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현묘(顯廟)@현종 - 현종(顯宗)@조선
조선 제18대 왕. 재위 1659~1674. 효종(孝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대동법(大同法) 시행ㆍ동철활자(銅鐵活字)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 예론(禮論)을 둘러싼 남인(南人)ㆍ서인(西人)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
1641~1674 한국>조선후기 , 인명>왕실>국왕
-
현묘(顯廟)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묵(玄默) - 홍만종(洪萬宗)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정두경(鄭斗卿)의 문인으로, 김득신(金得臣)ㆍ홍석기(洪錫箕) 등과 교유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학문과 문장에 뜻을 두어 역사ㆍ지리ㆍ설화ㆍ가요ㆍ시 등의 저술에 전념함.
1643~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현백(顯伯)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현보(玄寶)@이현보 - 이현보(李玄寶)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 이보흠(李甫欽)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현보(玄寶)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현보(賢甫) - 김승경(金升卿)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신민(金新民)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좌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추형(追刑)을 당하였음.
1430~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효원(孝元)@최영경 - 최영경(崔永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 정구(鄭逑)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되어 정철(鄭澈)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獄死)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원(孝元)@남효원 - 남효원(南孝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병조 참의 남염(南恬)의 아들이며,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사위로, 정평 부사(定平府使)를 거쳐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효원(孝元)@이효원 - 이효원(李孝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인 곡성군(鵠城君) 이금손(李金孫)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어 행동을 조심했고 형제들과 한 집에 살면서 우애가 좋았음.
1464~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원(孝元)@이수증 - 이순증(李順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귀손(李龜孫)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효원(孝元)@김효원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원(孝元)@박효원 - 박효원(朴孝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으로, 성세준(成世俊)의 장인.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나, 임사홍(任士洪) 등과 결탁하여 대신들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효원(孝源)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원(孝源)@민효원 - 민효원(閔孝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민회삼(閔懷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효원(效元)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효원(效元)@한효원 - 한효원(韓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원제(孝元帝) - 원제(元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48~B.C.33.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宣帝)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
B.C.75~B.C.3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원후(孝元后)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유(孝孺)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효유왕대비(孝裕王大妃) -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어머니. 본관은 풍양(豊壤).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의 딸로, 1819년(순조 19)에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 됨. 1834년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하여 효명세자가 익종(翼宗)으로 추봉되자 왕대비가 됨. 능은 수릉(綏陵).
1808~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유헌성왕대비(孝裕獻聖王大妃) -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어머니. 본관은 풍양(豊壤).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의 딸로, 1819년(순조 19)에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 됨. 1834년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하여 효명세자가 익종(翼宗)으로 추봉되자 왕대비가 됨. 능은 수릉(綏陵).
1808~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윤(孝胤)@한효윤 - 한효윤(韓孝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문천 군수(文川郡守)를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아들.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성 판관(鏡城判官)ㆍ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냄.
1536~15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효윤(孝胤) - 이효윤(李孝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장자(長子).
1554~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은(孝誾) - 이희민(李希閔)@이호민의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낸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의(孝毅) - 이변(李抃)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신원됨.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의(孝義)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효이(孝移) - 이정면(李廷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민각(李民覺)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효익(孝翼)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효인(孝印) - 김효인(金孝印)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231년(고종 18) 몽고 침입 때 전중 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몽고측의 첩문(牒文)을 인수하는 일을 맡았으며, 관직이 병부 상서(兵部尙書)에 이름.
?~12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인황후동씨(孝仁皇后董氏) - 효인황후(孝仁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어머니이고 효인황(孝仁皇)의 아내로, 영제 즉위 후 진원귀인(眞元貴人)으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자왕후(孝資王后) - 의성왕후(義成王后)
신라 제53대 신덕왕(神德王)의 비. 성은 김(金). 헌강왕(憲康王)의 딸이며, 경명왕(景明王)ㆍ경애왕(景哀王)의 어머니.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효작(孝綽) - 유효작(劉孝綽)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7세에 속문(屬文)을 하여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양 무제(梁武帝)에게 시 7수를 지어 바쳐 비서승(祕書丞)을 제수받음. 하손(何遜)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481~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효장(孝章) - 성헌(盛憲)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공융(孔融)과 깊이 교유하였으며, 효렴(孝廉)으로 상서랑(尙書郞)이 되고 오군 태수(吳郡太守)가 되었으나 그의 명성에 위기를 느낀 손권(孫權)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장(孝長) - 이효장(李孝長)
조선 전기의 종친. 영정수(永貞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버지로, 도개부정(道開副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장(驍將) - 이봉(怡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무신.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北周)의 태조(太祖)가 된 우문태(宇文泰)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효전(孝全)@윤효전 - 윤효전(尹孝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윤휴(尹鑴)의 아버지. 민순(閔純)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서경덕(徐敬德)을 존숭하여 《화담집(花潭集)》 간행에 참여하고, 계축화옥(癸丑禍獄)에 가담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됨.
1563~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전(孝全)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효절(孝節)@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효절(孝節)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효정(孝定)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효정(孝貞)@윤돈 - 윤돈(尹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接伴官)으로 활약함.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선조의 능(陵)을 조성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정(孝貞)@이재원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정(孝貞) - 이린(李鏻)
조선 전기의 종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宣祖)의 형으로, 중종(中宗)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錦原君)에게 출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통천(通川)에서 죽음.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효정(孝貞)@무산군 - 무산군(茂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두 번째 아들. 명빈김씨(明嬪金氏)의 소생으로, 학문은 물론 서예에도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90~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효정(孝貞)@윤효정 - 윤효정(尹孝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경(尹耕)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이후로 숨어 살며 ‘어초은자(漁樵隱者)’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효정(孝貞)@윤종의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정(孝靖) - 이정간(李貞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구직(李丘直)의 맏아들로,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360~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효정왕후(孝定王后)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제(孝悌) - 문효제(文孝悌)
고려 목종(穆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문극유(文克裕)의 아들.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등을 지냈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효조(孝祖)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종(孝宗)@나효종 - 나효종(羅孝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한 나신국(羅藎國)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효종(孝宗) - 정효종(鄭孝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24년(중종 19) 이해(李瀣) 등과 함께 용산(龍山)에서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효종(孝終) - 정효종(鄭孝終)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낸 정지년(鄭知年)의 아들로, 1458년(세조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효종선문장무신성현인대왕(孝宗宣文章武神聖顯仁大王)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종효강장황후(孝宗孝康張皇后) - 효강장황후(孝康張皇后)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孝宗)의 비(妃).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중(孝中)@유효중 - 유효중(柳孝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中宗) 때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지낸 유인수(柳仁洙)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효중(孝中) - 엄용순(嚴用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효중(孝仲)@김영조 - 김영조(金榮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사위로,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음.
1577~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중(孝仲)@채소권 - 채소권(蔡紹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중(孝仲) - 정창손(鄭昌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로, 《고려사(高麗史)》ㆍ《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02~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효증(孝曾)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효증(孝曾)@민효증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지(孝智) - 이효지(李孝智)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직(孝直)@신의경 - 신의경(申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620년(광해군 1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禮學)을 강론하고 상례(喪禮)를 깊이 연구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 1책을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효직(孝直)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질황제(孝質皇帝) - 질제(質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황제. 재위 145~146. 장제(章帝)의 현손이고 발해왕(渤海王) 유홍(劉鴻)의 아들. 충제(冲帝) 때 즉위하여 1년 만에 독살당함.
138~14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징(孝徵) - 김응조(金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산음 현감(山陰縣監)을 지낸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손녀 사위. 유성룡(柳成龍)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87~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창(孝昌)@홍효창 - 홍효창(洪孝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현감(縣監) 홍계강(洪係江)의 아들이며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홍경창(洪慶昌)의 아우.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효창(孝昌)@신효창 - 신효창(申孝昌)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와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역임하였으나, 탄핵을 받아 무주(茂朱)로 귀양 갔다 돌아옴.
?~145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창(孝昌) - 이효창(李孝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넷째 아들. 무과(武科)에 장원하고, 경서나 역사서도 두루 통할 만큼 학문에도 뛰어남.
1450~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효창(曉窓)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효창노인(曉窓老人)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효첨(孝瞻) - 어효첨(魚孝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가학(家學)에 영향을 받아 문명(文名)을 날리고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405~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충(孝冲) - 충제(冲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8대 황제. 재위 144~145년. 순제(順帝)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우귀인(虞貴人). 두 살 때 즉위하여 순제의 황후인 양씨(梁氏)가 섭정하고, 조준(趙峻)과 이고(李固) 등이 정사를 보좌했지만 양씨 외척들이 득세하여 정권을 전횡함.
143~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충(孝忠)@이효충 - 이효충(李孝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형(李泂)의 아버지로, 전첨사 녹사(典籤司錄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효충(孝忠) - 어효첨(魚孝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가학(家學)에 영향을 받아 문명(文名)을 날리고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405~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충(孝忠)@정효충 - 정효충(鄭孝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총(鄭摠)의 아들이자 광흥창 사(廣興倉使) 안중담(安仲聃)의 장인으로,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394~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효충(效忠) - 이효충(李效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예에 능해 예조 좌랑(禮曹佐郞) 겸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나, 별시(別試)에 장원한 이듬해 병사(病死)함.
1484~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효충분위병기결책영국공신(效忠奮威炳幾決策寧國功臣) - 영국공신(寧國功臣)
조선 인조(仁祖) 22년에 심기원(沈器遠)의 역모를 막은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자점(金自點)과 1등에 책봉된 김류(金瑬) 등이 이후 최고의 권력자로 부상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효충분위병기영국공신(效忠奮威炳幾寧國功臣) - 영국공신(寧國功臣)
조선 인조(仁祖) 22년에 심기원(沈器遠)의 역모를 막은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김자점(金自點)과 1등에 책봉된 김류(金瑬) 등이 이후 최고의 권력자로 부상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법제>제도
-
효충분의병기결책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決策翼社功臣)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柳希奮)ㆍ최유원(崔有源)ㆍ윤효전(尹孝全) 등 총 48명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효충분의병기익사공신(效忠奮義炳幾翼社功臣)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柳希奮)ㆍ최유원(崔有源)ㆍ윤효전(尹孝全) 등 총 48명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효충분의익사공신(效忠奮義翼社功臣)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柳希奮)ㆍ최유원(崔有源)ㆍ윤효전(尹孝全) 등 총 48명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효헌(孝憲)@김시환 - 김시환(金始煥)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김상성(金尙星)의 아버지.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661~173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효헌(孝憲)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효헌(孝憲)@이교익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헌(孝憲)@한형윤 - 한형윤(韓亨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의 아버지. 1492년(성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70~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효헌(孝獻)@황효헌 - 황효헌(黃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담론(談論)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 이행(李荇)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함.
1491~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헌(孝獻) - 김찬(金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언침(金彦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인(東人)의 영수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 일본과의 강화(講和)에서 공을 세움.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
1543~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혜(孝惠)@문유필 - 문유필(文惟弼)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덕병(德柄) 문극겸(文克謙)의 아들로, 추밀원사(樞密院使)ㆍ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냄.
?~122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효혜(孝惠)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혜전(孝惠殿)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혜제(孝惠帝)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혜황제(孝惠皇帝) - 혜제(惠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90~306. 무제(武帝)의 아들. 성품이 어리석어 통치력을 상실한 탓에 팔왕(八王)의 난(亂)과 오호(五胡)의 발호를 야기하여, 서진(西晉)의 멸망 원인을 제공함.
25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화황제(孝和皇帝)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환(孝懽) - 민효환(閔孝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소윤(小尹) 민대생(閔大生)의 아들이며, 민효열(閔孝悅)의 형.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효환(孝桓) - 환제(桓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11대 황제. 재위 147~167. 장제(章帝)의 증손이고,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의 아들. 양태후(梁太后)에 의해서 즉위하였고, 성장 후 환관(宦官) 단초(單超) 등의 힘을 빌어 양태후 일당을 조정에서 몰아냄.
132~16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황제(孝皇帝) - 경종(景宗)@오대십국(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민(閩) 나라의 제5대 왕. 재위 939~944.
?~94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회황제(孝懷皇帝)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