容煥)ㆍ김태현(金泰鉉) 등에 의해 간행됨. 정약용(丁若鏞)ㆍ조익현(曺翊鉉)의 서문과 나경(羅炅)의 후서가 실려 있음.
1918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우수(禹樹)
조선 전기의 유학. 강희맹(姜希孟)의 조카사위로, 강희맹이 그에게 자(字)를 지어 주고 그 의미를 기록한 것이 《사숙재집(私淑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우순(禹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우순필(禹舜弼)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과 교유하였으며, 조욱이 그에 관해 노래한 시가 《용문집(龍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우승유(牛僧孺)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내고,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 이종민(李宗閔)과 붕당(朋黨)을 만들어 이덕유(李德裕) 일파와 정쟁을 벌임.
779~84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암(愚巖)
경상도 예안(禮安) 오천리(烏川里)에 있던 암벽 이름. 낙동강(洛東江)을 굽어보고 있으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만균(金萬鈞)이 이곳에 침류정(枕流亭)을 세움.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豐山邑)에 속함.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우암고(寓菴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홍언충(洪彦忠)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우암유집(寓庵遺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김주(金澍)의 시문집. 7권 1책. 목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김래(金䅘)에 의해 간행되고, 이복원(李福源)의 서문과 김래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우언겸(禹彦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생부.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안동 판관(安東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엄(禹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낸 우세신(禹世臣)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우이당쟁(牛李黨爭)
중국 당(唐) 나라의 목종(穆宗)~무종(武宗) 연간에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이 당파를 결성하여 이길보(李吉甫)ㆍ이덕유(李德裕) 부자와 맞서 대립한 사건. 과거 출신 관료와 귀족 관료 사이의 당쟁으로, 820년경부터 40년간 격렬한 정쟁이 계속됨.
중국>당 , 중국 , 사건>사화
-
우인손(禹仁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을 지낸 우상(禹鏛)의 아버지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우정국(于定國)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우공(于公)의 아들로, 승상(丞相)을 지냄. 아버지 우공이 옥사(獄史)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
?~B.C.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정집(憂亭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김극성(金克成)의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후손 김영수(金永秀)ㆍ김헌수(金憲秀) 등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송내희(宋來熙)의 서문과 정귀석(鄭龜錫)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제(于濟)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작시법(作詩法)을 실제적으로 제시한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편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우제(禹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천계(禹天啓)의 아들. 홍건적(紅巾賊)의 침입과 김용(金鏞)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최유(崔濡)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우조(羽調)
악곡(樂曲)에 쓰이는 악조(樂調)의 명칭 가운데 하나.
기타>가무
-
우종손(禹從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경조윤(京兆尹) 우맹선(禹孟善)의 아버지로, 동래 현령(東萊縣令) 등을 지냄.
1457~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우준겸(禹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성윤(禹成允)의 아들이며,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아버지.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우천계(禹天啓)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찬성사(贊成事) 우제(禹磾)의 아버지이며, 우천규(禹天珪)의 동생으로, 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천규(禹天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성균좨주(成均祭酒) 우탁(禹倬)의 아버지로, 남성전서 문하시중(南省典書門下侍中)에 증직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헌집(寓軒集)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유세명(柳世鳴)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유종춘(柳宗春)ㆍ유상춘(柳象春) 등이 간행을 준비하였으며, 1833년(순조 33) 유태좌(柳台佐)의 주관 하에 간행됨. 유의목(柳懿睦)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3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홍수(禹洪壽)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들이며, 단양군(丹陽君) 우성범(禹成範)의 아버지. 1389년(창왕 1)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인주(仁州)에 유배되고, 1392년(태조 1) 정도전(鄭道傳)의 모함을 받아 순천(順天)에 유배되었다가 장살됨.
1355~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때의 무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 때 행주(幸州) 싸움에서 대패하고, 정유재란 때 남원(南原)ㆍ전주(全州)를 점령하였다가 퇴각함.
1573~165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욱리자(郁離子)
중국 원(元)~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기(劉基)의 우언식(寓言式) 산문집. 원 왕조가 명 왕조로 교체되기 직전의 대변혁기에 새로운 왕조의 탄생을 위해 저술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욱사(旭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문집《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를 읊은 시가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소(雲^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가 지었다는 음악인 운문악(雲門樂)과,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인 소소(簫韶)를 함께 부르는 말. 제왕의 음악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운^항(運^恒)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성운(成運)과 이항(李恒)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운강집(雲岡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공용경(龔用卿)의 저서.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운계집(雲溪集)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인 왕질(王銍)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곡사(雲谷祠)
조선 정조(正祖) 때 전라도 흥양(興陽)에 건립한 사당. 유몽인(柳夢寅)ㆍ정운희(丁運熙) 등을 배향하였으나, 1868년(고종 5)에 훼철됨. 현재 전라남도 고흥군(高興郡)에 속함.
178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유적>건물>사당
-
운곡서원(雲谷書院)@경주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권행(權幸)ㆍ권산해(權山海)ㆍ권덕린(權德麟)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78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곡서원(雲谷書院)@충주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충주(忠州)에 건립한 서원. 1602년(선조 35) 백운서당(白雲書堂)에 주자(朱子)를 모시고 백운서원(白雲書院)이라 하였다가 1661년(현종 2)에 운곡서원이라 함. 1676년(숙종 2) 사액되었으며, 주자ㆍ정구(鄭逑)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북도 음성군(陰城郡)에 속함.
166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곡행록(耘谷行錄)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의 시문집. 5권 3책. 활자본. 1858년(철종 9) 16대손 원은(元櫽)이 간행함. 행록(行錄)과 사적(事蹟)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동량(朴東亮)과 정장(鄭莊)ㆍ정범조(丁範祖)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두성(雲頭城)
함경도 회령(會寧)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石城). 둘레는 10여 리로,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豆滿江)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
함경도>회령 , 유적>시설>성,진,책
-
운몽택(雲夢澤)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북쪽에 있던 못 이름. 고대에는 초(楚) 나라 지역에 속하였으며, 원래는 운택(雲澤)과 몽택(夢澤) 두 개의 못이었으나 후대에 합칭(合稱)한 것이라 함. 큰 못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용어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운문광록(雲門廣錄)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인 운문선사(雲門禪士) 문언(文偃)의 어록. 3권. 문언의 언행 및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함.
958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운문산(雲門山)
경상도 청도(靑道)의 동쪽 96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기암괴석과 계곡이 절경을 이루며, 현재 경상남도 청도군 운문면(雲門面)과 경상북도 밀양시(密陽市) 산내면(山內面)의 경계에 속함.
경상도>청도 , 지명>자연지명
-
운문산(雲門山)@중국
중국 광동성(廣東省) 소주(韶州)에 있는 산 이름. 문언(文偃)을 종조(宗祖)로 하는 선종(禪宗)의 한 파인 운문종(雲門宗)이 이곳에서 나옴.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운문악(雲門樂)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가 지었다는 음악 이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운미(雲美)
고려 명종(明宗) 때의 승려. 만악산(萬嶽山) 용암사(龍巖寺)의 주지로, 존도(存道)와 함께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최충헌(崔忠獻)이 집권한 이후 왕궁에서 쫓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종교인>승려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운봉(雲峯)@인명
조선 전기의 승려. 무본(無本)의 제자. 18세에 도과(道科)에 합격하고 28세에 주지가 되었으나 사양한 뒤, 산중에 암자를 짓고 평생을 지냄. 술과 바둑을 좋아하고 시를 잘 지음. 《탁영집(濯纓集)》에 〈증상인운봉서(贈上人雲峯序)〉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봉집(雲峰集)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인 호병문(胡炳文)의 문집. 2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운부군옥(韻府群玉)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음유우(陰幼遇)가 짓고 동생 음유달(陰幼達)이 주석한 사전. 운(韻)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함. 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사(雲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문집《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를 읊은 시가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산서원(雲山書院)
조선 순조(純祖) 때 경상도 영덕(盈德)에 세운 서원. 백문보(白文寶)ㆍ백현룡(白見龍)을 제향함.
18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산집(雲山集)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이휘재(李彙載)의 문집. 13권.
1923 한국>근대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운수(雲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승려. 계룡산(鷄龍山) 가섭암(迦葉菴)을 중창(重創)했으며, 그 전말이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암(雲庵)
조선 전기의 승려.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2수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암사(雲巖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사우(祠宇). 송제민(宋齊民)ㆍ권필(權韠) 등을 제향함.
17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운암일기(雲巖日記)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명일(金明一)이 쓴 일기.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암잡록(雲巖雜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성룡(柳成龍)이 저술한 책. 필사본. 1책. 주로 동서분당(東西分黨)의 내용을 다루었으며, 주요 관련 인물인 심의겸(沈義謙)ㆍ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정철(鄭澈)ㆍ최영경(崔永慶) 등의 행적을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재집(芸齋集)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귀화인인 설장수(偰長壽)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운전서원(雲田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함경도 함흥(咸興)에 건립한 서원. 1727년(영조 3)에 사액되었으며, 정몽주(鄭夢周)ㆍ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ㆍ민정중(閔鼎重) 등을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제록(雲堤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항(姜沆)이 지은 시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주(鄆州)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수(隋) 나라 때 설치되었으며, 북송(北宋) 말에 동평부(東平府)로 개칭됨. 치소(治所)는 만안(萬安)으로, 후에 운성(鄆城)으로 개칭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운중(雲中)
중국 북부 내몽고(內蒙古)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 때 설치되었으며, 이후 선비(鮮卑)와 흉노(匈奴) 등 북방 이민족들의 주요 활동 무대가 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운평집(雲坪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능상(宋能相)의 문집. 순조(純祖) 초에 제자이자 족질인 송환기(宋煥箕)에 의해 10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학집(雲壑集)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인 오거(吳琚)의 문집. 산일되어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흥사(雲興寺)
통일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전라도 나주(羅州)의 덕룡산(德龍山)에 창건한 사찰.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찰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울산김씨(蔚山金氏)
통일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로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해진 김덕지(金德摯)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울산 , 인명>집단>성씨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울진(蔚珍)
강원도 동쪽 해안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동해 중부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지금의 울진은 옛 울진과 평해(平海)가 합하여 이루어짐. 지금은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함.
강원도>울진 , 지명>행정지명
-
울진장씨(蔚珍張氏)
고려 정종(靖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에 봉해진 장말익(張末翼)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집단>성씨
-
웅절(熊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서실(書室)을 지인당(智仁堂)이라고 했으며, 저서에는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웅화(熊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9년(광해군 1)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제가 보낸 선조(宣祖)에 대한 제(祭)와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백(元^白)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元稹)과 시인인 백거이(白居易)를 함께 부르는 말. 시문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원^서(原^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인 오운(伍員)과 초(楚)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굴원(屈原)을 함께 부르는 말. 충간(忠諫)하다가 억울하게 죽은 자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원^이(元^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한 원균(元均)과 이순신(李舜臣)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원^한(元^韓)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원적(元績)과 한온(韓蘊)을 함께 부르는 말.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달량포(達梁浦)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사람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사상>술어>관용어
-
원가갈(袁家渴)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주(永州)에 있던 명승지의 하나. 지산(芝山)의 성 남쪽에 있으며, 대대로 원씨(袁氏)들이 살던 곳으로, 모래톱에 있는 돌섬으로 인해 물이 역류하는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유종원(柳宗元)의 〈원가갈기(袁家渴記)〉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원각경소(圓覺經疏)
조선 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지은 《원각경(圓覺經)》에 대한 주석서. 당(唐) 나라 규봉(圭峰)의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와 큰 이견이 있어 저술함. 3권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원각사(圓覺寺)
서울 종로(鍾路)에 있었던 사찰. 조선 세조(世祖) 때 중건하였으며, 연산군(燕山君) 때 기방(妓房)이 되었다가 중종(中宗) 때 훼철됨. 국왕의 원찰(願刹) 및 국찰(國刹)로서의 기능을 함.
1464~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사찰
-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인 원감국사(圓鑑國師) 충지(冲止)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