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효효재(嘐嘐齋) - 김용겸(金用謙)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창즙(金昌緝)의 아들.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게 경서(經書)와 예서(禮書)를 배웠으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702~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희(孝僖)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후(厚)@유후 - 유후(柳厚)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유숙(柳淑)의 아들이며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 유기(柳沂)의 아버지로, 군부 총랑(軍簿摠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후(厚)@양후 - 양후(楊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관(判官) 양자순(楊子淳)의 아버지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후(厚)@서후 - 서후(徐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학문이 뛰어나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사유(師儒)에 뽑히기도 하였으나 조광조를 비판하여 사림(士林)의 원망을 받음. 군무(軍務)에 큰 관심을 기울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후(厚) - 김후(金厚)
고려 후기의 문신. 내부령(內府令)을 지낸 김승용(金承用)의 아들로,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를 지냈고, 상락군(上洛君)에 습봉(襲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후(垕) - 이후(李垕)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중종(中宗)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의 현손(玄孫). 한충(韓忠)의 문집인 《송재집(松齋集)》에 〈삼송정실기(三松亭記實)〉가 실려 있음.
1611~16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후(煦)@신후 - 신후(申煦)
조선 명종(明宗) 때의 효자. 본관은 평산(平山). 예로써 행동하고,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해서는 정성을 다함.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28~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효자
-
후(煦)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후(珝)@노후 - 노후(盧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참봉(參奉) 노경장(盧敬長)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ㆍ간성 군수(杆城郡守)를 지냄.
1475~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후(珝)@이후 - 신성군(信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네 번째 서자.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으로,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한때 세자 책봉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좌절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란 도중 의주(義州)에서 병사함.
1578~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후(珝) - 김후(金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김윤제(金允悌)의 아버지.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후(詡) - 허후(許詡)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조(許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된 후 교살(絞殺)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후갑(後甲) - 신후갑(愼後甲)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신자건(愼自健)의 아버지로, 1438년(세종 2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후경(厚卿) - 구인기(具仁墍)
조선 광해군(光海君)~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조의 모후(母后)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조카로,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벼슬이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97~16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후계(后溪) - 김범(金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내고,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51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후곡(後谷)@송규창 - 송규창(宋奎昌)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후곡(後谷) - 모곡(茅谷)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함안 , 지명>자연지명
-
후관후(候官侯)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덕(厚德) - 누후덕(婁厚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누사덕(婁師德)의 동생으로, 대주 자사(代州刺史)를 지냄.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침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리라’고 한 타면자건(唾面自乾)의 고사가 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후덕군(厚德君)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후덕왕대비(厚德王大妃)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후량태조(後梁太祖)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령(後嶺) - 대현(大峴)
황해도 서흥(瑞興)에 있는 산 이름.
황해도>서흥 , 지명>자연지명
-
후릉(厚陵)@강종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후릉(厚陵)@정종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후릉(厚陵) - 정안왕후(定安王后)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비.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김천서(金天瑞)의 딸로 정종이 즉위하면서 덕비(德妃)에 진봉(進封)되었고, 정종(定宗)이 태종(太宗)에게 전위하고 상왕(上王)이 되자 순덕왕대비(順德王大妃)의 존호를 가상(加上)받았음.
1355~14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후리왕조(後李王朝) - 대월(大越)
베트남의 3대 왕조(王朝) 가운데 첫 번째 왕조. 1010년 이온공(李蘊公)이 하노이(河內)에 도읍하여 세웠으며 아들인 태종(太宗)이 국호를 대월(大越)이라 함. 최초의 안정된 베트남 왕조로 근대 베트남 왕조의 특징이 이 시기에 형성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후미인곡(後美人曲)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사미인곡(思美人曲)〉에 이어 임금을 그리는 정을 두 여인의 문답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뜻이 더욱 간절해짐. 두 작품을 함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으로 부르며,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
-
후민공(後湣公) - 민공(閔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91~B.C.682. 장공(莊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와 여러 차례 교전을 치르었으며 대부(大夫) 남궁장만(南宮長萬)에 의해 시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후백(厚伯) - 양녕대군(讓寧大君)
조선 태종(太宗)의 첫째 아들. 1404년(태종 4)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품과 행동으로 인해 유정현(柳廷顯) 등의 청원으로 폐위되고, 아우인 충녕대군(忠寧大君)에게 양위됨.
1394~14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후백(後白)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후봉(後峰)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후사미인곡(後思美人曲)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사미인곡(思美人曲)〉에 이어 임금을 그리는 정을 두 여인의 문답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뜻이 더욱 간절해짐. 두 작품을 함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으로 부르며,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
-
후산(后山)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후산사(後山祠) - 후산사(后山祠)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된 사당. 원래는 경상도 안동(安東)의 도산(陶山)에 있던 것을 1770년(영조 4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移建)함.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을 배향함.
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사당
-
후생(厚生) - 덕천군(德泉君)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가난한 백성을 돕고, 왕자의 신분에도 공주(公州)에 전장(田莊)을 두고 몸소 농사를 지음.
1397~14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왕자
-
후설(後卨)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후성(後聖)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후소(後素) - 고손지(高遜志)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ㆍ문인. 《원사(元史)》를 편수함.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후언(侯彦) - 양응덕(梁應德)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후영어은(後潁漁隱)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후예(后羿) - 예(羿)
중국 고대 전설상의 명궁(名弓). 하(夏) 나라 때 유궁씨(有窮氏)의 수령으로 태강(太康)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가 한착(寒浞)에게 피살되었다는 설과, 요(堯) 임금의 신하로 열 개의 태양 중에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사나운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설이 있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후원(厚源)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후원(厚遠) - 이후원(李厚遠)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10대손으로, 이집(李集)의 문집 《둔촌잡영(遁村雜詠)》을 개간했음. 문집으로 《시천집(詩川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후원(喉院)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후위(後魏) - 북위(北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조(北朝) 최초의 왕조. 선비족(鮮卑族)인 탁발규(拓跋珪)가 화북(華北) 지역에 세운 나라로, 14대 49년간 존속.
386~5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후율(後栗)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후자(侯子) - 후파(侯芭)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양웅(揚雄)의 제자로 그가 저술한 《태현경(太玄經)》과 《법언(法言)》을 전수받았으며, 스승 사후 심상(心喪) 3년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후자(后子) - 영침(嬴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경공(景公)의 동생으로, 환공이 둘째 아들인 자신을 총애하자 어머니의 충고를 받아들여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후재(厚齋)@노극신 - 노극신(盧克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형 노수신(盧守愼)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禁錮處分)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냄.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후재(厚齋) - 김간(金榦)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박세채(朴世采)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
1646~17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후재선생집(厚齋先生集) - 후재집(厚齋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김간(金榦)의 문집. 총25책. 목판본. 영조의 명을 받아 증손 김종정(金鍾正)이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원인손(元仁孫)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후전(後殿)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후정(後庭)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후정화(後庭花)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후제(後帝)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조(厚祚)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후조(後凋)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후조당(後凋堂)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후조옹(後凋翁)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후조주인(後凋主人)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후조헌(後凋軒)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후중(厚仲) - 노전(盧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광주 목사(廣州牧使) 노한문(盧漢文)의 아들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노준(盧埈)의 형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후지(厚之)@탁유호 - 탁유호(卓有怙)
조선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탁련(卓璉)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문사>유학
-
후지(厚之)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후집(後集) - 고문진보(古文眞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했다는 책. 주대(周代)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詩文選集).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후천(朽淺) - 황종해(黃宗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회덕(懷德).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11년(광해군 3)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鄭仁弘)의 전횡을 논박함.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게 예학(禮學)을 배움.
1579~164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목천 , 인명>문사>학자
-
후천선생집(朽淺先生集) - 후천집(朽淺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인 황종해(黃宗海)의 문집. 8권 4책. 목판본. 아들 황곡립(黃鵠立)이 수집 편차하고, 증손 황응하(黃應河)와 종증손 고성 현령(固城縣令) 황찬(黃燦)이 최석정(崔錫鼎)의 서문을 받아 간행함.
17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문헌>서명
-
후청록(鯸鯖錄)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후촌(後村)@윤전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후촌(後村)@유간 - 유간(柳澗)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지(承旨) 유여항(柳汝恒)과 동래 부사(東萊府使) 유여각(柳汝恪)의 아버지로, 참찬(參贊)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54~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후촌(後村) - 유극장(劉克莊)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육유(陸游)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강호시파(江湖詩派)를 주도함.
1187~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후총(厚熜)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후추(後瘳) - 김신국(金藎國)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 1613년(광해군 5)에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고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냄.
1572~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후포(後圃) - 양응태(梁應台)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둘째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후호(後湖)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후호거사(後湖居士)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훈(勛) - 조훈(趙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문신 조광림(趙廣臨)ㆍ조광보(趙廣輔)ㆍ조광좌(趙廣佐)의 아버지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훈(勳) - 왕훈(王勳)
고려 후기의 문인. 전녹생(田祿生)의 문집 《야은일고(壄隱逸稿)》에 실려 있는〈화상찬(畫像讚)〉 중 한 편을 지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
-
훈(塤) - 박훈(朴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정(寺正)을 지낸 박영(朴詠)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훈(塤)@이훈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훈(壎)@김훈 - 김훈(金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川).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여물(金汝岉)의 아버지.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훈(壎) - 이훈(李壎)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아들.
1571~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훈(纁) - 설훈(薛纁)
조선 전기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참판(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훈(薰)@박훈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훈(薰) - 김훈(金薰)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영유(金永濡)의 아들이자 김세필(金世弼)의 아버지.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37~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훈(薰)@이사청의아버지 - 이훈(李薰)@이사청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양성(陽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1483~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훈(薰)@임훈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훈(薰)@이친의아들 - 이훈(李薰)@이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아들로, 고림군(高林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훈(薰)@허훈 - 허훈(許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낸 허원(許瑗)의 아버지로,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훈(訓) - 김훈(金訓)
조선 전기의 문인.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ㆍ서호(徐皥) 등과 교유하였으며, 박흥생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문인
-
훈^화(勳^華) - 요^순(堯^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요(堯)와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키거나 임금의 성덕(聖德)을 말함.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사신(史臣)이 요(堯)의 덕을 ‘방훈(放勳)’이라 하고, 〈순전(舜典)〉에 순(舜)의 덕을 ‘중화(重華)’라고 한 데서 ‘훈^화(勳^華)’로 병칭되기도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훈곡(薰曲)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훈남(勳男) - 변훈남(卞勳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여러 관직을 거처 현령(縣令)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 - 훈민정음(訓民正音)
조선 세종(世宗) 때 창제된 훈민정음(訓民正音)에 관한 한문 해설서. 33장 1책. 목판본. 국자(國字)인 훈민정음을 반포함에 있어서 정인지(鄭麟趾) 등의 집현전(集賢殿) 학자들이 세종의 명을 받아 간행함.
14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훈서(勳西) - 공서(功西)
조선 인조(仁祖) 때 서인(西人)에서 갈린 당파.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 중 반정에 소극적이었던 김상헌(金尙憲) 중심의 일파를 청서(淸西)라 하고, 인조반정에 가담한 김류(金瑬)ㆍ이귀(李貴)ㆍ김자점(金自點)ㆍ신경진(申景禛) 등을 공서라 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훈지(勳之) - 박세훈(朴世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주동효아(鑄洞孝兒)’로 불림. 조광조(趙光祖) 등이 별과(別科)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낙향함.
1488~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훈지(壎之) - 금응훈(琴應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영춘 현감(永春縣監)ㆍ양천 현감(陽川縣監) 등을 역임하고 《퇴계집(退溪集)》 간행실무자로 참여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훈풍가(薰風歌)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