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회인군(懷仁君) - 왕정(王楨)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 때의 종친.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에 낳은 아들이며, 서방(西方) 오랑캐인 적제(狄鞮)의 말을 잘하여 석위(席衛)의 행차에 참석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회일(會一) - 김치만(金致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李縕)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 시직(侍稷)을 역임함.
1697~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일(會一)@기우만 - 기우만(奇宇萬)
근대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행주(幸州). 기정진(奇正鎭)의 손자로 가학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1895년 이후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저항함.
1846~1927 한국>근대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
-
회잔어(會殘魚) - 백어(白魚)
뱅어.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백어(白魚),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빙어(氷魚)로 표기됨.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白魚)라고 하였음.
자연물>동물
-
회재(懷齋)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회재(晦齋) - 완림남진(阮琳南珍)
베트남 완(阮) 왕가의 문신. 사신(使臣)으로 명(明) 나라에 와 통주(通州)에 있는 역루(驛樓)에 시를 남김.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회재(晦齋)@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재(晦齋)@윤개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회재문집(晦齋文集) - 회재집(晦齋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시문집. 13권 5책. 목판본. 이황(李滉)이 행장(行狀)을 지어 붙인 정고본(定稿本)을 손자 이준(李浚)이 주관하여 간행함.
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회재옹(晦齋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재유고집(晦齋遺稿集) - 회재집(晦齋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시문집. 13권 5책. 목판본. 이황(李滉)이 행장(行狀)을 지어 붙인 정고본(定稿本)을 손자 이준(李浚)이 주관하여 간행함.
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회재전집(晦齋全集) - 회재집(晦齋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시문집. 13권 5책. 목판본. 이황(李滉)이 행장(行狀)을 지어 붙인 정고본(定稿本)을 손자 이준(李浚)이 주관하여 간행함.
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회전(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회정(懷貞) - 두회정(竇懷貞)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宰相). 고종(高宗)의 딸인 태평공주(太平公主)와 더불어 당시 태자인 현종(玄宗)의 폐립(廢立)을 모의하였으나 일이 발각되자 자살함.
?~7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정(檜亭) - 권보(權堡)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과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내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에 추증됨.
?~14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회정(檜亭)@김자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회정당(晦靜堂) - 김육(金堉)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대동법(大同法) 실시, 수차(水車)ㆍ수레 사용,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80~165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조(懷祖)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회종(會宗) - 윤회종(尹會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우로, 형조 총랑((刑曹摠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변정도감사(辨正都監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회중(晦仲)@유세창 - 유세창(柳世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희(柳禧)의 아들. 이정(李楨)의 서재(書齋)인 대관대(大觀臺)를 중수하고 지은 상량문(上樑文)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1657~17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회중(晦仲) - 박세준(朴世𤎱)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오랫동안 대간(臺諫)을 지냈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김수항(金壽恒)의 신원을 요청함. 선조(宣祖) 때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낸 박응인(朴應寅)의 증손.
1634~170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회중(淮仲)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회지(晦之)@나덕현 - 나덕현(羅德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감. 효심이 지극하여 인조 때 정려(旌閭)하고 사옹원 참봉(司甕院參奉)을 추증함.
1565~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회지(晦之)@황혁 - 황혁(黃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黃廷彧)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 이이첨(李爾瞻)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회지(晦之)@정해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회지(晦之) - 권단(權㫜)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승려. 한림학사 권위(權韙)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로 치사(致仕)하고 선흥사(禪興寺)에 들어가 승려가 됨.
1228~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관인>문신
-
회지(會之)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진기(會眞記) - 앵앵전(鶯鶯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원진(元稹)이 지은 전기 소설(傳奇小說). 1권. 재상의 딸 최앵앵(崔鸎鸎)과 백면서생 장서(張瑞)와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원(元) 나라 때의 잡극(雜劇)인 《서상기(西廂記)》의 소재가 됨.
800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회창폐불(會昌廢佛) - 회창법난(會昌法難)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 때 일어난 불교 탄압 사건. 무종이 재상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도사(道師) 조귀진(趙歸眞)의 의견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시작되었는데, 수(隋)ㆍ당(唐) 대 번영했던 불교에 심각한 타격을 입힘.
845 중국>당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회천위(懷川尉) - 황유(黃裕)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본관은 회덕(懷德). 판사(判事) 황자후(黃子厚)의 아들로,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淑安翁主)와 혼인함.
1421~14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왕실>인척
-
회해(淮海)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회해거사(淮海居士)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회헌(晦軒)@신제 - 신제(申梯)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신자교(申子橋)의 아버지로, 지평 현감(砥平縣監) 등을 지냄.
1393~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회헌(晦軒) - 박종원(朴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율(殷栗). 우찬성(右贊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관인>문신
-
회헌(晦軒)@임대동 - 임대동(林大仝)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나아가 배움. 1474년(성종 5) 생원이 되고,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회헌(晦軒)@안향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현(懷賢) - 민회현(閔懷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현량과(賢良科)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방(罷榜)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472~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획린경(獲麟經)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횡(宖) - 윤횡(尹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의신(尹宜臣)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56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횡(竑) - 이횡(李竑)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 부윤(鷄林府尹) 이달충(李達衷)의 넷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횡(鐄) - 성횡(成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통(學統)을 계승하고 수양(修養)에 힘씀.
158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횡강(橫江) - 용흥강(龍興江)
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함경도>영흥 , 지명>자연지명
-
횡거(橫渠)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횡림자(橫林子)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횡산(橫山) - 서애(徐愛)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수인(王守仁)의 매부(妹夫)로, 남경공부낭중(南京工部郞中) 등을 지내고, 《전습록(傳習錄)》을 편찬함.
1487~151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횡포거사(橫浦居士)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횡한(橫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효간(孝簡)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효간(孝簡)@임훈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효간(孝諫) - 기효간(奇孝諫)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항(李恒)의 문인(門人). 학문과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렸음.
1530~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효강(孝剛) - 이종성(李宗城)@조선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朋黨)의 폐를 논하고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저서로 《오천집(梧川集)》이 있음.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효강(孝康)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강(孝綱) - 이효강(李孝綱)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간성(杆城). 참봉(參奉) 이장(李萇)의 아버지로,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무신
-
효건(孝騫)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효겸(孝謙) - 심효겸(沈孝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15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경(孝卿) - 왕봉(王鳳)
중국 전한(前漢)의 외척. 원제(元帝)의 비인 왕황후(王皇后)의 동생이며, 성제(成帝)의 외삼촌으로,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
?~B.C.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효경숙성장순(孝敬淑聖莊純)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경제(孝景帝) - 경제(景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 재위 B.C.157~B.C.141.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반란을 진압하고, 중앙집권제를 확립함.
B.C.188~B.C.1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곤(孝昆) - 정경조(鄭敬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효공(孝恭)@황효공 - 황효공(黃孝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냈으나, 탄핵을 받고 영천(榮川)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 특히 도상학(圖象學)과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과 《주역》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공(孝恭)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효공(孝恭)@이효공 - 이효공(李孝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지낸 이길보(李吉甫)와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이우보(李祐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유학
-
효관(孝盥)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관(效寬) - 성효관(成效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성이문(成以文)의 아버지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효근(孝謹) - 기효근(奇孝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남해 현령(南海縣令)으로 전함ㆍ무기를 수리하고, 원균(元均)을 따라 사천(泗川)에서 싸워 공을 세움.
1542~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효근(孝謹)@손효근 - 손효근(孫孝謹)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생원 손린(孫璘)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효남(孝男) - 박효남(朴孝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장단 부사(長湍府使) 박옹(朴顒)의 아들로, 지방관으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공덕비가 세워짐.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효니(孝尼) - 원준(袁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정치에 관한 저서가 10여만 자(字)에 이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효덕(孝德) - 유자훈(劉子勛)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 효무제가 죽은 후 하매(何邁)의 옹립을 받았으나 전폐제(前廢帝)의 방해로 실패함. 명제(明帝) 때 등완(鄧琬) 등이 거병하여 황제로 옹립하였으나, 싸움에 패한 뒤 심양(尋陽)에서 피살됨.
456~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효독(孝篤) - 이효독(李孝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할머니가 종환(腫患)으로 고생할 때 먼저 지렁이 즙을 맛볼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역임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량(孝良)@김효량 - 김효량(金孝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의 장인으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효량(孝良)@우선언 - 우선언(禹善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노자(老子)ㆍ장자(莊子)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淸談派)의 한 사람으로, 자신을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효량(孝良)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효렴(孝廉) - 원효렴(元孝廉)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아들이자 원숙강(元叔康)의 아버지. 1451년(문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효렴재(孝廉齋) - 이경주(李擎柱)
조선 전기의 문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효령(孝寧)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효령군(孝寧君)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효례(孝禮) - 김효례(金孝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풍(淸風).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김길통(金吉通)의 아버지.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유학
-
효로(孝盧) - 김효로(金孝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김회(金淮)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효릉(孝陵)@태조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릉(孝陵)@인종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릉(孝陵)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맹(孝孟) - 기효맹(奇孝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정유재란 때에 형 기효민(奇孝閔)과 함께 왜적을 만나 죽음.
157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효명(孝明)@익종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명(孝明)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명세자(孝明世子)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명황제(孝明皇帝)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목(孝穆) - 인예태후(仁睿太后)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연(李子淵)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세 자매 모두 문종의 비가 됨.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 등 10남 2녀를 둠.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효묘(孝廟)@효종(송)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묘(孝廟)@효종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묘(孝廟)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효무(孝武)@효무제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무(孝武)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무제(孝武帝)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孝文)@이관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효문(孝文)@문제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孝文) - 단목례(端木禮)
조선 태종(太宗) 원년(元年)에 온 명(明) 혜제(惠帝)의 사신(使臣). 고명(誥命)과 금인(金印)을 전함.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공(子貢) 단목사(端木賜)의 후예(後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문(孝文)@이효문 - 이효문(李孝文)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때의 문신.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이행(李荇)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효문(孝文)@월산대군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효문(孝文)@강효문 - 강효문(康孝文)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무신.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가 되어 진관(鎭管)을 순시하던 중,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