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호서지방(湖西地方)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선(好善) - 성호선(成好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냄.
15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성(㙈成) - 김언근(金彦根)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1784년에 이진악(李鎭岳) 등과 함께 상소하여 덕흥서원(德興書院)의 사액을 청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호성(好性) - 맹호성(孟好性)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호성(湖城)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성(虎城) - 무성(武城)
중국 화주(華州) 정현(鄭縣) 동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유(子游)가 예악(禮樂)으로 이 고을을 다스렸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호수(湖叟)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수(虎秀) - 김호수(金虎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사위. 양성 현감(陽城縣監)ㆍ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호숙(浩叔)@이항 - 이항(李沆)@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주도하여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했으며, 영천 군수(榮川郡守)ㆍ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냈음.
1474~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호숙(浩叔) - 권석순(權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74년(성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며,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호식(胡寔) - 호실(胡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호원(胡瑗)의 아들이자, 호굉(胡宏)의 사촌동생으로, 주희(朱熹)ㆍ장식(張軾)과 논쟁하였으며, 장사랑(將仕郞) 등을 역임함.
1136~11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신(虎臣) - 권호신(權虎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모의 봉양을 이유로 사양함.
1558~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호신(虎臣)@임호신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씨전(胡氏傳) -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이 지은, 《춘추(春秋)》의 주석서.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함께 ‘춘추사전(春秋四傳)’으로 불리기도 함.
113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호아(胡兒) - 사낭(謝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사안(謝安)의 조카로, 문장이 화려하고 아름다워 명성이 사현(謝玄)에 버금갔으며, 동양 태수(東陽太守)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아(胡兒)@안녹산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호아(虎兒) - 김종호(金從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차남으로, 자여도 찰방(自如道察訪)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호아(虎兒)@미우인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호안(胡安) - 황치신(黃致身)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황희(黃喜)의 아들.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름. 형조 정랑(刑曹正郞)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
1397~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호안(胡安)@이정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호안(胡安)@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안(胡安)@심광언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안정(胡安定) - 호원(胡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의 스승. 범중엄(范仲淹)ㆍ손복(孫復)과 함께 '송초(宋初)의 세 선생'으로 일컬어지는 송학(宋學)의 선도자로,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많은 제자를 배출함.
993~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암(壺巖) - 변성온(卞成溫)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장성(長城)에 필암서원(筆巖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5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문인
-
호암(虎巖) - 이희량(李希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 음보(蔭補)로 언양(彦陽)ㆍ봉화(奉化)의 현감(縣監)을 역임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호양(胡襄)@구치홍 - 구치홍(具致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호양(胡襄)@이몽가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양(胡襄) - 심순경(沈順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송(靑松).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청성군(靑城君)에 봉해지고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62~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호여(皥如) - 금복고(琴復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인(琴軔)의 아들이며,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문인. 유림의 추천으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고, 임진왜란 때 원종훈(原從勳)으로 호군(護軍)에 오름.
154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양홍택 - 양홍택(梁弘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남계서원(灆溪書院) 운영의 재정(財政)을 담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호연(浩然)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조호 - 조호(曺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수문(曺秀文)의 아들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정우 - 정우(鄭㝢)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관직은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정몽주(鄭夢周)와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맹호연 - 맹호연(孟浩然)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오언시(五言詩)를 잘하여 왕유(王維)와 비견됨.
689~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호연(浩然)@어맹순 - 어맹순(魚孟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어세공(魚世恭)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1467~151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연(浩然)@윤호연 - 윤호연(尹浩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문경 현감(聞慶縣監)을 지냈으며, 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영(虎英) - 문호영(文虎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문홍달(文弘達)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호옥재(胡玉齋) - 호방평(胡方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동몽정(董夢程)에게 역학(易學)을 전수받고 심귀요(沈貴瑤)를 스승으로 섬겨 《주역(周易)》에 정통하였으며, 저서에 《역학계몽통석(易學啓蒙通釋)》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옹(湖翁)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우(湖右)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운봉(胡雲峯)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호원(好元) - 박호원(朴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박이(朴苡)의 아들로, 명종 때 토포사(討捕使)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어 임꺽정(林巨正) 등 도적을 진압함. 대사헌(大司憲)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원(浩原)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원(浩源)@하항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호원(浩源) - 김언(金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희맹(姜希孟)의 외손자.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호원(浩源)@유속 - 유속(柳洬)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원(浩源)@장잠 - 장잠(張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능주(綾州)로 유배되자 그를 배종(陪從)하였고, 후에 스승의 신원소(伸寃疏)를 올렸음.
149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유학
-
호원(灝元)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원(灝源) - 하항(河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최영경(崔永慶)과 교유하며 일생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문장과 시에 뛰어남.
153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호원(胡元)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호원성주(灝元城主)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유(戶牖)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호유후(戶牑侯) - 진평(陳平)
중국 전한(前漢)의 무신. 처음에는 항우(項羽)를 따랐으나 후에 유방(劉邦)을 섬겨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우고, 고향의 호유후(戶牖侯)에 임명됨. 그 후 주발(周勃)과 함께 여씨(呂氏)의 난을 평정한 후 문제(文帝)를 옹립함.
?~B.C.17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호은(壺隱)@유감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호은(壺隱) - 구영안(丘永安)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 등극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둔함.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고, 음양(陰陽)ㆍ추보(推步)ㆍ풍수(風水)ㆍ의술ㆍ선도(仙道)ㆍ불도ㆍ승제(乘除) 등 폭넓은 학문을 연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호은(壺隱)@김정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호은(毫隱) - 김호생(金浩生)
조선 전기의 유학. 붓을 만드는 데 종사하면서 많은 유림(儒林)들과 교유하였으며, 신장(申檣)ㆍ신숙주(申叔舟) 부자와 교분을 쌓음. 신숙주의 《보한재집(保閑齋集)》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은(湖隱) - 홍연(洪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척(洪陟)의 아들.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의(執義)를 지냈으나 불교를 배척하다 파출되고, 이듬해 복직되었으나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종신토록 자취를 감춤.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호은(湖隱)@허기 - 허기(許麒)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두문동(杜門洞) 현인의 한 사람으로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호음(湖陰)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음공(湖陰公)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음노인(湖陰老人)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음상공(湖陰相公)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음시고(湖陰詩稿) - 호음잡고(湖陰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사룡(鄭士龍)의 시문집(詩文集). 8권 8책. 목활자본.
157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호음집(湖陰集) - 호음잡고(湖陰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사룡(鄭士龍)의 시문집(詩文集). 8권 8책. 목활자본.
157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호읍(湖邑)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호의(好義) - 송호의(宋好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지평(持平)ㆍ장령(掌令)을 역임하였으며, 이극돈(李克墩)의 추탈(追奪)을 주장하는 등 성품이 강직하였음.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호이(湖李)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익(好益) - 조호익(曺好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칭병으로 관직을 거절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유배지에서 학문 및 후학 양성에 힘써 학풍을 크게 진작시킴.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여러 관직을 제수받지만 대부분 사직함.
1545~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인(好仁)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인(好仁)@정호인 - 정호인(鄭好仁)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낸 정안번(鄭安藩)의 아들.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호인(好仁)@유호인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장공(戶長公) - 황양충(黃亮沖)
고려 후기의 향리. 창원(昌原)에 정착하여 호장(戶長)을 지냄으로써 창원황씨(昌原黃氏) 호장공파(戶長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아전
-
호재(浩齋) - 허백기(許伯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호재(湖齋) - 망호재(望湖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사제. 경상도 예천(醴泉) 고평(高坪)에 터를 잡고 고평동계(高坪洞契)를 만들어 군민을 교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사제
-
호전(湖甸)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전(胡傳) -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호안국(胡安國)이 지은, 《춘추(春秋)》의 주석서.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과 함께 ‘춘추사전(春秋四傳)’으로 불리기도 함.
113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호전(虎殿) - 백호전(白虎殿)
중국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북쪽에 있던 전각 이름. 후한(後漢)의 장제(章帝)가 유학을 부흥시키기 위하여 이곳에 여러 유학자를 모아 오경(五經)을 연구하게 함.
중국>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호정(浩亭)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정(湖亭)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호정선생문집(浩亭先生文集) - 호정집(浩亭集)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인 하륜(河崙)의 시문집. 1847년(헌종 13) 후손 하진달(河鎭達)이 여러 책에서 저자의 시문을 수집ㆍ편차하여 진주(晉州)에서 초간(初刊)하고, 1940년에 5권 2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삼간(三刊)됨.
18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호제(虎帝)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종(皓宗)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종조(胡宗朝) - 호종단(胡宗旦)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원래 중국 송(宋) 나라 출신으로, 총명하고 박학하며 다재다능하여 예종 때 기거사인(起居舍人) 등을 지냈으며, 압승술(壓勝術)에 능하였음.
한국>고려전기 , 중국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호좌(湖左)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호주(湖州)@충청도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주광어사(湖州狂御史)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호중물(壺中物)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호중일로(壺中逸老)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중자화(壺中子華)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호지(好智)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호창(虎昌) - 무창(武昌)
중국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 손권(孫權)이 처음 설치한 군(郡)으로, 적벽대전(赤壁大戰)이 벌어진 곳.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호추(湖陬)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호충화(胡充華)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호치당(胡致堂) - 호인(胡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양자로, 양시(楊時)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衡麓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내고, 금(金)과의 강화(講和)를 반대함.
1098~115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호치후(好畤侯) - 경감(耿弇)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장보(張步)와 소무(蘇茂)를 평정하고, 3백 개의 성을 도륙(屠戮)함. 건위대장(建威大將)을 지내고, 호치후(好畤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호탄(胡灘) - 도탄(道灘)
조선 전기의 승려. 《백담집(栢潭集)》에 그에 관한 시 〈도탄(道灘)〉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호태후(胡太后) -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의 황후. 아들 효명제(孝明帝)를 독살하고 세 살인 원소(元釗)를 황제로 세운 뒤 섭정하였으나, 후에 계호(契胡)의 추장 이주영(爾朱榮)에 의해 원소와 함께 황하(黃河)에 수장됨.
?~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호평(胡平) - 김한(金澣)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아들로, 정종의 넷째 딸인 고성옹주(高城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9~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