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흥백(興伯) - 윤창세(尹昌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조 참의(吏曹參議) 윤황(尹煌)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향병(鄕兵)을 모집하여 싸우다 병으로 죽었으며, 이조 참판(吏曺參判)에 추증됨.
1543~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흥복사(興福寺) - 원각사(圓覺寺)
서울 종로(鍾路)에 있었던 사찰. 조선 세조(世祖) 때 중건하였으며, 연산군(燕山君) 때 기방(妓房)이 되었다가 중종(中宗) 때 훼철됨. 국왕의 원찰(願刹) 및 국찰(國刹)로서의 기능을 함.
1464~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사찰
-
흥사(興嗣) - 주흥사(周興嗣)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인. 박학다재(博学多才)하고 문사(文思)에 민첩하여, 무제의 명으로 하룻밤만에 사언고시(四言古詩) 250구의 《천자문(千字文)》을 지음.
?~5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흥상(興商)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생(興生)@박흥생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흥생(興生) - 변사겸(邊士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양군(原陽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흥성(興聖) - 양무소왕(涼武昭王)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 재위 400~417. 재위 중 우병우농(寓兵于農)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
351~4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성부원군(興城府院君) - 유몽표(柳夢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지냈으며, 제자백가(諸子百家)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 등을 두루 섭렵함.
1543~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흥성황제(興聖皇帝) - 양무소왕(涼武昭王)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 재위 400~417. 재위 중 우병우농(寓兵于農)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
351~4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손(興孫) - 이흥손(李興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을 지낸 이계통(李季通)의 아버지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흥숙(興叔)@안응창 - 안응창(安應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로, 대군 사부(大君師傅) 등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흥숙(興叔)@권문임 - 권문임(權文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153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흥숙(興叔) - 유흡(柳洽)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로, 유종학(柳種學)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흥숙(興叔)@유영문 - 유영문(柳榮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를 지낸 유윤(柳潤)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흥아(興兒) - 백흥남(白興南)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아들이며, 선명(善鳴) 백진남(白振南)의 동생. 광해군 때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냄.
15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흥안(興安) - 성주(星州)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성주 , 지명>행정지명
-
흥안군(興安君)@이제 - 이제(李濟)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셋째 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함.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흥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이방원(李芳遠)에 의하여 살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안군(興安君)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 이인복(李仁復)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백이정(白頤正)의 문인으로, 공민왕 때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검교시중(檢校侍中) 등을 지냄.
1308~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안석죽(興安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흥왕(興王)@세종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왕(興王)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우(興宇) - 김흥우(金興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청풍(淸風). 김육(金堉)의 아버지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1585년(선조 18)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여 강릉 참봉(江陵參奉)을 지냄. 문사(文辭)에 능하며 글씨를 잘 썼음.
1564~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흥운(興雲) - 고흥운(高興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윤종(高胤宗)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문과(式年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흥원(興源)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흥원(興源)@심흥원 - 심흥원(沈興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심순경(沈順徑)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흥유(興儒)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흥윤(興胤) - 이흥윤(李興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기성군(箕城君) 이현(李俔)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흥의(興義) - 윤흥의(尹興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尹任)의 둘째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사사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흥의수(興義守) - 이수기(李壽麒)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의 증손이자, 창원군(昌原君) 이혜(李潓)의 아들이며, 우언겸(禹彦謙)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흥인(興仁) - 정흥인(鄭興仁)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정을귀(鄭乙貴)의 아들이며, 정인지(鄭麟趾)의 아버지. 정도전(鄭道傳)의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추증됨.
?~14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흥인문(興仁門) - 흥인지문(興仁之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동쪽 성문. 서울 종로구(鍾路區)에 소재.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흥정(興禎) - 정기손(鄭祺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ㆍ서자적(徐自適)ㆍ홍인필(洪仁弼)ㆍ박원량(朴元良)ㆍ강은(姜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흥조(興祖) - 김흥조(金興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였으며, 선전관(宣傳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흥종(興宗)@안흥종 - 안흥종(安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안광종(安光宗)의 형으로, 부자간에 모두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인록(門人錄)에 등재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흥종(興宗) - 채흥종(蔡興宗)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문신. 시중(侍中) 채준(蔡撙)의 아버지로, 회계 태수(會稽太守)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흥종(興宗)@윤흥종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흥주(興州)@永川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흥주(興州)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흥주안씨(興州安氏) - 순흥안씨(順興安氏)
고려 신종(神宗)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을 지낸 안자미(安子美)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집단>성씨
-
흥해군(興海君) - 배전(裵詮)
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흥해(興海).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 손홍량(孫洪亮)의 사위이며, 사복시 판사(司僕寺判事) 배상지(裵尙志)의 아버지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첨의평리(僉議評理)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흥헌왕(興憲王)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헌제(興獻帝) - 예종(睿宗)@명
중국 명(明) 헌종(憲宗)의 아들. 흥왕(興王)에 봉해졌고, 아들인 세종(世宗)이 황제로 등극하고 나서 헌황제(獻皇帝)로 추존됨.
1476~1519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흥화(興化)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흥화진(興化鎭)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흥효(興孝) - 장흥효(張興孝)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벼슬을 단념한 채 후학 양성에만 힘씀.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경광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됨.
1564~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희(㟓) - 해안군(海安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과 사옹원(司饔院)ㆍ문소전(文昭殿)의 도제조(都提調)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僖)@권희 - 권희(權僖)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장단(長湍)에서 적을 물리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319~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僖) - 왕희(王僖)
고려 후기의 종친. 제20대 신종(神宗)의 둘째 아들인 덕양후(德陽侯) 왕서(王恕)의 아들. 1260년(원종 1) 원(元) 나라에 가서 세조(世祖)의 조서(詔書)를 받아오는 등 외교 활동을 함.
?~12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희(僖)@강희 - 강희(姜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 강징(姜澂)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신창 현감(新昌縣監)을 역임함.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喜)@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희(喜) - 사마희(司馬喜)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사마창(司馬昌)의 아들이고, 사마담(司馬談)의 아버지이자, 사마천(司馬遷)의 조부로, 오대부(五大夫)의 관작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喜)@양희 - 양희(梁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노정(盧禎)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嶺南)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짐.
151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희(憘) - 양원군(楊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막내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중종(中宗) 원년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옥책(玉冊)을 개정(改正)하여 원종일등훈(原從一等勳)이 사급됨.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憙)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희(曦) - 이희(李曦)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희수(鄭希壽)의 장인으로, 신성수(信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曦)@장희 - 장희(張曦)
조선 전기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熙)@정희 - 정희(鄭熙)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정초(鄭招)의 아버지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집의(執義)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희(熙) - 왕희(王熙)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5대손으로 보성군(寶城君)에 봉해짐. 영흥군(永興君) 왕환(王環)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희(熺)@윤희 - 윤희(尹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경승부윤(敬承府尹) 윤규(尹珪)의 아들이며, 중부 참봉(中部參奉) 윤귀몽(尹龜蒙)의 아버지로, 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熺) - 성희(成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내고, 《세종실록(世宗實錄)》과 《문종실록(文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당질(堂姪)인 성삼문(成三問)의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희(禧)@최희 - 최희(崔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최천건(崔天健)의 아버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禧)@유희 - 유희(柳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세창(柳世彰)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희(禧)@조희 - 조희(曺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 조순(曺純)의 7대손이며, 조숙덕(曺淑德)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490~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희(禧)@노희 - 노희(盧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노우명(盧友明)의 아들.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희(禧)@김희 - 김희(金禧)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효혜공주(孝惠公主)와 혼인함.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킴.
?~153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왕실>인척
-
희(禧)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羲)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희^농(犧^農) - 희^농(羲^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신농(神農)을 함께 부르는 말. 복희는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으며, 신농은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치고 의약을 제조하여 병을 치료하였으므로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황(犧^黃) - 희^헌(羲^軒)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왕(聖王)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희가(姬歌)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희간(姬囏) - 의왕(懿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7대 왕. 재위 B.C.899~B.C.892. 공왕(共王)의 아들로, 호(鎬)에서 견구(犬口)로 도읍을 옮겼으나, 거듭된 융적(戎狄)의 침략으로 주 왕조가 쇠퇴하기 시작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간(姬艱) - 의왕(懿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7대 왕. 재위 B.C.899~B.C.892. 공왕(共王)의 아들로, 호(鎬)에서 견구(犬口)로 도읍을 옮겼으나, 거듭된 융적(戎狄)의 침략으로 주 왕조가 쇠퇴하기 시작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간(姬衎) - 헌공(獻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76~B.C.559, B.C.546~B.C.544. 대부인 손임보(孫林父)에 의해 제(齊) 나라로 축출되었다가 12년 만에 영희(甯喜)의 도움으로 다시 복귀하였으나, 후에 영희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함.
?~B.C.54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간(希幹) - 이희간(李希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사위로, 곡산 군수(谷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간(希榦) - 이희간(李希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였으며, 능성 현령(陵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희강(希剛)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희개(姬匄) - 경왕(敬王)
중국 주(周) 나라 제25대 천자. 재위 B.C.519~B.C.476. 아들 조(朝)에게 공격을 받아 낙양을 버리고 성주(成周)로 달아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개(姬開) - 민공(閔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61~B.C.660. 노 나라 장공(莊公)과, 제(齊) 환공(桓公)의 여동생인 숙강(淑姜)의 아들. 장공 사후 세자인 반(般)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경보(慶父)와 이모인 애강(哀姜)에 의해 살해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개(希凱) - 문희개(文希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친분이 두터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음. 고창 현감(高敞縣監) 등을 지냈고, 사직 후 부춘정(富春亭)에서 만년을 보냄.
155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희개(熙愷) - 최응(崔凝)
고려 전기의 문신.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인 최우달(崔佑達)의 아들로,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내봉경(內奉卿)에 오르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추증됨.
898~9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희건(希健)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희걸(希傑) - 왕희걸(王希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이황(李滉)ㆍ노수신(盧守愼)ㆍ홍섬(洪暹) 등 당대의 명유와 교유하였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함경도 어사(咸鏡道御史) 시절에 보우(普雨)의 승직을 삭탈하는 계기가 된 장계를 올림.
?~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희검(希儉)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검(希儉)@정희검 - 정희검(鄭希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정희량(鄭希良)의 아우.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科擧)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號)를 계양어은(桂陽漁隱)이라 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희경(姬卿) - 신필주(辛弼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역임함. 충재(冲齋) 권벌(權橃)ㆍ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교유하였음.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희경(希慶)@유희경 - 유희경(劉希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南彦經)에게 《가례(家禮)》를 배우고 특히 상례(喪禮)에 통달하였으며,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
1545~16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문인
-
희경(希慶) - 전희경(田希慶)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고려 말의 문인 전귀생(田貴生)과 문신 전녹생(田祿生)의 아버지로, 첨의 사인(僉議舍人) 등을 지냄.
1299~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희경(希慶)@이희경 - 이희경(李希慶)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낭장(郞將)을 지낸 이사지(李思之)의 아버지로,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왜구를 물리친 후 울산에서 남은 왜구를 소탕하다 죽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무신
-
희경(希璟)@구희경 - 구희경(具希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신수겸(愼守謙)의 사위로,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ㆍ영유 현령(永柔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희경(希璟)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희경(希經) - 강희경(姜希經)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제학(同知密直提學)ㆍ평의사(評議使) 등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희경(熙卿)@한숙창 - 한숙창(韓叔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성군(西城君) 한익(韓翊)의 아들로, 외삼촌 박원종(朴元宗)을 따라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78~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경(熙卿)@이재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경(熙卿) - 정세명(丁世明)@정환의아버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딸이 연산군의 세자빈(世子嬪)에 간택되고,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지냄.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희경(羲慶) - 마희경(馬羲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목천(木川).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역학(易學)과 성리학(性理學)를 깊이 연구함.
1525~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희경(羲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희계(姬啟) - 민공(閔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61~B.C.660. 노 나라 장공(莊公)과, 제(齊) 환공(桓公)의 여동생인 숙강(淑姜)의 아들. 장공 사후 세자인 반(般)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경보(慶父)와 이모인 애강(哀姜)에 의해 살해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계방(姬啟方) - 민공(閔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61~B.C.660. 노 나라 장공(莊公)과, 제(齊) 환공(桓公)의 여동생인 숙강(淑姜)의 아들. 장공 사후 세자인 반(般)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경보(慶父)와 이모인 애강(哀姜)에 의해 살해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고(希古)@홍진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