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훈화초(薰華草)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훤(晅) - 김훤(金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별초(三別抄)의 잔적(殘賊)을 격퇴하고,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음.
1234~130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훤(暄) - 윤훤(尹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넷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정묘호란 때 부체찰사(副體察使)로 적과 싸우다 안주(安州)와 평양(平壤) 일대를 빼앗긴 죄로 체포되어 강화도(江華島)에서 효수됨.
1573~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훤(萱) - 윤훤(尹萱)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영의정(領議政) 윤은보(尹殷輔)와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버지.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내고,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훤(萱)@박훤 - 박훤(朴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의(文義). 박언상(朴彥祥)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훤(萱)@이훤 - 이훤(李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연산 현감(連山縣監)을 지낸 이보간(李輔幹)의 아들. 1513년(중종 8년) 생원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훤옹(暄翁) - 김굉필(金宏弼)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흥(瑞興)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극형에 처해짐. 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훤정(萱亭)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훤정(萱庭) - 염정수(廉廷秀)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형제인 염국보(廉國寶)ㆍ염흥방(廉興邦)과 함께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휘(徽)@금휘 - 금휘(琴徽)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은진 현감(恩津縣監)을 지낸 금회(琴淮)의 아들로, 1466년(세조 12) 문과에 급제하여 동래 현령(東萊縣令)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휘(徽) - 강휘(姜徽)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아버지로, 상호군(上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휘(徽)@정휘 - 정휘(鄭徽)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이송(鄭而宋)의 아들로, 1465년(세조 11)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휘(徽)@이충작의아버지 - 이휘(李徽)@이충작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이충작(李忠綽)의 아버지로, 당은군(唐恩君)에 추봉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휘(徽)@이사검의아들 - 이휘(李徽)@이사검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이사검(李思儉)의 아들. 세조 즉위에 협력하여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정되나, 단종(端宗) 복위에 가담한 사실이 발각되어 거열형을 당하고 가산을 몰수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휘(揮)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휘(暉)@윤휘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휘(暉)@민휘 - 민휘(閔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형손(閔亨孫)의 아들이며,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민수천(閔壽千)ㆍ집의(執義) 민수원(閔壽元)의 아버지.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휘(暉)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휘(暉)@민휘 - 민휘(閔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형손(閔亨孫)의 아들이며,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민수천(閔壽千)ㆍ집의(執義) 민수원(閔壽元)의 아버지.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휘(暉)@진휘 - 진휘(陳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임천 군수(林川郡守) 진암수(陳巖壽)의 아버지로, 승의교위(承義校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휘(煇) - 이휘(李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덕응(李德應)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휘겸(撝謙)@응휘겸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휘겸(撝謙) - 박휘겸(朴撝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생원(生員)으로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낭장(郞將)을 지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천안(天安)의 구룡산(九龍山)에 거처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무신
-
휘경(撝卿)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휘곡(暉谷)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휘광(撝光)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휘국(徽國)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휘로(暉老) - 희운(希運)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백장선사(百丈禪師) 회해(懷海)의 지도를 받고 현지(玄旨)에 통달함. 희운의 법어(法語)를 비휴(斐休)가 집대성하여 《황벽산단제선사 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로 남김.
?~850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휘릉(徽陵) - 말제(末帝)@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4대 왕. 재위 934~936. 명종(明宗)의 양자로 노왕(潞王)에 봉해짐. 명종 아들 민제(閔帝)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3년 뒤 분사(焚死)하면서 후당도 멸망함.
885~936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휘망(徽望) - 강휘망(姜徽望)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휘무(徽婺)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휘문소무(徽文昭武)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휘백(輝伯)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휘생(暉生) - 박휘생(朴暉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아들로, 선시중(宣時中)의 사위가 되어 보성(寶城)에 자리를 잡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휘서(輝瑞)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휘손(徽孫) - 김휘손(金徽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양진(金楊震)의 아버지.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휘숙(輝叔) - 최온(崔薀)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간(司諫)을 지낸 최상중(崔尙重)의 아들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성품이 강직하여 언관(言官)의 직책에 적합하다는 평을 받음.
1583~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휘암(徽庵)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휘암정씨(徽庵程氏)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휘열(徽烈)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휘원(輝元)@모리휘원 - 모리휘원(毛利輝元)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7진을 이끌고 경상도 점령을 담당하여 부산 왜성과 자성대를 축성함.
1553~162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휘원(輝元) - 심환지(沈煥之)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철저한 노론계 당인으로, 남인과 소론을 공격하여 벽파(僻派)의 선봉이 됨.
1730~18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휘원(輝遠)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휘유문의(徽柔文懿)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휘재(彙載) - 이휘재(李彙載)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경산 현령(慶山 縣令)으로 있으면서 문회재(文會齋)를 창건하여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많은 공을 세움.
1795~18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휘정공(徽政公) - 정독만달(鄭禿滿達)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환관. 고려 후기의 유학인 정인(鄭仁)의 아들로, 충렬왕(忠烈王) 때 원 나라로 가서 휘정사(徽政使)ㆍ연경사(延慶使)를 거쳐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에 오름.
1290~? 중국>원 , 중국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환관
-
휘준(彙濬) - 이휘준(李彙濬)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만도(李晩燾)의 아버지로,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806~18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휘지(徽之)@최휘지 - 최휘지(崔徽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연(崔珚)의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고도 출사(出仕)하지 않다가, 후에 집의(執義)ㆍ군수(郡守)등을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휘지(徽之)@왕휘지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휘지(徽之) - 최사유(崔士柔)
고려 말~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최항(崔恒)의 아버지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지내고 치사하여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봉해짐.
1372~145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휘지(輝之)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휴(休) - 한휴(韓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한방신(韓方信)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감문위 호군(監門衛護軍) 등을 지냈으나, 동생 한안(韓安)이 공민왕을 시해한 것에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 후에 자헌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휴(鑴) - 윤휴(尹鑴)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주자(朱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참최설(斬衰說)을 주장하여 서인(西人)과 대립함. 경신출척(庚申黜陟)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617~168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휴길(休吉)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휴당(休堂) - 퇴휴당(退休堂)
조선 전기의 문신 소세양(蘇世讓)이 은퇴 후에 노년을 보낸 집의 당호(堂號). 전라북도 익산(益山) 금마면(金馬面)에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유적>건물>사제
-
휴도왕자(休屠王子)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휴련(休璉) - 응거(應璩)
중국 삼국시대 위(魏)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시중(侍中) 등을 지냄. 형 응창(應瑒)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특히 풍자에 능함.
191~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휴룡(休龍)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휴문(休文) - 심약(沈約)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문인.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내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능했으며, 저서로 《진서(晉書)》ㆍ《송서(宋書)》ㆍ《사성운보(四聲韻譜)》ㆍ《양무기(梁武紀)》 등이 있음.
441~51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휴백(休伯) - 김휴백(金休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성암(省庵) 김효원(金孝元)의 사촌 동생으로, 《성암집(省庵集)》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휴복(休復) - 유휴복(柳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휴사(休師)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휴수(休叟)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휴암(休巖)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휴암(休庵)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휴암(休庵)@이숙 - 이숙(李叔)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여 권호문이 준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휴암(休庵)@임선미 - 임선미(林先味)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본관은 예천(醴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한 사람으로, 조의생(曺義生) 등과 함께 표절사(表節祠)에 제향됨.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휴암(休菴) - 백인걸(白仁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등을 지내고,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휴암(休菴)@정홍익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휴암집(休巖集) - 휴암선생실기(休庵先生實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백인걸(白仁傑)의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31년(순조 31)에 저자의 8대손인 백동야(白東野)가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간행함.
183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휴애(鵂崖) - 박승원(朴承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ㆍ박하청(朴河淸)ㆍ박하징(朴河澄)의 아버지로,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휴옹(休翁)@허적 - 허적(許積)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남인(南人)으로 제1ㆍ2차 예송(禮訟)에서 서인(西人)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됨. 아들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됨.
1610~168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휴옹(休翁)@정홍익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휴옹(休翁)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휴원(休元) - 왕홍(王弘)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도잠(陶潛)을 매우 존경하여, 강주 자사(江州刺史)로 있을 때 중양절(重陽節)에 도잠이 술이 떨어지자 술병을 보냈다는 고사가 전함. 태보(太保) 등을 지냄.
379~4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휴원(休遠) - 유소(劉劭)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맏아들로,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巫蠱)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동생 효무제(孝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424?~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휴은(休隱) - 이석주(李錫周)
고려 후기의 은사(隱士). 고려 말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ㆍ이색(李穡)ㆍ박익(朴翊)ㆍ홍재(洪載)ㆍ이재홍(李在弘)ㆍ김대윤(金大潤) 등과 더불어 ‘팔은(八隱)’이라 일컬어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은자
-
휴징(休徵) - 왕상(王祥)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효자. 병에 걸린 계모를 위해 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연못에 나가자 얼음이 저절로 갈라지고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휴헌(休軒)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휴혁(休弈) - 부현(傅玄)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위(魏) 나라 때 낭중(郞中)이 되어 《위서(魏書)》 편찬에 참여하고, 진 나라 때 사마교위(司馬校尉) 등을 지낸 뒤 벼슬에서 물러난 후에는 저술에 힘씀.
217~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휴휴(休休)@문홍달 - 문홍달(文弘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의(執義)을 지낸 문려(文勵)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7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휴휴(休休) - 이승휴(李承休)@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하면서 《제왕운기(帝王韻紀)》ㆍ《내전록(內典錄)》 등을 저술함.
1224~130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휴휴당(休休堂)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휴휴암주(休休庵主)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휴휴자(休休子)@문홍달 - 문홍달(文弘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의(執義)을 지낸 문려(文勵)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7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휴휴자(休休子)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흑달(黑獺) - 문제(文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아버지. 서위(西魏)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李虎)ㆍ양충(楊忠) 등과 함께 8주국(八柱國)으로 불렸으며, 부병(府兵)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 후에 태조 문황제(太祖文皇帝)로 추존됨.
50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흑두고경(黑頭孤卿)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흑두공(黑頭公) - 왕순(王珣)@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재학(才學)과 문장(文章)으로 효무제(孝武帝)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尙書省)의 고위직에 오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흑두공상(黑頭公相) - 왕순(王珣)@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재학(才學)과 문장(文章)으로 효무제(孝武帝)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尙書省)의 고위직에 오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흑두재상(黑頭宰相)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흑두타(黑頭陀)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흑두타(黑頭陀)@혜소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흑삭(黑矟)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흑삭공(黑槊公)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흑삭장군(黑槊將軍)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흑암(黑巖)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흑암부군(黑巖府君)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흑옹(黑翁)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흑의재상(黑衣宰相) - 혜림(慧琳)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승려. 재능과 문장이 있어 내외(內外)의 학문에 두루 통달하였으며, 재상이 되어 '흑의재상(黑衣宰相)'이라고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