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개(元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고행(高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경(元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구려에 파견된 팔학사(八學士) 가운데 한 명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즉위에 공을 세웠다고 함. 원주원씨(原州元氏)의 시조.
한국>고구려 , 중국ㅣ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원계신(元繼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낸 이창형(李昌亨)의 사위로,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원계채(元繼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대사성(大司成)과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역임하였음. 외교문서 작성에 능하여 사신으로 많이 파견되었으며,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죽었음.
1492~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고옥(元高沃)
고려 후기의 유학. 그를 전송하는 시(詩)가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원광정사(遠光精舍)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권눌(權訥)이 와룡산(臥龍山) 아래에 지은 정사(精舍). 이곳에서 후진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제
-
원교(員嶠)
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오도(五島)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원교집(圓嶠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광사(李匡師)의 문집. 10권 4책. 필사본. 이광사가 유배 때에 지은 시문을 모아둔 것을 바탕으로 편찬했으나,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이 불확실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원균(元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과 합세하여 옥포(玉浦) 등지에서 연승함.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
1540~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극유(元克猷)
고려 태조(太祖) 때의 개국공신. 병부령(兵部令)을 지냈으며 원성백(原城伯)에 봉해짐. 원주원씨(原州元氏) 원성백파(原城伯派)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원단구(元丹丘)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신선술(神仙術)을 좋아하였으며, 이백(李白)과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원당(原黨)
조선 인조(仁祖) 때 공서(功西)가 분열되면서 원두표(元斗杓)를 중심으로 형성된 당파. 원평부원군(原平府院君) 원두표가 낙흥부원군(洛興府院君) 김자점(金自點)과 권력다툼으로 대립하면서 각각 원당(原黨)ㆍ낙당(洛黨)으로 갈라짐.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원덕수(元德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명리(名利)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
696~75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록도(猿鹿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윤엄(尹儼)이 그린 그림. 견본담체화(絹本淡彩畵)로, 소나무ㆍ바위ㆍ사슴과 함께 원숭이 두 마리가 소나무 가지에 앉아서 한 마리는 손에 천도복숭아를 들고 있고, 한 마리는 복숭아를 먹고 있는 모습을 그림.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원룡고와(元龍高臥)
손님 대접이 소홀함을 비유한 말. 중국 삼국시대 원룡(元龍)인 진등(陳登)이 자기를 찾아온 허사(許汜)를 아래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윗 침대에서 잔 데서 유래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원맹현(元孟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원주(元柱)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명선(元明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조맹부(趙孟頫) 등과 함께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초빙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하였음.
1269~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분가(寃憤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이 지은 가사. 1537년(중종 32) 2년 여의 흥양(興陽) 유배에서 풀려난 뒤 유배 당했을 때의 심경을 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문헌>작품명
-
원붕(元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유학 원맹현(元孟賢)의 아들이며,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원사용(元士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사(元史)
중국 원(元)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正史). 명(明) 나라의 송렴(宋濂)ㆍ왕위(王緯) 등이 칙명으로 편찬함. 기(紀) 47권, 지(志) 53권, 표(表) 6권, 열전(列傳) 97권으로 구성됨.
1370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원사용(元士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붕(元鵬)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였으며,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상(元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長湍)에 은거함.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문신
-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임제(林悌)가 지은 몽유록(夢遊錄) 계통의 한문 단편소설. 초야에 묻혀 살던 원자허(元子虛)가 꿈에 단종(端宗)과 사육신(死六臣)을 만나 세조(世祖)의 찬탈을 비난하며 비분강개하여 토론했다는 내용이 담김.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원선지(元善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선왕(忠宣王)은 토번(吐番)으로 유배되고, 충숙왕은 원(元) 나라에 머물러 있어 동요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홀로 의리를 버리지 않았음.
1281~133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섭(袁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로 그의 문집 서문을 쓰고 간행했으며, 예부 시랑(禮部侍郎)ㆍ직학사(直學士) 등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성어록(元城語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마대년(馬大年)이 스승 유안세(劉安世)의 가르침을 기록한 책. 3권, 부(附) 행록(行錄)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원성왕(元聖王)
신라의 제38대 국왕. 재위 785~798. 선덕왕(宣德王)이 즉위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선덕왕 사후 김주원(金周元)과의 왕위다툼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음.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설치하는 등 개혁정치를 함.
?~79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소(袁紹)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헌제(獻帝) 때의 무신. 영제가 죽자 환관들을 일소하려다가 실패한 뒤 동탁(董卓)을 낙양(洛陽)에서 몰아내고 강력한 세력을 구축하였으나, 조조(曹操)와 결전을 벌였다가 대패하고 병사함.
?~2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송수(元松壽)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하여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신돈의 난정(亂政)을 개탄하다가 병사함.
1324~136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수(沅水)
중국 귀주성(貴州省)의 운무산(雲霧山)과 대산(大山)에서 발원하여 합쳐진 후 동류(東流)하여 호남성(湖南省)의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드는 강 이름. 상수(湘水)ㆍ자수(資水)ㆍ예수(澧水)와 더불어 ‘사수(四水)’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순조(元順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음서(蔭敍)로 충순위(忠順衛)가 되었고 보공장군(保功將軍)에 이르렀으나,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치사하고 물러남.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술(袁術)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무신. 손견(孫堅)과 결탁하여 동탁(董卓)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얻음. 197년 구강(九江)에서 칭제(稱帝)하였으나 2년도 못 되어 조조(曹操)에게 패하도 원담(袁譚)에게 가는 도중 사망함.
?~19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중국 원(元) 나라 때의 관각문신(館閣文臣)인 우집(虞集)ㆍ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 네 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중국>원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원씨장경집(元氏長慶集)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元稹)의 문집. 60권, 보유(補遺) 6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원안(袁安)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화제(和帝) 때의 문신. 초왕 영(楚王英)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당하는 자가 속출할 때, 초군 태수(楚郡太守)로 부임하여 죄안을 다시 심사하여 풀어준 사람이 4백여 인에 이르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앙(袁盎)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직간(直諫)하는 신하로 유명했는데 자주 직간하여 농서 도위(隴西都尉)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양왕(梁王)에게 원망을 사서 살해당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오(圓悟)
조선 전기의 승려. 영관(靈觀)ㆍ일선(一禪) 등 60여 명과 함께 스승 지엄(智嚴)에게서 대승경론(大乘經論)과 선(禪)을 사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우(元祐)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연호(年號) 가운데 하나. 해당 연한 1086~1094. 이 시기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던 구당파(舊黨派)들이 정권을 장악함.
1086~1094 중국>송 , 중국 , 시간>연호
-
원육전(元六典)
조선 태종(太宗) 때 하륜(河崙) 등이 편찬한 법전(法典). 《경제육전(經濟六典)》을 수정한 《경제육전원집상절(經濟六典元集詳節)》에서 문장 중의 이두(吏讀) 등을 빼고 편찬함.
14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원윤적(元允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천석(元天錫)의 아버지로,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익겸(元益謙)
고려시대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시중(侍中)을 지냄. 원주원씨(原州元氏)의 중시조가 됨.
한국>고려시대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자(袁滋)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유벽(劉辟)과 오원제(吳元濟)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재고(圓齋槀)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인 정추(鄭樞)의 문집. 1418년(태종 18) 아들 정탁(鄭擢)이 영월(寧越)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41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원저(元宁)
고려 후기 이규보(李奎報)의 가전체 소설인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에 나오는 현부(玄夫)의 둘째 아들. 오(吳)와 월(越) 사이를 방랑하면서 자호(自號)를 통현선생(洞玄先生)으로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원적(元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1519년(중종 14) 무과(武科)에 장원급제하였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라 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로서 달량포(達梁浦)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성을 지키다가 장흥 부사(長興府使) 한온(韓蘊) 등과 함께 살해됨.
?~1555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제(元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 재위 317~322.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증손자로 낭야왕(琅邪王)으로 봉해짐. 화북지방의 혼란이 격화되자 건업(建業)으로 옮겨 세력을 굳히고, 서진(西晉)이 망하자 317년 동진(東晉) 왕조를 열었음.
276~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제(元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48~B.C.33.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宣帝)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
B.C.75~B.C.3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원종공신(原從功臣)
조선시대에 공이 큰 정공신(正功臣)을 정할 때, 왕을 수종(隨從)하는 등 정공신에 버금가는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원주(元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음보(蔭補)로 장사랑(將仕郞)을 제수 받은 뒤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등을 역임함.
1463~149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원주변씨(原州邊氏)
고려 우왕(禑王) 때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에 봉해진 변안렬(邊安烈)을 시조로 하는 성씨. 황주변씨(黃州邊氏)의 시조인 변여(邊呂)의 후손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주원씨(原州元氏)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사신으로 온 당(唐) 나라 팔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인 원경(元鏡)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계보(系譜)를 달리하는 운곡공계(耘谷公系)ㆍ원성백계(原城伯系)ㆍ시중공계(侍中公系) 등 세 계통이 있음.
한국>고구려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주이씨(原州李氏)
고려 전기에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이춘계(李椿桂)를 시조로 하는 구원주(舊原州) 계통과, 경주이씨(慶州李氏)에서 분관(分貫)한 원주백(原州伯) 이신우(李申佑)을 시조로 하는 신원주(新原州)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준(袁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정치에 관한 저서가 10여만 자(字)에 이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중치(元仲稚)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윤조(元允祖)의 아버지이며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사위. 어모장군(禦侮將軍) 충무위 부호군(忠武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진(元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문인. 15세에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내고, 시에 능하여 백거이(白居易)와 이름을 나란히 함.
779~83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진문(元進文)
조선 전기의 무신. 우후(虞侯)를 지냈으며,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함께 망선대(望仙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차산집(元次山集)
중국 당(唐) 나라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원결(元結)의 문집. 10권, 보유(補遺) 1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원찬(袁粲)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송 왕조에서 주요 관직을 거치다가 제(齊) 왕조가 들어서자 한 몸으로 다른 성의 군주를 섬길 수 없다 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임을 당함.
419~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창명(元昌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낸 원상(元庠)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며, 세종(世宗) 때 숭불정책(崇佛政策)을 배척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원철(圓澈)
조선 중기의 승려. 휴정(休靜)의 제자로,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에서 수행하였으며,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충(元忠)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부(元傅)의 손자. 충선왕(忠宣王)의 총애로 왕씨(王氏)를 하사받아 이름을 왕주(王鑄)로 바꾸고,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추성좌리공신(推誠佐理功臣)에 봉해짐.
1290~133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탐(袁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왕이 그 재주 많음을 사랑하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요절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풍(元豊)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연호(年號) 가운데 하나. 해당 연한 1078~1085. 이 시기에 신종이 친정(親政)을 행하고 신법당(新法黨)인 채확(蔡確) 등이 집권하여 신법(新法)을 실시함.
1078~1085 중국>송 , 중국 , 시간>연호
-
원풍유고(元豐類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증공(曾鞏)의 문집. 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원학(元學)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원주(元柱)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헌(原憲)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겼음.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邑宰)가 되었으며,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衛)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호(元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송수(元松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驪州)에서 적병을 무찌르고,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龜尾浦)에서 섬멸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호문(元好問)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 특히 두보(杜甫)의 시에 조예가 깊음.
1190~1257 중국>원ㅣ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혼(元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유륜(元有綸)의 아들.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0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황(元晃)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호(元昊)의 형. 1405년(태종 5)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정언(右正言)을 지냈고, 원산군(原山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원효렴(元孝廉)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아들이자 원숙강(元叔康)의 아버지. 1451년(문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효사(元曉寺)
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건립한 사찰.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元曉庵)ㆍ원효당(元曉堂) 등으로 불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
한국>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훤(元咺)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성공(成公)을 내쫓고 공자하(公子瑕)를 왕위에 등극시켰으나 성공이 복위할 때 죽임을 당함.
?~B.C.6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월계유집(月溪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인 조희문(趙希文)의 문집. 1950년 후손 조신제(趙信濟)ㆍ조응제(趙應濟) 등이 5권 2책의 석인본으로 간행함.
195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월남사(月南寺)
고려 후기에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이 전라도 강진(康津)의 월출산(月出山) 남쪽에 창건한 사찰.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비문이 있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유적>건물>사찰
-
월남장로(月南長老)
고려 후기의 승려. 묘경상인(妙瓊上人)의 백부(伯父)이자 스승.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월단평(月旦評)
인물에 대한 품평(品評)을 일컫는 말. 중국 후한(後漢) 때 여남(汝南)의 허소(許劭)와 허정(許靖)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가했다는 데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월담헌(月潭軒)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양(英陽)에 세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조임(趙任)의 살림집에 딸린 건물의 이름.
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유적>건물>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