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호폐헌(好閉軒)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호학재(好學齋)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호해(湖海) - 호약해(胡若海)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당시 군웅(群雄)의 한 사람이던 방국진(方國珍)이 명주 사도(明州司徒)로 있을 적에 그의 사신이 되어 공민왕(恭愍王) 때 고려에 옴.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호해(胡亥) - 이세(二世)
중국 진(秦)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B.C.209~B.C.207. 시황제(始皇帝)의 둘째 아들로, 시황제가 죽자 이사(李斯)와 조고(趙高)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 방탕한 생활로 진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으며, 조고의 협박을 받아 자살함.
?~B.C.207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호호(浩浩)@강혼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호호(浩浩) - 반홍(潘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1582년(선조 1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호호(浩浩)@유회 - 유회(柳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양(興陽). 유서량(柳恕良)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과는 죽마지우(竹馬之友) 사이.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황(璜) - 남황(南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로, 사축서 별제(司畜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황(璜)@안황 - 안황(安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형(安處亨)의 아들이며, 부사(府使) 안경빈(安敬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황(璜)@박황 - 박황(朴璜)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황(璜)@이황 - 이황(李璜)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문신.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낸 이반(李槃)의 24세손으로, 밀직 부사(密直副使)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고성이씨(固城李氏)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황(璜)@정황 - 정황(鄭璜)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충의위 어모장군(忠義衛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황(貺) - 김황(金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회군공신(回軍功臣)인 밀양 부사(密陽府使) 김온(金穩)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황(趪) - 곽황(郭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였음.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예안 현감(禮安縣監)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음.
1530~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황(鎤) - 성황(成鎤)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다섯째 아들로, 학문에 힘쓰고, 하진(河溍)ㆍ조임도(趙任道) 등과 교류함.
1595~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황(黃) - 김황(金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황^공(黃^龔) - 공^황(龔^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인 공수(龔遂)와 황패(黃覇)를 함께 부르는 말.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기(黃^岐) - 헌^기(軒^岐)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 헌원(黃帝軒轅)과 그 시대의 명의(名醫)인 기백(岐伯)을 함께 부르는 말. 의술(醫術)의 비조(鼻祖)를 일컫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기(黃^綺) - 하^기(夏^綺)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인 하황공(夏黃公) 최광(崔廣)과 기리계(綺里季) 오실(吳實)을 함께 부르는 말. 진 나라 시황(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피하여 상산(商山)에 은거한 상산사호(商山四皓)에 속하는 인물들로, 흔히 명리를 떠나 은거하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소(黃^蘇) - 파^곡(坡^谷)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식(蘇軾)과 그의 문인(門人)이자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시조인 황정견(黃庭堅)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영(皇^英) - 영^황(英^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함께 부르는 말. 요(堯) 임금의 딸로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된 두 여인을 일컬음.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왕(黃^汪) - 왕^황(汪^黃)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왕백언(汪伯彦)과 황잠선(黃潛善)을 함께 부르는 말.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대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한 사람들로, 간신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희(黃^羲) - 희^헌(羲^軒)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伏羲)와 헌원(軒轅)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왕(聖王)을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황각(龍閣) - 용도각(龍圖閣)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 설치한 왕실 도서관. 황제의 문집ㆍ도화(圖畵)ㆍ세보(世譜) 등을 보관하였고, 유학사(有學士)ㆍ직학사(直學士)ㆍ대제(待制)ㆍ직각(直閣) 등의 관리를 둠.
중국>송 , 중국 , 법제>관청
-
황간(黃幹)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간(黃澗) - 유자(柳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황간 현감(黃澗縣監)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냈음.
149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황간원(黃澗院) - 송계서원(松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황간(黃澗)에 건립한 서원. 1664년(현종 5)경에 창건되었으며, 조위(曺偉)ㆍ박영(朴英)ㆍ김시창(金始昌)ㆍ박응훈(朴應勳)ㆍ남지언(南知言)ㆍ박유동(朴惟東) 등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에 속함.
166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황간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황강(黃岡)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황강(黃江)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황강노수(黃江老叟)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황경(黃經)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경명(黃景明)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경문(黃景文)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황경미(黃景美) - 황진(黃璡)@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선조를 잘 공궤(供饋)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계되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진병(進兵)ㆍ철병(撤兵) 등을 요청함.
1542~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황고산(黃孤山)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황고양(黃高陽) - 황혁(黃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黃廷彧)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 이이첨(李爾瞻)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관(黃冠)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관도사(黃冠道士) - 하지장(賀知章)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시인ㆍ문신.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문사(文辭)에 능하고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썼음.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李白)과 친하게 지냈으며, 만년에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
659~74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광자(黃狂子)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교(黃嬌)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황구(黃九)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구(黃寇) - 황소(黃巢)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 농민반란군의 영수. 조주(曹州) 원구(冤句) 사람으로 농민반란군의 영수였던 왕선지(王仙芝)의 뒤를 계승하여 한때 당 나라의 수도인 장안(長安)을 점령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관군의 반격으로 자살함.
?~884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황극(皇極)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극내편(皇極內篇) -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채침(蔡沈)이 지은 철학서(哲學書). 《주역(周易)》의 음양 이진법(陰陽二進法)에 대비되는 삼재 삼진법(三才三進法)으로 우주(宇宙)와 인사(人事)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극내편보해(皇極內篇補解) -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李純)이 채침(蔡沈)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을 주해(註解)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황극서(皇極書)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극외편(皇極外篇)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 소옹(邵雍)이 저술한 철학서(哲學書). 12권. 역리(易理)를 응용하여 수리(數理)로써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금계(黃錦溪)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금계집(黃錦溪集) - 금계집(錦溪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황준량(黃俊良)의 문집. 손여성(孫汝誠)이 단양 군수(丹陽郡守)에 있을 때 저자의 동생 황수량(黃秀良)과 함께 유집을 수습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황길재(黃吉哉)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녕(黃寧)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대선(黃大仙)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도(皇都)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황돈(篁墩)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돈정씨(篁墩程氏)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동(黃董) - 황치신(黃致身)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황희(黃喜)의 아들.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름. 형조 정랑(刑曹正郞)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
1397~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둔노자(黃芚老子)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황둔사(黃芚寺) - 화엄사(華嚴寺)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인도(印度)의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전하는 사찰. 전라남도 구례(求禮) 방면 지리산(智異山) 노고단(老姑壇) 서쪽에 세웠다고 함.
544 한국>신라 , 전라도>구례 , 유적>건물>사찰
-
황락거사(黃落居士)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황려(黃驪)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황려강(黃驪江)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황려민씨(黃驪閔氏) - 여흥민씨(驪興閔氏)
고려 때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낸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황려이씨(黃麗李氏)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황려지(黃驪志) - 여주지(驪州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윤흔(尹昕)이 편찬한 경기도 여주(驪州) 지방의 읍지(邑誌). 신흠(申欽)이 쓴 발문(跋文)이 《상촌집(象村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황령암(黃嶺庵) - 보문암(普門庵)
지리산(智異山)의 전라도 쪽에 속하는 만복대(萬福臺) 북쪽에 있던 암자.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유적>건물>사찰
-
황룡(黃龍) - 용강(龍岡)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황룡산성(黃龍山城)ㆍ기자전(箕子殿)ㆍ오산서원(鰲山書院) 등이 있음.
평안도>용강 , 지명>행정지명
-
황루(黃樓) - 황학루(黃鶴樓)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때 호북성(湖北省) 무창현(武昌縣) 서쪽 황곡산(黃鵠山)에 세운 누각 이름. 강남(江南) 삼대 명루(三大名樓)의 하나.
22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황리(黃利)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황리(黃鸝)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
-
황매(黃梅) - 홍인(弘忍)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第五祖)로, 도신(道信)을 따라 출가하여 대사(大師)가 된 후 동산법문(東山法門)을 창시함. 신수(神秀)ㆍ혜능(慧能)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크게 선풍(禪風)을 선양함.
601~67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황매선사(黃梅禪師) - 홍인(弘忍)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第五祖)로, 도신(道信)을 따라 출가하여 대사(大師)가 된 후 동산법문(東山法門)을 창시함. 신수(神秀)ㆍ혜능(慧能)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크게 선풍(禪風)을 선양함.
601~67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황면재(黃勉齋)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면재선생집(黃勉齋先生集) - 면재집(勉齋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집. 주희(朱熹)의 제자이자 사위인 황간의 시ㆍ잡문ㆍ강의경설(講義經說) 등이 담겨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명명신록(皇明名臣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명명신언행록(皇明名臣言行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무(黃武)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황무부수(黃武副守) - 이침(李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증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황벽(黃蘗) - 희운(希運)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백장선사(百丈禪師) 회해(懷海)의 지도를 받고 현지(玄旨)에 통달함. 희운의 법어(法語)를 비휴(斐休)가 집대성하여 《황벽산단제선사 전심법요(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로 남김.
?~850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황보정(皇甫靜) - 황보밀(皇甫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특히 침구학(鍼灸學)에 심취하여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등을 저술함.
215~28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봉(黃封)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부(黃夫) - 안황부(安黃夫)
조선 전기의 문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황사숙(黃思叔)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황사우(黃士佑) - 황사우(黃士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친척인 김안로(金安老)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황사효(黃士孝) - 황사효(黃事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손자.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음. 부랑무상(浮浪無常)한 행동이 많아 방백의 체통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황산강(黃山江)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황산비(荒山碑) -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세운 비석. 이성계(李成桂)ㆍ이지란(李之蘭) 장군이 1380년(고려 우왕 6)에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왜적 아기발도(阿只拔都) 군대를 물리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 김귀영(金貴榮)이 짓고 송인(宋寅)이 썼으며, 남응운(南應雲)이 각자(刻字)함.
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기타유적
-
황산사(黃山祠) - 죽림서원(竹林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여산(礪山)에 건립한 서원. 1626년(인조 4) 황산사(黃山祠)로 창건되어 1665년(현종 6)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김장생(金長生)ㆍ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남도 논산(論山)에 속함.
162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황산서원(黃山書院) - 죽림서원(竹林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여산(礪山)에 건립한 서원. 1626년(인조 4) 황산사(黃山祠)로 창건되어 1665년(현종 6)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김장생(金長生)ㆍ조광조(趙光祖)ㆍ이황(李滉)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남도 논산(論山)에 속함.
162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황산진(黃山津)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황산하(黃山河) - 낙동강(洛東江)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의 중앙 저지대를 남류(南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상도>김해ㅣ강원도>삼척 , 지명>자연지명
-
황상(黃裳) - 유황상(劉黃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원외랑(兵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로 참전하여 송응창(宋應昌)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였음.
1529~159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상(黃裳)@두황상 - 두황상(杜黃裳)
중국 당(唐) 숙종(肅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태상경(太常卿)ㆍ문하시랑(門下侍郎)ㆍ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배도(裵度)와 함께 어질고 강직한 신하로서 군주를 충직하게 보좌한 인물로 비유됨.
739~80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선(黃仙)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송간(黃松澗)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황수량(黃遂良) - 황수량(黃秀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아우. 황준량 사후(死後)에 유집(遺集)을 수습하여 퇴계(退溪)에게 편차(編次)를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황수로(黃壽老)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황시망(黃時望) - 황집중(黃執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창원(昌原). 1576년(선조 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경력(經歷)을 지냄. 묵포도(墨葡萄)를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불림.
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황씨일초(黃氏日抄) - 일초(日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황진(黃震)의 저서. 도교(道敎)와 불교(佛敎)를 배척하고, 주자학(朱子學)의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황악산인(黃岳山人) - 학조(學祖)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승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해인사(海印寺)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창하였으며, 대장경(大藏經)을 간인(刊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황알출(晃斡出)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