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협제선생(夾漈先生)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협제씨(夾漈氏)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협지(協之) - 권오기(權五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극형을 당하자 이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협지(夾之)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형(泂)@윤형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형(泂)@양형 - 양형(梁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손자이며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지낸 양찬(梁瓚)의 아들로, 숙천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형(泂)@이효충의아들 - 이형(李泂)@이효충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전첨사 녹사(典籤司錄事)를 지낸 이효충(李孝忠)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泂)@이쟁의아들 - 이형(李泂)@이쟁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증손인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아들로, 승평군(昇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형(泂) - 김형(金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맹함(金孟諴)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형(泂)@신형 - 신형(申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아들이자 신광한(申光漢)의 아버지로, 장령(掌令)ㆍ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역임함.
14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형(泂)@심형 - 심형(沈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중종(中宗) 때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유학
-
형(泂)@박형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형(泂)@홍형 - 홍형(洪泂)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尹妃) 폐출사건에 적극 개입하였다 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됨.
1446~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형(瀅) - 하형(河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하희서(河希瑞)와 하인서(河麟瑞)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형(炯)@선형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형(炯)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珩)@박형 - 박형(朴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1507년(중종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9~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형(珩)@김형 - 김형(金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응남(金應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형(珩)@이형 - 이형(李珩)
조선 전기의 종친. 부사과(副司果) 이양필(李良弼)의 아들인 이종(李琮)의 사위로, 춘성령(春城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형(珩) - 왕형(王珩)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로, 원윤(元尹)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형(蘅) - 손형(孫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손수창(孫秀昌)의 아들이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손여성(孫汝誠)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형(衡)@광형 - 광형(匡衡)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시경(詩經)》의 해설에 뛰어났음. 평원문학(平原文學)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樂安侯)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衡) - 이형(李衡)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문무의 재질이 있어 경상 병사(慶尙兵使)로 있다가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름.
1426~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형(衡)@황형 - 황형(黃衡)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경기 감사(京畿監司) 황기(黃琦)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형(詗)@노형 - 노형(盧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노대성(盧大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형(詗) - 강형(姜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에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인해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형(逈)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형각진강(荊角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형간(亨幹) - 박형간(朴亨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수장(朴秀樟)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형강(兄江) - 북형강(北兄江)
경상도 경주(慶州)ㆍ흥해(興海)ㆍ영일(迎日)의 세 읍에 걸쳐 있는 강. 《팔곡집(八谷集)》에 구사맹(具思孟)이 이곳을 소재로 지은 시가 보임.
경상도>흥해ㅣ경상도>영일ㅣ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형경(荊卿) - 형가(荊軻)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刺客). 위(衛) 나라 사람으로 연(燕) 나라 태자 단(丹)의 식객(食客)이 되었으며,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秦王)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
?~B.C.22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형공(滎公)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공(荊公)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형국(荊國)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형근(亨根) - 박형근(朴亨根)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의 헌벽(軒壁)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형남(馨男)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달(亨達) - 박형달(朴亨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형덕(馨德) - 박형덕(朴馨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후손으로, 1809년(순조 9) 박광전의 문집 《죽천집(竹川集)》을 중간함.
1731~18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형례(亨禮) - 이형례(李亨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을 지낸 이말정(李末丁)의 손자.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였음.
?~150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형로(亨老)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형로(衡老) - 윤형로(尹衡老)
조선 성종(成宗)~중중(中宗) 때의 문신. 윤탄(尹坦)의 아들이며, 성종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형로선생(邢老先生) - 형개(邢玠)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조선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의 원군(援軍)으로 참전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에는 청산(青山)과 직산(稷山)에서 왜군을 무찌름.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16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형린(亨鱗) - 박형린(朴亨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형문(衡文) - 박형문(朴衡文)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제함(朴悌諴)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만년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형백(亨伯)@유희분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형백(亨伯) - 이천계(李天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을 논핵(論覈)하였다가 이기(李芑)의 배척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다시 이기의 무고를 받아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형백(亨佰)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형백(瑩伯) - 안관(安瓘)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안민학(安敏學)의 첫째 아들로, 양배선(楊拜善) 등과 교류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형백(馨伯) - 박언계(朴彦桂)
조선 전기의 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정여창(鄭汝昌)ㆍ박한주(朴漢柱)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형백(馨伯)@이지함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백(馨佰)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벽(荊壁) - 적벽(赤壁)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자강(揚子江) 남쪽 강가의 이름. 적벽대전(赤壁大戰)의 싸움터이며, 송(宋) 나라의 문인인 소식(蘇軾)이 이곳을 거닐다가 지은 적벽부(赤壁賦)가 유명함. 강변 바위에 주유(周瑜)가 썼다고 하는 글자가 남아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보(亨父)@조수 - 조수(趙須)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찬성사(贊成事) 조호(趙瑚)의 아들.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 세종 때 성균관 사예(司藝)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형보(亨父) - 엄세보(嚴世父)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형보(亨甫) - 박경지(朴敬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에도 참여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형보(亨甫)@조창원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형사보(邢士寶) - 형사보(邢士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형건(邢健)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형산(荊山)@하형산 - 하형산(河荊山)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교리(校理) 하옥(河沃)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형산(荊山)@고형산 - 고형산(高荊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함.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형산(衡山)@문벽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형산거사(衡山居士)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형생(亨生) - 조형생(趙亨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우암(愚菴) 조욱(趙昱)의 손자이며, 권결(權潔)의 사위로 현감(縣監)을 역임함. 1714년 경기도 양평에 있는 운계서원(雲谿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형석(荊石)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형선(亨仙)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형선(衡善) - 조정기(趙廷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조종경(趙宗敬)의 아들이자 평택 현감(平澤縣監) 조수륜(趙守倫)의 아버지. 학문이 뛰어나 오랫동안 선조의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장령(掌令)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설(螢雪)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손강(孫康)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오르고, 차윤(車胤)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된 데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손(亨孫) - 최형손(崔亨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공(崔有恭)의 아들이며 계림군(鷄林君) 최한홍(崔漢洪)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叟) - 유윤겸(柳允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25권을 완성하여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하고,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번역함.
14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洙) - 민형수(閔亨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伸寃)을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소척하려 함.
1690~17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秀)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형숙(亨叔)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형숙(泂叔)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숙(衡叔) - 장형숙(張衡叔)
고려 후기의 문신. 전녹생(田祿生)이 서북면 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가 되었을 때 막부(幕府)에서 활동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형식(亨植) - 유형식(柳亨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형신(亨臣) - 이형신(李亨臣)
조선 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의 후궁인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형실(荊室) - 형처(荊妻)
자기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 후한(後漢)의 양홍(梁鴻)의 아내인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악(衡岳)@형산 - 형산(衡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1,265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악(衡岳)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형암(炯庵)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형암(炯菴)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암(炯菴)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형양(滎陽)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언(亨彦)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형언(亨彦)@김태정 - 김태정(金泰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찰방(察訪) 김백간(金伯幹)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퇴계집(退溪集)》에 그의 문목(問目)에 답한 글이 실려 있음.
154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운(亨運)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형원(亨元)@한형원 - 한형원(韓亨元)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양군(西陽君) 한의(韓嶬)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거쳐 금화사 별제(禁火司別提) 등을 지냈음.
1461~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형원(亨元) - 이형원(李亨元)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이선제(李先齊)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달선(李達善)의 아버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형원(泂元)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형원(馨遠) - 유형원(柳馨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이원진(李元鎭)과 김세렴(金世濂)에게 수학함. 실학(實學)을 학문으로 정립하고, 중농사상(重農思想)에 기반을 둔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저술함.
1622~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형윤(亨允) - 한형윤(韓亨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의 아버지. 1492년(성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70~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형윤(炯胤) - 이형윤(李炯胤)
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이후(李垕)의 아버지로, 봉래군(逢萊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등을 지냄.
1593~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형재(亨齋)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형재(衡齋)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형재선생시집(亨齋先生詩集) - 형재시집(亨齋詩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직(李稷)의 시집. 1465년(세조 11)에 김종직(金宗直)이 교열ㆍ편차하고, 손자 이영진(李永蓁)이 간행함.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문헌>서명
-
형재집(亨齋集) - 형재시집(亨齋詩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직(李稷)의 시집. 1465년(세조 11)에 김종직(金宗直)이 교열ㆍ편차하고, 손자 이영진(李永蓁)이 간행함.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문헌>서명
-
형제산(兄弟山)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형주(荊州)@이백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형중(亨仲)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형중(瑩中)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형중(瑩仲) - 황린(黃璘)@황귀수의아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고, 정붕(鄭鵬), 김일손(金馹孫) 등과 도의로 사귐.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