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형중(衡仲) - 이균(李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선장(李善長)의 아버지로,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4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형중(馨仲)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지(亨之) - 임필형(任弼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지(亨之)@조언형 - 조언형(曺彦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영(曺永)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아버지.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형지(泂之)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형지(衡之)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형지(衡之)@윤형지 - 윤형지(尹衡之)
조선 전기의 유학. 신광한(申光漢)이 보낸 시가 《기재집(企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형지(詗之) - 강형(姜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에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인해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형지(馨之)@박훈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지(馨之)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형천(亨天) - 함유일(咸有一)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항양(恒陽)으로,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인 함순(咸淳)의 아버지.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西京留守錄事)가 되고, 병부 낭중(兵部郞中)ㆍ공부 상서(工部尙書) 등을 지냄.
1106~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관인>문신
-
형칠(邢七)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형필(亨弼)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형하(亨夏) - 신형하(申亨夏)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글을 지었다가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형한(亨漢) - 최형한(崔亨漢)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巖). 김일손(金馹孫)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하고,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궁궐 앞에서 대죄(待罪)하다가 아사(餓死)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형호(荊湖)@충청도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형호(荊湖) - 동정호(洞庭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부에 있는 가장 큰 민물 호수. 양자강(揚子江)의 흐름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며, 예로부터 명승지(名勝地)로 유명하여 많은 시인들의 소재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혹(熒惑) - 화성(火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남방(南方)을 상징하는 별.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형혹(熒惑)’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형화(荊和)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형화숙(邢和叔)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혜(寭) - 이혜(李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퇴계(退溪)에게서 교육을 받아 음보로 좌랑(佐郞)을 지냄.
1543~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혜(惠)@한혜 - 한혜(韓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혜(惠)@이혜 - 이혜(李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몸집이 작고 이가 성글어 스스로 호(號)를 단활공(短豁公)이라 하였고 변계량(卞季良)과 시문으로 교유하였으며, 저서로는《단활집(短豁集)》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혜(惠)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혜(潓) - 이혜(李潓)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희령군(熙寧君) 이타(李袉)의 장손이며, 화성군(花城君) 이감(李堪)의 장남. 창원군(昌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혜(蕙) - 이혜(李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로,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혜(譓) - 김혜(金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김소석(金召奭)의 아들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혜(譓)@왕혜 - 왕혜(王譓)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셋째 아들. 원(元) 나라 순제(順帝)에게 고려의 왕으로 책봉받고 기황후(奇皇后)ㆍ최유(崔濡) 등과 공모하여 본국을 침입했으나 실패한 뒤 원으로 쫓겨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혜^이(惠^夷) - 이^혜(夷^惠)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인 유하혜(柳下惠)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인(聖人)을 가리킴.
중국>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혜각(慧覺) - 신미(信眉)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승려. 유학자이면서 숭불(崇佛)을 주장한 김수온(金守溫)의 형. 세조가 스승으로 대우하고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렸으며, 1461년(세조 7)에 훈민정음(訓民正音) 보급을 위해 설치한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종교인>승려
-
혜감(慧鑑)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감국사(慧鑑國師)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감원명편조무애국일대사(慧鑑圓明遍照無碍國一大師) - 해원(海圓)
고려 후기의 승려. 검교감(檢校監)을 지낸 조혁(趙奕)의 아들로, 원(元) 나라 안서왕(安西王)의 초빙을 받아 원 나라에서 활동함. 무제(武帝)의 원찰(願刹)인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의 초대 주지로 임명되는 등 원 나라 황실의 지극한 예우를 받음.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종교인>승려
-
혜갑(兮甲)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혜강(嵇康)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혜강(惠康)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혜경(惠卿)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 - 헌경왕후(獻敬王后)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妃)이자 정조(正祖)의 어머니.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홍봉한(洪鳳漢)의 딸.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한중록(恨中錄)》을 지음.
1735~18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혜군(槥郡) - 면천(沔川)
충청남도 당진(唐津)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면천 , 지명>행정지명
-
혜근(慧勤)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혜능(惠能)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혜능(惠能)@혜능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련(惠連)@유혜련 - 유혜련(柳惠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혜련(惠連) - 사혜련(謝惠連)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의 족제(族弟)로, 10세 때부터 시를 잘 지어 시재(詩才)로 인정받았으며, 사영운(謝靈運)ㆍ사조(謝脁)와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397~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혜로(惠老)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림(惠琳) - 양혜림(楊惠琳)
중국 당(唐) 나라의 절도사(節度使). 806년(헌종 원화 원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신 유창예(劉昌裔)에게 설복(說服)당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혜목(惠穆)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혜문(惠文)@이범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혜문태자(惠文太子)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혜반(惠班) - 반소(班昭)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으로, 〈팔표(八表)〉와 〈천문지(天文志)〉 등 《한서(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여계(女誡)》를 저술함.
49?~1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혜방(惠芳) - 유혜방(柳惠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아들이자 진천군(晉川君) 유구(柳玽)의 아버지로,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혜보(惠甫)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혜빈(惠嬪) - 헌경왕후(獻敬王后)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妃)이자 정조(正祖)의 어머니.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홍봉한(洪鳳漢)의 딸.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한중록(恨中錄)》을 지음.
1735~18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혜빈궁(惠嬪宮) - 헌경왕후(獻敬王后)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妃)이자 정조(正祖)의 어머니.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홍봉한(洪鳳漢)의 딸.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한중록(恨中錄)》을 지음.
1735~18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혜사(傒斯)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혜산(鞋山) - 대고산(大孤山)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동남쪽의 팽려호(彭蠡湖)에 있는 산 이름. 소고산(小孤山)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며 산세가 신발을 닮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혜산(鞵山) - 대고산(大孤山)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동남쪽의 팽려호(彭蠡湖)에 있는 산 이름. 소고산(小孤山)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며 산세가 신발을 닮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혜성(惠成)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혜성(槥城) - 면천(沔川)
충청남도 당진(唐津)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면천 , 지명>행정지명
-
혜성대왕(惠成大王)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혜손(惠孫) - 김혜손(金惠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군수(郡守)를 지냄.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혜손(惠蓀) - 유혜손(柳惠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둘째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염(柳琰)의 아버지로,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혜수(惠秀) - 신수(神秀)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북종선(北宗禪)의 조사(祖師). 동산사(東山寺)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선사(禪師)에게 수학하고, 무후(武后)ㆍ중종(中宗)ㆍ예종(睿宗) 3대에 걸쳐 국사(國師)를 지냄. 낙양(洛陽)의 천공사(天空寺)에서 입적함.
605~706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숙(惠叔)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혜숙(惠肅) - 박신(朴信)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362~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운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혜숙야(嵇叔夜)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혜시(惠始) - 담시(曇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고구려 요동(遼東)에 와서 불법을 펴, 삼승(三乘)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三歸五戒)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심(慧諶)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안(惠安) - 임언군(林堰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덟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
?~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혜안국사(慧安國師) - 혜안(慧安)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선승. 5조(祖) 홍인(弘忍)의 십대제자(十大弟子) 중 한 사람. 수 문제(文帝) 때 출가하여 양제(煬帝) 때 기민(饑民)을 구제하고, 당 태종(太宗) 때 홍인의 제자가 되었으며, 중종(中宗) 때 신수(神秀)와 함께 궁중의 초청을 받음.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애당(惠愛堂) - 공지학(孔志學)
중국 명(明) 나라의 의생(醫生). 요동(遼東) 사람.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 준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혜옹(惠翁) - 신자교(申子橋)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와 사촌간으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세조(世祖)가 왕위에 오르자 낙향함.
1413~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혜왕(惠王)@혜종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혜우(惠遇) - 유혜우(柳惠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혜운(惠運) - 유혜운(柳惠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혜원황제(惠元皇帝) - 순조(順祖)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 황제. 송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 증조부로, 부인은 혜명황후(惠明皇后) 상씨(桑氏).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월원명(慧月圓明)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의(惠懿) - 황자후(黃子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회천위(懷川尉) 황유(黃裕)의 아버지로, 한성부 윤(漢城府尹)ㆍ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호패법(戶牌法)을 건의하여 시행하고, 침구(鍼灸)의 전문직을 둘 것을 건의함.
1363~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혜일(惠逸) - 유혜일(柳惠逸)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태두(柳泰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혜자(惠子) - 혜시(惠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사상가. 양(梁) 나라 혜왕(惠王)과 양왕(襄王)을 섬겨 재상이 되었으나, 장의(張儀)에게 쫓겨 초(楚) 나라로 갔다가 돌아옴. 변론(辯論)에 능하여 친구인 장주(莊周)와 호량(濠梁) 위에서 물고기를 바라보며 나눈 대화로 유명함.
B.C.370?~B.C.3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혜자(惠資) - 장경왕후(莊敬王后)
고려 제18대 의종(毅宗)의 비(妃). 문종(文宗)의 손자인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의 딸로, 의종이 태자로 있을 때 혼인하고, 즉위 후에 흥덕궁주(興德宮主)로 책봉함. 효령태자(孝靈太子)와 경덕(敬德)ㆍ안정(安貞)ㆍ화순(和順)의 세 공주를 낳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혜장(惠莊)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혜장승천체도열문영무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惠莊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혜적(惠迪) - 유혜적(柳惠迪)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혜정(惠定) - 이유(李濡)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민진후(閔鎭厚) 등과 교유함.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645~17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혜제법사(慧齊法師) - 혜제(慧齊)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대혜선사(大慧禪師) 종고(宗杲)의 스승으로, 동산(東山)의 혜운사(慧雲寺)에서 수행할 때 그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내림.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조(惠照)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조(慧照)@혜소 - 혜소(慧昭)
신라 말의 승려. 선승(禪僧)이며 범패승(梵唄僧)으로, 당(唐) 나라 신감대사(神鑒大師)의 제자.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도의(道義)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興德王) 때 귀국함.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
774~85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종교인>승려
-
혜조(慧照)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조대사(惠照大師)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조선사(惠照禪師) - 의현(義玄)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희운(希運)에게 법을 이어받았으며, 삼해탈문(三解脫門)을 내세워 문도들을 책려하였고, 중국 선종(禪宗)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함.
?~86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혜종(惠宗)@혜제 - 혜제(惠帝)@명
중국 명(明)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1398~1402. 태조(太祖)의 손자로, 아버지 의문태자(懿文太子)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 뒤에 성조(成祖)가 된 주체(朱棣)에게 제위를 빼앗김.
137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종(惠宗)@순제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혜중(惠仲) - 이민적(李敏迪)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숙부인 이정여(李正輿)에게 출계하였고, 이이명(李頤命)의 생부임.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저서로 《죽서집(竹西集)》이 있음.
1625~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혜중산(嵆中散)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혜중산(嵇中散) - 혜강(嵆康)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ㆍ시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중심인물로, 중산대부(中散大夫)를 지냈으나 반유교적(反儒敎的)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223~26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혜평공(惠平公) - 강현(姜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여 귀양보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ㆍ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등을 지냄.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혜풍(惠風)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혜희(惠姬) - 반소(班昭)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으로, 〈팔표(八表)〉와 〈천문지(天文志)〉 등 《한서(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여계(女誡)》를 저술함.
49?~1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호(壕) - 윤호(尹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윤탕로(尹湯老)와 성종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아버지로,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424~14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