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회례관(回禮官)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회례사(回禮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회록(懷麓)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회릉(懷陵)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회릉(懷陵)@원혜왕후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회릉(懷陵)@충제 - 충제(冲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8대 황제. 재위 144~145년. 순제(順帝)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우귀인(虞貴人). 두 살 때 즉위하여 순제의 황후인 양씨(梁氏)가 섭정하고, 조준(趙峻)과 이고(李固) 등이 정사를 보좌했지만 양씨 외척들이 득세하여 정권을 전횡함.
143~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림(懷林) - 이회림(李懷林)
조선 태조(太祖)~문종(文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의 아버지.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했으며, 좌의정(左議政)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追贈)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회맹(會孟) - 유진옹(劉辰翁)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시인. 저서로는 《수계집(須溪集)》이 있으며, 《세설신어(世說新語)》에 평점을 찍어 소설 평점의 효시를 이루었음.
1232~12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회묘(懷墓)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회문(晦文) - 유회문(柳晦文)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간(大司諫) 유치명(柳致明)의 아버지이며, 유도원(柳道源)ㆍ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평생 경학을 연구하고 심성을 수양함.
1758~18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회문(繪文) - 정회문(鄭繪文)
신라 때의 향리. 동래정씨(東萊鄭氏)의 시조로, 안일 호장(安逸戶長)을 지냄.
한국>신라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아전
-
회민(懷愍)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백(悔百)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백(晦伯) - 김명윤(金明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극핍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149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회백(晦伯)@유약 - 유약(劉爚)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백(淮伯) - 강회백(姜淮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를 지냄.
1357~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회보(晦夫)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보(晦甫)@조광원 - 조광원(曺光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조계상(曺繼商)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曺參議)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492~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회보(晦甫)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보(晦甫)@유찬 - 유찬(柳燦)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유중광(柳重光)의 아들로,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大北派)가 일으킨 해주옥사(海州獄事)에 연루되어 장인인 최기(崔沂)와 함께 옥사(獄死)함.
1569~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회봉유고(晦峯遺槁) - 회봉집(晦峯集)
한말의 성리학자인 안규용(安圭容)의 문집. 10권 5책. 연활자본. 전라도 보성(寶城)의 죽곡정사(竹谷精舍)에서 간행함.
1963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회봉처사(晦峯處士) - 안규용(安圭容)
한말의 성리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의 문인으로, 죽곡정사(竹谷精舍)를 짓고 강학하면서 성리서(性理書)를 집필하였으며,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 삼간(三刊) 때 발문(跋文)을 지음.
1873~1959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
-
회부(晦夫) - 수도군(守道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으로, 관직을 삭존(削尊)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領宗正卿)의 벼슬과 군(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회사(恢師) - 홍산(弘山)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홍산회사권(書弘山恢師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회사(懷沙)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회사자(懷沙子)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회산(檜山) - 정환(丁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산 감역관(四山監役官)을 지낸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형조 좌랑(刑曹佐郞)ㆍ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지내고,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497~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회산군(檜山君)@황상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회산군(檜山君)@황석기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회산부원군(檜山府院君) - 황석기(黃石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창(義昌). 조적(曺頔)과 기철(奇轍)의 무리를 제거할 때 공을 세웠으며,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역임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회산서원(晦山書院) - 용암서원(龍巖書院)@삼가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삼가(三嘉)에 건립된 서원. 1603년(선조 36)에 창건되고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曺植)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합천(陜川)에 속함.
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유적>건물>서원,향교
-
회산황씨(檜山黃氏) - 창원황씨(昌原黃氏)
고려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낸 황석기(黃石奇), 시중(侍中)을 지낸 황충준(黃忠俊), 호장(戶長)을 지낸 황양충(黃亮沖)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집단>성씨
-
회삼(懷參) - 민회삼(閔懷參)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부(姑夫)인 송현수(宋玹壽)가 권완(權完)과 모반하였다는 무고를 받자 이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좌천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회상(懷殤)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회상수(淮上守) - 장순(張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수양 태수(睢陽太守) 허원(許遠), 부하인 남제운(南霽雲), 뇌만춘(雷萬春) 등과 함께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전사함. 양주 대도독(揚州大都督)에 추증됨.
708~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회석(晦錫) - 송회석(宋晦錫)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손자이자 송무원(宋婺源)의 아버지. 《송자대전(宋子大全)》에 송시열이 지은 〈제오손회석묘표(第五孫晦錫墓表)〉가 실려 있음.
1658~16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회선(回仙)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회성군(檜城君)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회성부원군(檜城府院君) - 황상(黃裳)@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의창(義昌)으로, 회산군(檜山君) 황석기(黃石奇)의 아들. 장사성(張士誠) 토벌과 기철(奇轍)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회수(淮壽) - 이회수(李淮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영의정 이탁(李鐸)의 아들이자 약포(藥圃) 이해수(李海壽)의 동생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김시환 - 김시환(金始煥)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김상성(金尙星)의 아버지.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661~173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오익 - 오익(吳翌)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오봉(五峯) 호굉(胡宏)의 문인(門人). 남헌(南軒) 장식(張栻) 등과 교유하였고, 주희(朱熹)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숙(晦叔)@이휘 - 이휘(李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덕응(李德應)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왕염 - 왕염(王炎)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군기소감(軍器少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능통하여 예기(禮記)ㆍ사서(四書) 등을 주석함. 저서에 《쌍계집(雙溪集)》이 있음.
1137~121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김계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회숙(晦叔)@한명윤 - 한명윤(韓明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568년(선조 1)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합격하고 추천에 의해 영동 현감(永同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영동에서 송방조(宋邦祚)와 의병을 모아 대항하고,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하다 전사함.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숙(會叔)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숙(淮叔) - 강회숙(姜淮叔)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넷째 아들로, 제위장군(諸衛將軍)ㆍ함안 군사(咸安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회순(淮順) - 강회순(姜淮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셋째 아들로, 사재 소감(司宰少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회신(懷愼) - 노회신(盧懷愼)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재상. 검소하고 근면했으나 재상으로서의 능력이 부족해 사람들로부터 반식재상(伴食宰相)이라 불렸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아(懷雅) - 정회아(鄭懷雅)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성균생원(成均生員) 정제안(鄭齊安)의 아들이며, 부윤(府尹) 이언(李堰)의 사위. 세조 즉위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광주 판관(光州判官) 등을 지냄.
1428~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안(淮安) - 광주(廣州)
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
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회안공(淮安公) - 왕정(王侹)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영인후(寧仁侯) 왕진(王稹)의 아들. 고려를 침략해 개성을 포위하던 몽고 장군 살례탑(撒禮塔)을 찾아가 화의를 맺고 물러가게 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안공(淮安公)@왕필 - 왕필(王佖)
고려 후기의 종친. 이규보(二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시흥백필위회안공(始興伯佖爲淮安公)〉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안군(懷安君) - 회안대군(懷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실패하여 토산(兎山)에 유배됨.
1364~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회안군(淮安君) - 왕순(王珣)@고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맏아들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사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안대군(淮安大君) - 왕순(王珣)@고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맏아들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사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안부원군(淮安府院君) - 왕순(王珣)@고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맏아들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사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회안부정(淮安副正) - 이식(李軾)@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로, 동생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과 함께 아버지 부림군의 문집인 《사우정집(四雨亭集)》을 초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회안정(淮安正) - 이식(李軾)@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로, 동생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과 함께 아버지 부림군의 문집인 《사우정집(四雨亭集)》을 초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회안후(懷安侯)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암(懷庵) - 박지흥(朴智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눌재(訥齋) 박상(朴祥)과 육봉(六峯) 박우(朴祐)의 아버지로, 세조(世祖)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은거함.
14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회암(晦庵)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암(晦菴)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암대전(晦菴大全)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부자(晦菴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암서절목(晦菴書節目)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회암서절요(晦菴書節要)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회암선생주문공문집(晦庵先生朱文公文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어록(晦菴語錄) - 주자어록(朱子語錄)
중국 송(南)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도전(李道傳)이 주희(朱熹)와 문답한 문하생 33명의 대화 기록을 모아 엮은 책. 45권. 1215년에 지주(池州)에서 간행하였으며, 황간(黃榦)이 서문(序文)을 씀.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장자(晦庵長子) - 주숙(朱塾)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희(朱熹)의 아들로, 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배웠는데 일찍 죽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회암집(晦菴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양수(淮陽守) - 이선손(李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曺參判) 권주(權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회양왕(淮陽王)@유여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회양왕(淮陽王)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연(晦然)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회영(懷英)@곽회영 - 곽회영(郭懷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곽열(郭說)의 아버지로, 봉사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회영(懷英)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옹(回翁)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회옹(晦翁)@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옹(晦翁)@이소 - 이소(李昭)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건주위(建州衛)를 공격하였으며, 동여진(東女眞)을 정벌함.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를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회옹(晦翁)@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옹(晦翁)@박소 - 박소(朴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안음 현감(安陰縣監)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회옹(晦翁) - 김연(金㬫)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대서(代書)한 시(詩)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회옹부자(晦翁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왕(懷王)@의제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원(懷遠) - 나유(羅裕)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이 제주(濟州)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 합단(哈丹)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회원(晦元)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회원(晦遠) - 윤근(尹根)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윤희길(尹希吉)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모함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음.
157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회원(會元) - 양산숙(梁山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제주(濟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경전공부에 전심하여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병학(兵學)에 통달함.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다가 진주성(晉州城)에서 순절함.
1561~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회원군(會原君)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회원대장군(懷遠大將軍) - 나유(羅裕)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이 제주(濟州)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 합단(哈丹)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회원부원군(檜原府院君)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회월옹(懷月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윤(懷允) - 김회윤(金懷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직손(金直孫)의 아버지.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회은(晦隱) - 남학명(南鶴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아들. 음보(蔭補)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수락산(水洛山)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함.
1654~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회음(淮陰) - 한신(韓信)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진희(陳豨)의 난(亂)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斬殺)당함.
?~B.C.19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회음후(淮陰侯) - 한신(韓信)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진희(陳豨)의 난(亂)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斬殺)당함.
?~B.C.19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회의도정(懷義都正) - 이추(李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장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