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효문(孝門) - 조효문(曺孝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참판 조혼(曺渾)의 아들. 세조의 즉위 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악학도감 제조(樂學都監提調)를 겸하면서 악률(樂律)을 개정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문제(孝文帝)@문제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황제(孝文皇帝)@성조 - 성조(成祖)
중국 명(明)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1402~1424.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넷째 아들로, 조카인 혜제(惠帝))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김.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遠征)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대내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국가이념으로 삼음.
1360~142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황제(孝文皇帝)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문후(孝文后)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효민(孝愍)@인성군 - 인성군(仁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일곱째 서자. 광해군이 폐모(廢母)를 논의할 때 종척(宗戚)과 함께 참석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진도(珍島)에 유배되었다가, 1628년(인조 6) 대신과 백관의 주청으로 자살의 형을 받음.
1588~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효민(孝愍)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효민(孝愍)@이전 - 능창대군(綾昌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숙부인 신성군(信城君)에게 출계함. 1615(광해군 7)에 신경희(申景禧) 등이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는 소명국(蘇鳴國)의 무고로 강화도 교동(喬桐)에 안치(安置)되었다가 17세로 죽음.
1599~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효민(孝敏) - 김효민(金孝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교감(校勘) 김양전(金良琠)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김양경(金良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효민(孝閔)@이학정의아들 - 이효민(李孝閔)@이학정의아들
조선 후기의 종친. 서흥수(西興守) 이학정(李鶴貞)의 아들로, 위성령(渭城令)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민(孝閔) - 기효민(奇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둘째 아들로, 참봉 양홍도(梁弘度)의 딸과 혼인함.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적을 만나 죽음을 당하였고, 아내 양씨도 굽히지 않고 맞서다가 자결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효민(孝閔)@이성익의아버지 - 이효민(李孝閔)@이성익의아버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아들 이성익(李星益)과 이성세(李星洗)의 교육을 위해 전라도 태인(泰仁)을 떠나 서울로 이주함. 통덕랑(通德郞)에 이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민황제(孝愍皇帝)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백(孝伯)@왕공 - 왕공(王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안제(安帝) 때의 문신. 왕온(王蘊)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 등을 지냄. 성격이 검소하고 청렴하였으며,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눈 속을 걸어다니자 사람들이 신선에 비유하였다 함.
?~39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백(孝伯)@한증 - 한증(韓曾)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낸 한장손(韓長孫)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내고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효백(孝伯)@조종경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백(孝伯)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효백(孝伯)@권맹손 - 권맹손(權孟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변계량(卞季良)의 문인으로, 1408년(태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9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효백(孝伯)@이효백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효백(孝伯)@김봉조 - 김봉조(金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냈으며, 아우 김영조(金榮祖)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침.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백(孝白) - 성달생(成達生)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석용(成石瑢)의 아들. 조선 태종(太宗) 때 처음으로 실시된 무과에서 장원급제하고,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지냈으며, 문필(文筆)에도 능함.
1376~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효번(孝蕃) - 노효번(盧孝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시정(寺正)을 지낸 노경린(盧慶麟)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효보(孝甫) - 김사원(金嗣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내고, 사후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효부(孝夫)@성봉조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효부(孝夫)@정충석 - 정충석(鄭忠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좌찬성(左贊成) 정역(鄭易)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406~147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효부(孝夫) - 김윤종(金閏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 때에 통신사(通信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을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효부(孝孚) - 채침(蔡忱)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정평 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를 지낸 채석경(蔡碩卿)의 아들로, 곤양 군수(昆陽郡守)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중종의 원비(元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복위를 반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비(孝妃) - 효공왕후(孝恭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인 목조(穆祖)의 비. 본관은 평창(平昌). 이숙(李肅)의 딸로 태조 때 효비(孝妃)로 봉하고, 태종(太宗) 때 효공왕후(孝恭王后)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비
-
효빙(孝聘) - 윤효빙(尹孝聘)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尹繼)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효사(孝思)@안승종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효사(孝思) - 단목지(端木智)
조선 태종(太宗) 2년에 온 명(明) 나라의 사신(使臣). 진초(眞草)와 전예(篆隸)에 있어서 입신(入神)의 경지에 이르렀다 함. 단목례(端木禮)의 동생.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사(孝思)@우종손 - 우종손(禹從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경조윤(京兆尹) 우맹선(禹孟善)의 아버지로, 동래 현령(東萊縣令) 등을 지냄.
1457~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효사당(孝思堂)@송태 - 송태(宋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475~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효사당(孝思堂) - 노한(盧閈)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좌의정을 지낸 민제(閔霽)의 사위로, 태종(太宗)과 동서간. 처남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세종(世宗)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
1376~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효생(孝生) - 박효생(朴孝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박여헌(朴黎獻)의 아들.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을 복구하는 작업에 참가하고,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요청하는 정청(庭請)에 참여함.
15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효석(孝錫) - 김연조(金延祖)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5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왕증 - 왕증(王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거쳐 재상이 되었으나, 여이간(呂夷簡)과의 불화로 운주판관(鄆州判官)으로 전출됨. 저서로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이 있음.
978~103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진충 - 진충(陳忠)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상서(尙書)를 역임함. 진기(陳紀)와 함께 덕망이 높았던 진심(陳諶)의 아들.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이순증 - 이순증(李順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귀손(李龜孫)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김진종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변소 - 변소(邊韶)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유가(儒家)의 경전(經典)을 두루 통달하였으며, 훌륭한 문장으로 이름 높아 제자가 수백에 달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효선(孝先) - 갈현(葛玄)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도사. 정은(鄭隱)에게 《구정단경(九鼎丹經)》ㆍ《금액단경(金液丹經)》ㆍ《태청단경(太淸丹經)》등을 전수함.
164~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효선(孝先)@이광전 - 이광전(李光前)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동래 부사(東萊府使)를 지낸 이도남(李圖南)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요절함.
1517~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先)@한효선 - 한효선(韓孝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征東省員外)ㆍ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善)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선(孝宣)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선제(孝宣帝)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선황제(孝宣皇帝)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성(孝成) - 윤인경(尹仁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때 이조 판서로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억울하게 죄를 입은 사람을 서용하였고, 인종(仁宗) 때 영의정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됨.
1476~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성(孝誠)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효성(曉聖)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효성제(孝成帝)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성황제(孝成皇帝)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소(孝昭)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소(孝昭)@인성대군 - 인성대군(仁城大君)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맏아들.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어린 나이에 요절함.
1461~14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효소제(孝昭帝)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소태후(孝昭太后) - 구익부인(勾弋夫人)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소제(昭帝)의 어머니. 무제(武帝)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孝昭太后)에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효소황제(孝昭皇帝)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손(孝孫)@노효손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효손(孝孫)@윤효손 - 윤효손(尹孝孫)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조(世祖)와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실록(成宗實錄)》 등의 수찬에 참여하였으며,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31~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손(孝孫)@홍효손 - 홍효손(洪孝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부계(缶溪). 이조 판서(吏曹判書) 홍귀달(洪貴達)의 아버지로, 하관경(夏官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효손(孝孫) - 김효손(金孝孫)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 삼척 부사(三陟府使) 재임시 죽서루(竹西樓)를 중건함.
1373~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효손(孝孫)@정효손 - 정효손(鄭孝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일(延日).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정진(鄭鎭)의 아들이자 태종(太宗)의 사위인 정효전(鄭孝全)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문사>유학
-
효손(孝孫)@이효손 - 이효손(李孝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성 현령(金城縣令)을 지낸 이종윤(李從胤)의 아버지로, 사선 주부(司膳主簿) 등을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효수(孝修) - 박효수(朴孝修)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공거(同知貢擧)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내고, 윤혁(尹奕) 등과 교유함.
?~137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효숙(孝叔)@이유경 - 이유경(李有慶)@이해의증손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해(李蟹)의 증손으로, 나주(羅州)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효숙(孝叔)@이효숙 - 이효숙(李孝叔)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손자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차남. 학문을 좋아하여 제자백가 등을 섭렵했고, 무예에도 뛰어났음.
1440~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효숙(孝叔)@정숭조 - 정숭조(鄭崇祖)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벼슬에 올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거쳐 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에 진봉(進封)됨. 경사(經史)에 밝았음.
1442~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숙(孝叔) - 이희남(李希男)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장남인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손자.
1501~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숙(孝叔)@이우민 - 이우민(李友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큰형으로,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효숙(孝肅)@윤효숙 - 윤효숙(尹孝肅)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글씨에 능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효숙(孝肅) - 인선왕후(仁宣王后)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로, 병자호란 후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을 따라 심양(瀋陽)에 가서 8년을 머묾. 1649년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고, 현종(顯宗) 등 1남 6녀를 낳음.
1618~167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숙(孝肅)@포증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 - 헌정왕후(獻貞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차비(次妃). 종실 대종(戴宗)의 딸이며, 경종의 비인 헌애왕후(獻哀王后)의 친동생. 경종이 죽은 뒤 안종(安宗) 왕욱(王郁)과 가까이 하여 현종(顯宗)을 낳고 곧 죽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효순(孝純) - 남효순(南孝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냈음.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효순(孝順)@박효순 - 박효순(朴孝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 사예(司藝)를 지낸 박원겸(朴元謙)과 평사(評事)를 지낸 박원눌(朴元訥)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무신
-
효순(孝順)@이효순 - 이효순(李孝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손자이며 부안정(富安正) 이증(李增)의 막내아들로, 유직경(柳直卿) 등과 교유함.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효순(孝順) - 법왕(法王)
백제 제29대 국왕. 재위 599~600. 혜왕(惠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버지. 즉위 후 살생(殺生)을 금지하고 왕흥사(王興寺)를 짓는 등 불력(佛力)에 의지하여 국정을 운영함.
?~600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효순(孝順)@인성왕후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효술(孝述)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효식(效軾) - 소효식(蘇效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희(蘇禧)의 아들이며, 소자파(蘇自坡)의 아버지이자, 소세양(蘇世讓)의 조부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효신(孝伸)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효신(孝臣)@이효신 - 이효신(李孝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안군(延安君)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의 아버지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효신(孝臣) - 박효신(朴孝臣)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언부(朴彥孚)의 아들로, 문하시중 (門下侍中)과 도평의사(都評議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효안(孝安)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효안(孝安)@정효안 - 정효안(鄭孝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정랑(戶曹正郞) 정지산(鄭之産)의 생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효애제(孝哀帝) - 애제(哀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7~B.C.1.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
B.C.26~B.C.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애황제(孝哀皇帝) - 애제(哀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7~B.C.1.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
B.C.26~B.C.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효언(孝彦) - 이효언(李孝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충주 판관(忠州判官)을 지낸 이봉손(李奉孫)의 아들. 이조 정랑(吏曹正郞)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연(孝淵)@성효연 - 성효연(成孝淵)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 성찬(成瓚)ㆍ호조 좌랑(戶曹佐郞) 성완(成玩)의 아버지로, 사온 직장(司醞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효연(孝淵) - 구효연(具孝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구징(具徵)의 아들.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횡성 현감(橫城縣監)ㆍ장단 부사(長湍府使)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효연(孝淵)@조효연 - 조효연(曺孝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치우(曺致虞)의 아들이며 이우(李堣)의 문인.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했음.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묘갈명(墓碣銘)을 씀.
1486~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효연(孝然)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열(孝悅) - 민효열(閔孝悅)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외읍(外邑)의 공물을 대납한 일로 폐고불서(廢錮不敍)에 처해졌다가 서용(敍用)되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5~148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효열(孝烈)@강경서 - 강경서(姜景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節義)ㆍ효행(孝行) 등으로 명성이 높음.
1443~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효열(孝烈)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효온(孝溫)@고려 - 이효온(李孝溫)@고려
고려 후기의 호장. 본관은 여주(驪州).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 이교(李喬)의 아버지로, 호장군윤(戶長軍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아전
-
효온(孝溫)@조선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효온(孝溫)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효옹(孝翁) - 이희민(李希閔)@이윤검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으로 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당해 파직되었음.
1498~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