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희고(希古)@정사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희고(希古)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희공(僖公)@희종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공(僖公)@희공 - 희공(釐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730~B.C.698. 양공(襄公)과 환공(桓公)의 아버지.
?~B.C.69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공(姬公)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공(姬公)@주공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희교(希敎) - 김희교(金希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현보(賢輔)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현보(顯父) - 장현보(張顯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보(顯甫)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복군(玄福君) - 권렴(權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손자이며,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302~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현비(顯妃)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현비유씨(賢妃劉氏) - 소회유황후(昭懷劉皇后)
중국 송(宋) 철종(哲宗)의 계후(繼后). 소자황후 맹씨(昭慈皇后孟氏)를 이어 철종의 황후(皇后)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현산(玄山)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현산거사(玄山居士)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현상인(玄上人) - 수봉(琇峯)
고려 우왕(禑王) 때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문도로, 승려 무급(無及)과 함께 해인사(海印寺)에 가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印經)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현석(玄石)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성(玄成)@위현성 - 위현성(韋玄成)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위현(韋賢)의 아들로, 부자(父子)가 모두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
?~B.C.3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성(玄成) - 위징(魏徵)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문신.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李密)의 서기가 되었다가, 태종(太宗)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諫臣)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
580~64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성(玄成)@김현성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현성(玄盛) - 양무소왕(涼武昭王)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 재위 400~417. 재위 중 우병우농(寓兵于農)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
351~4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성(玄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현성군(玄城君) - 권용(權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의찬성(僉議贊成) 권렴(權廉)의 아들. 아들 권진(權瑨)이 공민왕의 시역(弑役)에 가담하여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현세(顯世) - 윤민일(尹民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엄(尹儼)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성혼의 관작을 추탈하려는 정인홍(鄭仁弘)의 음모를 저지하려다 수원 판관(水原判官)으로 좌천됨. 후에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냄.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손(賢孫)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현수(玹壽)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현수종(賢首宗) -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 나라 때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華嚴經)》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을 중시함. 지엄(智儼)ㆍ법장(法藏)에 의해 종파로 성립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지엄의 제자인 의상(義相)을 개종조(開宗祖)로 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현숙(顯叔)@이경종 - 이경종(李慶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주(李澍)의 아버지로, 여산 군수(礪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현숙(顯叔) - 심광문(沈光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형. 장흥고 영(長興庫令)ㆍ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냄.
1476~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현신부(賢臣賦) - 성주득현신부(聖主得賢臣賦)
조선 성종(成宗) 때 이원(李黿)이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하여 지은 글.
14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현안(玄晏) - 황보밀(皇甫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특히 침구학(鍼灸學)에 심취하여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등을 저술함.
215~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안선생(玄晏先生) - 황보밀(皇甫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특히 침구학(鍼灸學)에 심취하여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등을 저술함.
215~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암(眩庵) - 기건(奇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지평(持平)에 제수됨.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끝까지 절개를 지킴.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현열희인정헌문덕명성왕후(顯烈禧仁貞獻文德明聖王后) - 명성왕후(明聖王后)
조선 제18대 현종(顯宗)의 비(妃). 본관은 청풍(淸風).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김우명(金佑明)의 딸로, 숙종(肅宗) 초기에 정무(政務)에 관여하여 비판을 받음.
1642~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현영선생(玄英先生) - 방간(方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추한 외모를 가졌으나 요합(姚合)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만나는 사람마다 삼배(三拜)를 하여 ‘방삼배(方三拜)’라 불림. 죽은 후 장문울(張文蔚)에 의해 추존되고 ‘현영선생(玄英先生)’이라 사시(私諡)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현오(玄悟) - 종린(宗璘)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인종의 아들로, 화엄종(華嚴宗)으로 출가하여 국태사(國泰寺)ㆍ중흥사(重興寺)ㆍ부석사(浮石寺) 등의 주지를 지내고 승통(僧統)이 됨. 입적한 뒤 국사에 추증되었으며, 용인의 서봉사(瑞峯寺) 터에 비(碑)가 남아 있음.
1127~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현오국사(玄悟國師) - 종린(宗璘)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인종의 아들로, 화엄종(華嚴宗)으로 출가하여 국태사(國泰寺)ㆍ중흥사(重興寺)ㆍ부석사(浮石寺) 등의 주지를 지내고 승통(僧統)이 됨. 입적한 뒤 국사에 추증되었으며, 용인의 서봉사(瑞峯寺) 터에 비(碑)가 남아 있음.
1127~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현오대사(玄悟大師)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현옹(玄翁)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왕(玄王)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왕(顯王)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웅(玄雄)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현원(玄元)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원황제(玄元皇帝)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은(玄囂)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현응(玄應)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현의사(顯義祠) - 의열사(義烈祠)@부여
조선 선조(宣祖) 때 홍가신(洪可臣)이 충청도 부여(扶餘)에 세운 사당. 성충(成忠)ㆍ흥수(興首)ㆍ계백(階伯) 등을 배향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유적>건물>사당
-
현익(顯益) - 이현익(李顯益)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ㆍ김창협(金昌協)에게서 배우고, 생원시에 장원했으나 향리에 묻혀 학문에 힘씀. 학덕이 높아 세자시강원(世子講院)의 왕자사부(王子師傅)ㆍ진안 현감(鎭安縣監) 등을 지냄.
1678~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자(玄子) - 유황상(劉黃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원외랑(兵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로 참전하여 송응창(宋應昌)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였음.
1529~159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재(見齋)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재(顯哉)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현정(玄靜) - 오세재(吳世才)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
11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현정선생(玄靖先生)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현제(顯帝)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조(玄祖)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조(顯祖)@헌문제 - 헌문제(獻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5대 황제. 재위 465~471. 문성제(文成帝)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어머니인 풍태후(馮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는데, 풍태후의 총신인 이혁(李弈)을 죽이자, 풍태후에게 살해당함.
454~4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조(顯祖)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조(顯祖)@정현조 - 정현조(鄭顯祖)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부마. 영의정(領議政)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의숙공주(懿淑公主)와 혼인함.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찬정(撰定)에 공헌함. 성종(成宗)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현조(顯祖)@윤현조 - 윤현조(尹顯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파평(坡平). 이의무(李宜茂)가 지어준 시서(詩序)가 《연헌잡고(蓮軒雜稿)》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문인
-
현조(顯祖)@문선제 - 문선제(文宣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550~559. 고환(高歡)의 아들로, 동위(東魏)의 효정제(孝靜帝)를 폐하고 북제를 세웠으며, 즉위 초에는 정사에 힘쓰고 북방의 이민족을 격파하였으나, 후에는 폭정을 하여 국력이 쇠퇴함.
529~55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성제 - 성제(成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 재위 325~342.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강제(康帝)의 형.
?~34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유교 - 효목황제(孝穆皇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ㆍ추존황제. 송(宋) 무제(武帝)의 아버지로, 아들이 즉위하여 효목황제(孝穆皇帝)로 추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현종(顯宗)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좌(賢佐) - 최흥림(崔興霖)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성운(成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성제원(成悌元)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카인 최영경(崔永慶)과 더불어 학문을 닦다가 을사사화(乙已士禍) 때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함.
1506~15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현좌(賢佐)@박현좌 - 박현좌(朴賢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박여량(朴汝樑)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을 지냄.
?~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현주(玄洲)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주산인(玄洲散人)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현준(賢俊) - 이현준(李賢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국량(李國樑)의 아버지로, 덕원 교수(德源敎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현중(顯仲)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현지(顯之)@계양군 - 계양군(桂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두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좌의정 한확(韓確)의 딸과 혼인함.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현지(顯之)@안순 - 안순(安純)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의 개국공신 안경공(安景恭)의 아들로, 판호조사(判戶曹事)ㆍ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국가 재정 관리에 뛰어나 명성을 얻음.
1371~14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현지(顯之)@강현 - 강현(姜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여 귀양보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ㆍ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등을 지냄.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현지(顯之) - 김영세(金英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홍필(金弘弼)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현지벌(睍地伐) - 양용(楊勇)
중국 수(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아들로, 황태자에 봉해졌으나, 후에 양제(煬帝)가 된 아우 양광(楊廣)의 방해로 폐서인(廢庶人)이 되었으며,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詔書) 위조로 인해 사사됨.
?~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현진(玄眞) - 장지화(張志和)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은자.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발탁되어 벼슬하다가 물러나와 연파조도(煙波釣徒)라 자처하고 은둔하였으며, 《현진자(玄眞子)》라는 저술을 남김.
730~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진자(玄眞子)@송렴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진자(玄眞子)@장지화 - 장지화(張志和)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은자.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발탁되어 벼슬하다가 물러나와 연파조도(煙波釣徒)라 자처하고 은둔하였으며, 《현진자(玄眞子)》라는 저술을 남김.
730~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현충(玄沖) - 왕혼(王渾)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무제(武帝)의 부마(駙馬) 왕제(王濟)와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왕융(王戎)의 아버지. 오(呉) 나라의 정벌에 공을 세움.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현친후(顯親侯) - 두고(竇固)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장제(章帝) 때의 장수. 흉노족(匈奴族)을 공격하고 물리치는 공을 세웠음.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현포(玄圃)@이덕언 - 이덕언(李德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ㆍ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1571~163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현포(玄圃)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현학금(玄鶴琴) - 현금(玄琴)
거문고. 우리나라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고구려 때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 오동나무 공명판(共鳴板)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
한국>고구려 , 물품>기타용품>악기
-
현허(玄虛) - 송섬(宋纖)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량(前涼)의 학자. 품덕(品德)과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여 경학(經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허선생(玄虛先生) - 송섬(宋纖)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량(前涼)의 학자. 품덕(品德)과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여 경학(經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현헌(玄軒) - 목세칭(睦世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사천(泗川).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함.
1487~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
-
현헌(玄軒)@신흠 - 신흠(申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선조의 유교칠신(遺敎七臣)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삼정승을 지냄. 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으로 일컬어짐.
1566~162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현화(玄和)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화(玄華) - 심현화(沈玄華)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낭중(郞中)ㆍ대리소경(大理少卿)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성일(金誠一)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문서 고치는 일을 도와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현황(玄皇)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황제(顯皇帝)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현효(顯孝)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현휘(玄暉) - 사조(謝脁)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시인. 선성 태수(宣城太守)를 지냈으며, 영명체(永明體)의 대표적인 작가로,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대소사(大小謝)로 불리고, 사영운ㆍ사혜련(謝惠連)과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464~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혈재(絜齋) - 원섭(袁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로 그의 문집 서문을 쓰고 간행했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ㆍ직학사(直學士) 등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협(協) - 변협(邊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이이(李珥)로부터 《주역계몽(周易啓蒙)》을 강론받았으며, 천문ㆍ지리ㆍ산수에도 정통했음.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장흥 부사(長興府使)가 되었고, 공조 판서ㆍ포도대장 등을 지냈음.
1528~159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협(協)@문협 - 문협(文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협(悏)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협(挾) - 황협(黃挾)
조선시대의 문인. 본관은 창원(昌原). 경상도 칠원(漆原)에 있는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저서에 《독오집(獨悟集)》이 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문인
-
협(浹) - 유협(柳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협제(夾漈)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협제(浹漈)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