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호(昊)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호(昊)@이호 - 이호(李昊)
조선 단종(端宗) 때의 유학. 단종(端宗)의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였고, 아내 개질지(介叱知)와 딸 이목금(李木今)은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유하(柳河)에게 영속(永屬)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浩) - 신호(申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견내량(見乃梁)ㆍ안골포(安骨浦) 등의 해전에서 공을 세워 통정대부가 되었고,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전사함.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무신
-
호(浩)@조호 - 조호(曺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수문(曺秀文)의 아들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호(浩)@진호 - 진호(秦浩)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예조 참의(禮曹參議) 진유경(秦有經)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호(滸) - 강호(姜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사안(姜士安)의 양부(養父)로,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호(濩)@한호 - 한호(韓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삼화(三和).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 김정희(金正喜)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 사자관체(寫字官體)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
1543~16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호(濩)@신호 - 신호(申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신광한(申光漢)의 문인으로, 직강(直講)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호(濩) - 대호(大濩)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인 탕왕(湯王)이 이윤(伊尹)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萬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기타>가무
-
호(灝)@유호 - 유호(兪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관(兪綰)의 아들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역임함.
152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호(灝) - 이호(李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이며,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아들. 효행이 지극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문집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고 있음.
1442~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호(灝)@김호 - 김호(金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지낸 김제민(金齊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호(灝)@한호 - 한호(韓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교(判校) 등을 지냄.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灝)@최호 - 최호(崔灝)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득하(崔得河)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호(琥)@양호 - 양호(梁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대사헌(大司憲) 양성지(梁誠之)의 아들이며, 종실 양록부정(楊麓副正) 이수(李粹)의 장인으로, 낭천 현감(狼川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호(琥) - 남호(南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판(工曹參判) 남응운(南應雲)의 아들로, 1568(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536~?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瑚)@황호 - 황호(黃瑚)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호(瑚) - 권호(權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득(權得)의 아들로, 1438년(세종 20)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하였으며, 병조 정랑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호(瑚)@이호 - 이호(李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연산군 때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낸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낸 이성정(李成楨)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호(瑚)@안호 - 안호(安瑚)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전주 부윤(全州府尹) 안지귀(安知歸)의 아들로, 세조 때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고,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1437~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호(瑚)@조호 - 조호(趙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성균관 사예(司藝)를 지낸 조수(趙須)의 아버지로,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409년(태종 9)에 민무구(閔無咎)의 제거와 관련하여 승려 묘음(妙音)의 고발로 수감되어 사사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호(皡) - 서호(徐皡)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김자수(金自粹)의 문인(門人)으로,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종 때 등용되어 단종 때 충청도 경차관(忠淸道敬差官)이 되었으나, 왕위가 찬탈당하자 향리에 은거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호(胡) - 여왕(厲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0대 황제. 재위 B.C.877~B.C.841.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彘)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
B.C.878~B.C.828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虎)@서호 - 서호(徐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서경천(徐慶千)의 아버지로, 만호(萬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호(虎)@윤호 - 윤호(尹虎)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해(尹侅)의 아들.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護) - 우문호(宇文護)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문신ㆍ종친. 서위(西魏)의 공제(恭帝)ㆍ북주의 민제(閔帝)와 명제(明帝)를 죽이면서 조정의 대권을 계속 장악하다가, 무제(武帝)에 의해 살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호(豪) - 원호(元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송수(元松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驪州)에서 적병을 무찌르고,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龜尾浦)에서 섬멸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호(鎬)@김호 - 김호(金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낸 김종윤(金宗胤)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에 보임된 후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함.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고 역서(易筮)에 통달함.
1505~15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호(鎬)@홍호 - 홍호(洪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덕록(洪德祿)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냄.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
1586~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호(鎬)@심호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호(鎬)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호(頀) - 대호(大濩)
중국 은(殷) 나라의 제왕인 탕왕(湯王)이 이윤(伊尹)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萬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기타>가무
-
호(顥) - 이호(李顥)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겸(李資謙)과 순종(順宗)의 비(妃)인 장경궁주(長慶宮主)의 아버지로, 호부 낭중(戶部郞中)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호^영(湖^嶺) - 영^호(嶺^湖)
우리나라 팔도(八道) 중 경상도(慶尙道)와 전라도(全羅道)ㆍ충청도(忠淸道)를 함께 부르는 말. 산맥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는 경상남도ㆍ경상북도와 호(湖)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뉘는 전라도ㆍ충청도를 일컬음.
지명>기타지명
-
호간(胡簡)@이손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간(胡簡)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호강(湖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호거산(虎距山) - 운문산(雲門山)
경상도 청도(靑道)의 동쪽 96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기암괴석과 계곡이 절경을 이루며, 현재 경상남도 청도군 운문면(雲門面)과 경상북도 밀양시(密陽市) 산내면(山內面)의 경계에 속함.
경상도>청도 , 지명>자연지명
-
호경재(胡敬齋)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계(壺溪) - 강진휘(姜晉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강종경(姜宗慶)의 아들.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ㆍ선전관(宣傳官)을 지냈지만 30세의 나이로 요절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호계(湖界)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계수(胡季隨) - 호대시(胡大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굉(胡宏)의 아들이며, 장식(張栻)의 사위이자 제자로, 장식이 죽은 뒤 진부량(陳傅良)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호남답문(湖南答問)》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고(好古)@장만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고(好古) - 홍민구(洪敏求)
고려 후기의 문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이 ‘호고(好古)’라는 자(字)를 지어 주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호고(好古)@이희삼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호곡(壺谷) - 남용익(南龍翼)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을 떨쳤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연루되어 명천(明川)에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곡(壺谷)@남유용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곡(壺谷)@유범휴 - 유범휴(柳範休)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노애(蘆厓) 유도원(柳道源)의 아들.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역임했음.
1744~18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호공(浩公)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공(虎公) - 무공(武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55년간 재위하면서 주(周)를 도와 융적(戎狄)를 평정하고, 〈억(抑)〉이란 시를 지어 스스로를 경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호과(虎科)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호광중(胡廣仲) - 호실(胡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호원(胡瑗)의 아들이자, 호굉(胡宏)의 사촌동생으로, 주희(朱熹)ㆍ장식(張軾)과 논쟁하였으며, 장사랑(將仕郞) 등을 역임함.
1136~11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구록(虎口錄) - 호구일록(虎口日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두문(權斗文)이 쓴 일기 형식의 책. 저자가 임진왜란 때 창평 군수(昌平郡守)를 지내다가 왜적에게 붙잡히자 적진에서 정세를 탐지하여 관군(官軍)에게 알렸는데, 이때의 일을 기록한 것임.
159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호금(好金) - 권호금(權好金)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와 40년 넘게 교유했고, 산수를 벗 삼아 벼슬하지 않으며 한적하게 일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호금(胡金)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호기(互棄) - 이성윤(李誠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청원도정(靑原都正) 이간(李侃)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光海君)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됨.
1570~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호남(湖南)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호남문답(湖南問答) - 호남답문(湖南答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대시(胡大時)가 지은 책. 저자가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이 호남(湖南)의 악록서원(岳麓書院)에서 강학할 때 참여하여 학문을 토론한 내용을 저술한 책으로 추정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호남수사(湖南洙泗)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남의병록(湖南義兵錄) - 호남의록(湖南義錄)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저서. 임진왜란 때 호남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한 최경회(崔慶會)ㆍ정운(鄭運)ㆍ백광언(白光彥) 등 16인에 대한 기록으로, 1626년(인조 4)에 간행함.
162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호담암(胡澹庵) - 호전(胡銓)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으로 금(金)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 간신 진회(秦檜)ㆍ왕륜(王倫)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資政殿學士) 등을 지냄.
110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호담암(胡澹菴) - 호전(胡銓)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으로 금(金)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 간신 진회(秦檜)ㆍ왕륜(王倫)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資政殿學士) 등을 지냄.
110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호당(湖堂)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호도독(護都篤) - 명종(明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연도 1329. 무종(武宗)의 장자이나 인종(仁宗)에 의해 차카타이 한국으로 망명한 후 정세를 관망하다가, 차카타이 한국의 지원을 받아 1329년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살해됨.
1314~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두(虎頭)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호두(鄠杜)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락논쟁(湖洛論爭) -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성리학에서 인간의 성(性)과 인간을 제외한 만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관한 이론. 동론(同論)을 주장한 이간(李柬)과 이론(異論)을 주장한 한원진(韓元震) 사이에 일어난 논변이 중심이 됨.
한국>조선후기 , 사상>이론>학설
-
호련(瑚璉)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례(好禮) - 송호례(宋好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96년(연산군 2)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직이 삭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로(湖老)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룡(虎龍) - 목호룡(睦虎龍)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지관(地官).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남인(南人)의 서얼(庶孽). 1722년(경종 2) 김일경(金一鏡)의 사주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김일경과 함께 처형됨.
1684~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지관ㅣ인명>관인>문신
-
호림은사(虎林隱史) - 선우추(鮮于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상시 전부(太常寺典簿)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음.
1246~130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호모자도(胡母子都) - 호모생(胡母生)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ㆍ학자.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스승인 공양수(公羊壽)와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문(好問)@박호문 - 박호문(朴好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1419년(세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삭주 절제사(朔州節制使) 등을 지냄. 1452년(단종 즉위년)에 함길도 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가 되어 부임하였으나 이징옥(李澄玉)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호문(好問)@원호문 - 원호문(元好問)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 특히 두보(杜甫)의 시에 조예가 깊음.
1190~1257 중국>원ㅣ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문(好問) - 성호문(成好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계례(成繼禮)의 아들로,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역임함.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호문(好文)@권호문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호문(好文) - 강호문(康好文)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1362년(공민왕 11)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함. 부인 문씨(文氏)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烈女)로 칭송됨. 이색(李穡)․권근(權近)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호문(胡文)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문정(胡文定) - 호안국(胡安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를 사숙하고 정문(程門)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武夷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춘추(春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을 저술함.
1074~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민(好閔)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백량(胡伯量)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변(虎變) - 이호변(李虎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호보(浩甫)@하유종 - 하유종(河有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고결한 인품을 매화에 비유하여 읊은 〈매천부(梅川賦)〉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호보(浩甫) - 윤계(尹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副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인종(仁宗) 때 사은사(謝恩使)로 북경에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호보(浩甫)@이희문 - 이희문(李希文)
조선 전기의 유학. 월연(月淵) 이태(李迨)ㆍ간지(幹之) 박형간(朴亨幹)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본정집(胡本程集)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호봉(壺峯)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호봉(壺峰) - 이돈(李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참봉(參奉) 이원회(李元晦)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문인으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호부(浩夫) - 허한(許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허담(許聃)의 아들로, 군자감 부봉사(軍資監副奉事) 등을 지냄. 그림은 매(梅)ㆍ죽(竹)을 잘 그리고, 시(詩)는 당시(唐詩)의 운격(韶格)에 능함.
1492~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호산(壺山)@여산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호산(壺山)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산군(壺山君) - 송세형(宋世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재정(財政)에 밝아 시폐(時弊) 개혁에 힘씀.
?~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호산군(湖山君) - 이현(李鉉)@이포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의 손자이자, 함양군(咸陽君) 이포(李𧦞)의 아들로, 호산군(湖山君)에 봉해지고,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호산송씨(壺山宋氏) - 여산송씨(礪山宋氏)
고려 때 진사(進士)를 지내고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된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집단>성씨
-
호산청은(湖山淸隱)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생(浩生) - 김호생(金浩生)
조선 전기의 유학. 붓을 만드는 데 종사하면서 많은 유림(儒林)들과 교유하였으며, 신장(申檣)ㆍ신숙주(申叔舟) 부자와 교분을 쌓음. 신숙주의 《보한재집(保閑齋集)》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서(湖西)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서루(湖西樓) - 호호정(浩浩亭)
조선 전기에 읍청(挹淸) 박사종(朴嗣宗)이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한 누정(樓亭).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되었으나 1959년 복원하고서 호서루(湖西樓)로 개명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누정
-
호서산인(滸西山人) - 강해(康海)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수찬(翰林修撰) 등을 지냈으며, 이몽양(李夢陽) 등과 문학의 복고(復古)를 주창한 전칠자(前七子) 중의 한 사람. 특히 산곡(散曲)에 뛰어나 왕구사(王九思)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
1475~154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