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황암(篁巖)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황암(篁巖)@김진하 - 김진하(金鎭河)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김기중(金基中)의 아들로, 삼사(三司)의 청직(淸職)을 두루 거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86~18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황양(荒壤) - 이수린(李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황양(黃羊) - 기해(祈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그의 공평한 천거(薦擧)를 칭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황양정(荒壤正) - 이수린(李壽麟)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황여충(黃汝忠)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연(晃然)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황와(皇媧)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율류(黃栗留)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
-
황자계(黃慈溪) - 황진(黃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과 이종(理宗)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 저서에 《고금기요(古今紀要)》ㆍ《일초(日抄)》등이 있음.
1213~12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자횡(皇子竑)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황작(黃雀)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
-
황장계(黃長溪)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황재(黃齋)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황정(黃庭)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정내외편(黃庭內外篇)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정사(黃正使) - 황홍헌(黃洪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82년(선조 15) 왕경민(王敬民)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詔書)를 반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제(黃帝)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제갑을경(黃帝甲乙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제삼부침경(黃帝三部針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제삼부침구경(黃帝三部針灸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황제헌원(黃帝軒轅)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조(黃鳥)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
-
황조명신편록(皇朝名臣編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황주소(黃州蘇)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황주최씨(黃州崔氏) - 개성최씨(開城崔氏)
통일신라 말에 대상(大相)을 지낸 최우달(崔佑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본래 황주(黃州)를 본관으로 했으나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개국한 후 개성(開城)으로 관향을 고쳐 하사함.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성씨
-
황중(黃中)@김시찬 - 김시찬(金是瓚)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성균생원 김성익(金聖翼)의 아들. 학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奉事)ㆍ직장(直長)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
1754~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황중거(黃仲擧)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중문(黃仲文)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황지천(黃芝川)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황직경(黃直卿)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황진(黃眞) - 황진이(黃眞伊)
조선 종종(中宗) 때의 기생. 한시(漢詩)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며, 서경덕(徐敬德)ㆍ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술인>기생
-
황천사(黃天使) - 황홍헌(黃洪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82년(선조 15) 왕경민(王敬民)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詔書)를 반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황초기(皇初起) - 황초기(黃初起)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유학. 금화산(金華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는 황초평(黃初平)의 형.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황초평(皇初平)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황춘백(黃春伯)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치(黃雉)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황태수(黃台叟)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황포(黃浦) - 거제(巨濟)
경상남도 남단(南端)에 섬으로 이루어진 고을 이름. 제주도(濟州島)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대마도(對馬島)와 가까워 왜구(倭寇)의 출몰이 잦았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황피(黃陂) - 황헌(黃憲)@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한 시대의 추숭을 받았고,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사(京師)에 이르렀으나 벼슬하지 않아 징군(徵君)이라 일컬어졌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황하강(黃河江)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황하수(黃河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황해(黃海) - 이영창(李永昌)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ㆍ서화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고 서화(書畫)와 골동품 수집을 좋아하였으며, 시집(詩集)으로 《화향(畫響)》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황헌지(黃獻之) - 황필(黃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黃龜壽)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함.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황헐(黃歇) - 춘신군(春申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재상. 춘추전국시대 사군(四君)으로 불렸고 태자 완(完)과 함께 진(秦) 나라에 인질로 붙잡혔다가 탈출하였으며, 효열왕(孝列王)이 즉위하자 재상에 임명되어 20년간 정치를 보좌함.
?~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황협(黃悏) - 황협(黃挾)
조선시대의 문인. 본관은 창원(昌原). 경상도 칠원(漆原)에 있는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저서에 《독오집(獨悟集)》이 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문인
-
황호(荒胡) - 유은지(柳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세조(世祖)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된 유수(柳洙)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냄.
1370~144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황화화고(皇華和稿) - 황화집(皇華集)
조선시대에 명(明) 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遠接使)가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문집. 50권. 목판본. 1450년(세종 32)부터 1633년(인조 11)까지 개별적으로 간행했던 것을 영조(英祖)가 한 질(帙)로 모아 간행함. 양국 간의 외교ㆍ정치ㆍ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ㆍ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됨.
17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황회지(黃晦之) - 황혁(黃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黃廷彧)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 이이첨(李爾瞻)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황효(黃驍)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황후기씨(皇后奇氏) - 기황후(奇皇后)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皇后). 본관은 행주(幸州). 고려인 기자오(奇子敖)의 딸로, 북원(北元) 소종(昭宗)의 생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왕실>왕비
-
황후양씨(皇后楊氏)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회(回)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회(恢) - 제갈회(諸葛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조정에서 재상인 왕도(王導)와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공을 세워 여러 번 시중(侍中)에 오름.
265~32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恢)@남회 - 남회(南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남효의(南孝義)의 부친이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회(懷)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회(晦) - 정회(鄭晦)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낸 정두경(鄭斗卿)의 아버지로,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냄.
?~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회(會) - 문종(文種)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월왕(越王) 구천(句踐)의 대부(大夫).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평정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회(檜)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회(淮) - 금회(琴淮)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창신교위(彰信校尉)를 지낸 금용화(琴用和)의 아들로, 은진 현감(恩津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회(淮)@허회 - 허회(許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변(許汴)의 아우이며, 허직(許稷)의 아버지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회(淮)@윤회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회(淮)@김회 - 김회(金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효로(金孝盧)의 아버지로 음성현감(陰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회(淮)@유회 - 유회(柳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양(興陽). 유서량(柳恕良)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과는 죽마지우(竹馬之友) 사이.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회(澮) - 심회(沈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폐비윤씨(廢妃尹氏)의 폐출 사건에 연루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함.
1418~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誨) - 임회(林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임억령(林億齡)ㆍ백광훈(白光勳)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회^삼(回^參) - 안^증(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안회(顔回)와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회가(晦可)@송명흠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가(晦可) - 권현(權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권진(權縉)의 아버지로, 《미수기언(眉叟記言)》에 묘지명이 전함.
1554~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회간(懷簡)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회간(懷簡)@담양군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회간국비(懷簡國妃)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회간왕(懷簡王)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회강(會綱) - 동사회강(東史會綱)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임상덕(林象德)이 편찬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 27권 10책. 목활자본.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회경(懷敬) - 왕진(王珒)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손자. 신종의 둘째 아들 양양공(襄陽公) 왕서(王恕)의 큰아들로, 약관의 나이에 요절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경(晦卿) - 유세장(柳世章)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柳禧)의 아들이며 유세창(柳世彰)의 형으로, 1676년(숙종 2) 무과(武科)에 급제함.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庶人)으로 지낼 때 쌀을 보낸 사실이 죽은 뒤에 알려짐.
1651~170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회계(回溪)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계(會稽) - 월주(越州)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 현재는 소흥(紹興)으로 불림. 항주만(杭州灣) 남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명승지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요(陶窯) 지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회계(淮季) - 강회계(姜淮季)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본관은 진주(晉州)로, 찬성사(贊成事) 강시(姜蓍)의 아들. 공양왕의 셋째 딸 경화궁주(敬和宮主)와 혼인하였으며,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시학(侍學)을 지냄. 공양왕이 폐위되자 개경(開京)의 회보문(會寶門) 밖에서 참수됨.
1364~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회계왕(會稽王)@효무제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계왕(會稽王)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곡(晦谷)@신유 - 신유(申愈)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음.
1673~170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잠ㅣ충청도>예산 , 인명>문사>학자
-
회곡(晦谷)@권춘란 - 권춘란(權春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사간(司諫) 등을 지냈으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벗삼아 유유자적함.
1539~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회곡(晦谷)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곡(晦谷)@조한영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곡(檜谷)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곡거사(檜谷居士)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회골(回鶻)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회공(懷公)@유형 - 유형(劉衡)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임준공(臨淮公)으로 봉해졌는데, 관작에 나아가지 못하고 죽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회남(淮南) - 오(吳)@오대십국
중국 오대십국의 하나. 902~937년간 존속함. 당(唐) 나라 말기에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를 지낸 양행밀(楊行密)이 건국하였으나, 36년만에 왕족간의 제위 다툼 끝에 멸망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시간>국명
-
회남왕(淮南王) - 유안(劉安)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고조(高祖)의 손자. 빈객들과 함께 도가(道家)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 《회남자(淮南子)》를 저술하여 당시 유교(儒敎)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 무제(武帝) 때 반역을 기도했다가 실패한 뒤 자살함.
B.C.179~B.C.1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회남왕(淮南王)@유장 - 유장(劉長)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아들. 한(漢) 문제(文帝) 때에 모반(謀反)한 일이 발각되어 촉군(蜀郡)에 유배되었는데 스스로 굶어 죽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회남홍렬(淮南鴻烈) - 회남자(淮南子)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인 유안(劉安)과 그의 빈객(賓客)들의 저서. 도가(道家)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로, 당시의 유교(儒敎)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회답사(回答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회당(悔堂)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도(懷道)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회도로(回道老)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회령(懷寧)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회령왕(懷寧王)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