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흑인(黑人)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흑죽자(墨竹子)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흔(忻)@양흔 - 양흔(梁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양희(梁喜)의 형. 오건(吳健)ㆍ노진(盧禛)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흔(忻) - 남흔(南忻)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의령군(宜寧君) 남륜(南倫)의 아들이며, 의천위(宜川尉) 남섭원(南燮元)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을 거친 후에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145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흔(忻)@김흔 - 김흔(金忻)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무신. 아버지 김방경(金方慶)을 따라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고 대장군이 되었으며, 이후 합단(合丹)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움.
1251~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흔(忻)@박흔 - 박흔(朴忻)
조선 전기의 유학.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흔(昕)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흔(昕)@윤흔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흔(昕)@엄흔 - 엄흔(嚴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언로의 개방과 언관의 탄압 중지 등을 건의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8~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흔(昕)@권흔 - 권흔(權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화(權和)의 아들로 1602년(선조 35)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15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흔(訢)@봉흔 - 봉흔(奉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평안도 병마우후(平安道兵馬虞候)ㆍ충청 수사(忠淸水使)ㆍ전라 수사(全羅水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흔(訢)@김흔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흔(訢) - 이흔(李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장남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흔(訢)@강흔 - 강흔(姜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관찰사(觀察使)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노필(盧㻶)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흔량매(欣良買)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흔보(欣甫) - 양원군(楊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막내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중종(中宗) 원년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옥책(玉冊)을 개정(改正)하여 원종일등훈(原從一等勳)이 사급됨.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흔봉(欣奉) - 최흔봉(崔欣奉)
고려 태조(太祖)의 부마(駙馬). 분파(分派)하여 강릉최씨(江陵崔氏) 일파의 시조(始祖)가 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흔수(欣壽) - 강흔수(姜欣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손자. 1510년(중종 5) 선공감(繕工監)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靈光)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흘(屹) - 김흘(金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노직(老職)으로 통정(通政)의 관계(官階)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흘(屹)@곽흘 - 곽흘(郭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지사(知事)ㆍ함경북도 병사(咸鏡北道兵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초헌(軺軒)을 탔다 해서 논죄(論罪)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흠(欽)@김흠 - 김흠(金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력부위(展力副尉) 김승석(金承碩)의 아들.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맞아 항전도중 순절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됨.
153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흠(欽)@송흠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흠(欽)@이흠 - 이흠(李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현보(李賢輔)의 아버지로, 인제 현감(麟蹄縣監) 등을 지냄.
1440~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흠(欽)@허흠 - 허흠(許欽)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허금수(許金壽)의 아들로, 독서하기를 좋아하고 벗들과 우애가 깊었음.
1472~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흠(欽)@노흠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흠(欽)@신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흠(欽) - 유흠(劉欽)
중국 한(漢) 나라의 종친.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생부(生父)로, 남돈령(南頓令)을 지내고 남돈군(南頓君)에 봉해졌으며, 광무제 즉위 후 그가 살던 거록(鉅鹿)에 사당이 건립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흠국(欽國)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흠로(欽老) - 오흠로(吳欽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길재(吉再)로부터 학문을 배워 도학에 밝았음.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고 효성으로 이름이 났으며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흠명광효황제(欽明廣孝皇帝) - 성종(成宗)@원
중국 원(元)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1295~1307. 세조(世祖)의 손자로, 세조 치세(治世)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哈刺合遜)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
1265~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흠문성무의인소효(欽文聖武懿仁昭孝)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흠부(欽夫)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흠순(欽順)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흠신(欽臣) - 왕흠신(王欽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의 문신ㆍ학자. 구양수(歐陽脩)에게 문장을 인정받고, 문언박(文彦博)의 추천으로 벼슬하여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등을 지냄. 저서에 《광풍미집(廣諷味集)》ㆍ《왕씨담록(王氏談錄)》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흠약(欽若) - 왕흠약(王欽若)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동평장사(同平章事)를 지내고, 양억(楊億)ㆍ진팽년(陳彭年) 등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천 권을 저술함.
962~102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흠인경덕선열명순휘의(欽仁景德宣烈明順徽懿) - 정희왕후(貞熹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비(妃). 본관은 파평(坡平).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번(尹璠)의 딸로,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됨. 1469년(성종 즉위) 손자인 성종(成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7년 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함.
1418~14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흠인성효(欽仁誠孝)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흠정개정(欽定改正)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흠정개정회전(欽定改正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흠정회전(欽定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흠조(欽祖) - 김흠조(金欽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림파(士林派) 성향의 인물로 김종직(金宗直) 등의 신원을 주청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흠중(欽中) - 윤흠중(尹欽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복(尹復)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흠중(欽仲)@홍봉세 - 홍봉세(洪奉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림(洪景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성수침(成守琛) 등과 친교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역임함.
1498~157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흠중(欽仲) - 이경장(李敬長)@이혼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혼(李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2~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문경동 - 문경동(文敬仝)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안동(安東). 문속명(文續命)의 아들로, 음주와 독서를 즐기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남.
1457~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심의흠 - 심의흠(沈義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부요유 - 부요유(傅堯兪)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英宗)의 생부인 복안의왕(濮安懿王)을 추숭하는 일을 반대하다가 파직됨.
1024~109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정흠지 - 정흠지(鄭欽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정부(鄭符)의 아들. 태종 때 하륜(河崙)과 박은(朴訔)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어 황보인(皇甫仁)과 함께 《진설(陣說)》을 찬진(撰進)함.
1378~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송흠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흠지(欽之) - 김흠조(金欽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림파(士林派) 성향의 인물로 김종직(金宗直) 등의 신원을 주청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여러 차례 대간의 탄핵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흠차경리조선도어사양공거사비(欽差經理朝鮮都御史楊公去思碑) -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출전한 중국 명(明) 나라 장군 양호(楊鎬)의 무훈을 기리기 위하여 서울에 건립한 비. 양호 장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4기의 비 중 하나.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기타유적
-
흠차선유유격장군(欽差宣諭游擊將軍) - 진운홍(陳雲鴻)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의 원군으로서 참전하고, 일본의 장수 소서행장(小西行長)과 직접 만나 회담을 가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흡(洽)@허흡 - 허흡(許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확(許確)의 아들이며 허항(許沆)의 형으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흡(洽)@유흡 - 유흡(柳洽)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로, 유종학(柳種學)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흡(洽)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흡(洽)@이흡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흡여(翕如) - 성박(成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첫째 아들로, 조임도(趙任道)ㆍ임진부(林眞怤) 등 남명학(南冥學)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 진사(進士) 등을 지냄.
15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흡주(歙州) - 노조(盧肇)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흡주 자사(歙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표집(文標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흥(興)@홍흥 - 홍흥(洪興)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한성부윤(漢城府尹) 홍심(洪深)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하고 글씨에 능했으며, 인물과 풍채가 준수하여 자주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짐.
1424~150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흥(興)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흥(興)@임흥 - 임흥(任興)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장악원(掌樂院)의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역임함. 어려서부터 음악을 배워서 관현(管絃)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거문고에 능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흥(興)@윤흥 - 윤흥(尹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恩典)을 입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흥(興)@민흥 - 민흥(閔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민촉(閔矗)의 아들이며, 함경 도사(咸鏡都事) 민세정(閔世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흥(興)@나흥 - 나흥(羅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학생(學生) 나종손(羅終孫)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흥거(興居) - 박흥거(朴興居)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생(朴興生)의 아우이고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흥경(興慶)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흥공(興公) - 손작(孫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시부(詩賦)에 능하여 〈천태산부(天台山賦)〉 등을 지어 당대에 이름을 떨치고, 저작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냄.
314~37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흥광(興光) - 김흥광(金興光)
신라의 왕자. 헌강왕(憲康王) 또는 신무왕(神武王)의 아들이라고 함. 신라의 비운을 예견하여 무주(武州)에 은거하였으며,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흥근(興根)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흥남(興南) - 백흥남(白興南)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이며, 선명(善鳴) 백진남(白振南)의 동생. 광해군 때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냄.
15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흥녕(興寧) - 이린(李磷)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천휴당(天休堂) 이몽규(李夢奎)의 아버지로 흥녕부정(興寧副正)에 봉해짐.
?~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흥녕(興寧)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흥녕군(興寧君)@이수전 - 이수전(李秀荃)
조선 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인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양자로,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흥녕군(興寧君) - 이창응(李昌應)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재원(李載元)의 아버지로, 수원관(守園官)을 지냄.
?~18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흥녕군(興寧君)@안축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흥녕군(興寧君) - 김자창(金子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평양군(平壤君) 조서(趙瑞)의 사돈.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흥녕군(興寧君)@안종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흥녕군(興寧君)@안경공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안종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안경공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녕부정(興寧副正) - 이린(李磷)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천휴당(天休堂) 이몽규(李夢奎)의 아버지로 흥녕부정(興寧副正)에 봉해짐.
?~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흥녕정(興寧正) - 이린(李磷)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천휴당(天休堂) 이몽규(李夢奎)의 아버지로 흥녕부정(興寧副正)에 봉해짐.
?~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흥덕(興德) - 안자성(安子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안초(安迢)의 아들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냈음.
1447~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흥덕(興德)@임수창 - 임수창(林壽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종 때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선정을 베풀고, 공조 참의(工曹參議)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6~150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흥덕궁주(興德宮主) - 장경왕후(莊敬王后)
고려 제18대 의종(毅宗)의 비(妃). 문종(文宗)의 손자인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의 딸로, 의종이 태자로 있을 때 혼인하고, 즉위 후에 흥덕궁주(興德宮主)로 책봉함. 효령태자(孝靈太子)와 경덕(敬德)ㆍ안정(安貞)ㆍ화순(和順)의 세 공주를 낳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흥도(興道)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흥도(興道)@엄흥도 - 엄흥도(嚴興道)
조선 전기 영월(寧越)의 호장(戶長).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 의하여 상왕(上王)에서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된 뒤 영월에서 시해되자 후환을 두려워하지 않고 시신을 수습했다고 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아전
-
흥려(興麗)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흥례(興禮)@손흥례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흥례(興禮)@윤흥례 - 윤흥례(尹興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尹任)의 셋째 아들로, 감역(監役) 등을 지내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사사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흥례(興禮)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흥림(興霖)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흥무대왕(興武大王) - 김유신(金庾信)
신라 진평왕(眞平王)~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장군ㆍ대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
595~673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흥무왕(興武王) - 김유신(金庾信)
신라 진평왕(眞平王)~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장군ㆍ대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함.
595~673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흥문(興門) - 오흥문(吳興門)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
-
흥문(興門)@박흥문 - 박흥문(朴興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박원량(朴元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석성 , 인명>문사>유학
-
흥방(興邦) - 곽보민(郭保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곽정동(郭貞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문사>유학
-
흥방(興邦)@염흥방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흥백(興伯)@유창문 - 유창문(柳昌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유윤(柳潤)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도승지(都承旨) 유인숙(柳仁淑)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역임함.
1514~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