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효옹(效翁) - 이세칙(李世則)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이숙기(李叔琦)의 아들로, 1483(성종 14) 식년시(式年試)에 합격하였으며, 지조가 출중하고 시문에 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효왕(孝王) - 유홍(劉鴻)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질제(質帝)의 아버지. 유총(劉寵)의 아들로, 아버지의 관작을 이어 낙안왕(樂安王)이 되었다가, 아들이 황제가 되자 발해왕(渤海王)으로 봉해짐.
?~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효우(孝友)@김효우 - 김효우(金孝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김미손(金尾孫)의 아들이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지낸 김흠조(金欽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효우(孝友)@이종검 - 이종검(李宗儉)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아우 이종겸(李宗謙)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하여 이맹전(李孟專)ㆍ김시습(金時習)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효우(孝友) - 주인궤(朱仁軌)
중국 당(唐) 나라의 효자.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畝)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 주희(朱熹)의 〈무원다원주씨세보서(婺源茶院朱氏世譜序)〉에 의하면 금릉 주씨(金陵朱氏)의 시조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효우선생(孝友先生) - 주인궤(朱仁軌)
중국 당(唐) 나라의 효자.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畝)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 주희(朱熹)의 〈무원다원주씨세보서(婺源茶院朱氏世譜序)〉에 의하면 금릉 주씨(金陵朱氏)의 시조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효원(孝元) - 오희순(吳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아들 오결(吳潔)과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예빈시 직장(禮賓寺直長) 등을 지냄.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에 그에게 답한 편지가 실려 있음.
1538~162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희궁열(姬宮涅) - 유왕(幽王)
중국 주(周) 나라 제12대 왕. 포사(褒姒)를 총애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견융(犬戎)의 침공을 받아 여산(驪山)에서 살해됨.
?~B.C.77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귀(姬貴) - 경왕(景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24대 왕. 재위 B.C.544~B.C.521. 성은 희(姬)씨이고, 이름은 귀(貴). 왕자조(王子朝)의 아버지.
?~B.C.52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규(希奎)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희기(姬棄) - 후직(后稷)
중국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 성은 희(姬)이고 이름은 기(棄). 농경신(農耕神)으로, 제곡(帝嚳)의 아내가 된 강원(姜嫄)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 후에 요제(堯帝)의 농관(農官)이 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희길(希吉)@윤희길 - 윤희길(尹希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항(尹沆)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내고, 이이(李珥)ㆍ고경명(高敬命)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길(希吉)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남(喜男) - 신희남(愼喜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붕당을 싫어하여 자청해서 금산 군수(金山郡守)로 나갔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시와 글씨에 뛰어나 한호(韓濩)에게 서예를 가르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희남(希男) - 이희남(李希男)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장남인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손자.
1501~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년(希年) - 이희년(李希年)
조선 전기의 문신.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5대손이며, 진안부정(鎭安副正) 이영남(李永男)의 아들. 의영고 봉사(義盈庫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년(希年)@박희년 - 박희년(朴希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년(禧年)@오희년 - 오희년(吳禧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희년(禧年)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뇌(姬餒) - 선공(宣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08~B.C.591. 문공(文公)의 아들. 아내는 목강(繆姜).
?~B.C.5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눌(希訥) - 신희눌(愼希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박희량(朴希良)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단(姬丹) - 태자단(太子丹)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마지막 태자. 진(秦) 시황(始皇)이 육국(六國)을 병합할 야욕이 있음을 알고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시켜 시황(始皇)을 암살하려다 실패함.
?~B.C.2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희단(姬旦)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희단(希端) - 여희단(呂希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산(星山). 1519년(중종 14) 동생 여희림(呂希臨)과 함께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었으나 응시하지 않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희담(希聃) - 유희담(柳希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만(松巒) 윤현(尹晛)의 사위로,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도(僖悼) - 후령군(厚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 덕숙옹주(德淑翁主)의 소생으로,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게 선위할 때 신병(身病)을 이유로 일부러 참여하지 않았으며, 몇 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음.
1404~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도(姬度) - 채숙(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문왕(文王)의 다섯째 아들로, 무왕(武王) 때 채(蔡) 땅에 봉해짐. 성왕(成王) 즉위 후 주공(周公)에 대하여 불만을 품고 관숙(管叔)ㆍ무경(武庚)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후 유배지에서 죽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희도(希道) - 금앙성(琴仰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금원정(琴元貞)의 손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희동(姬同) - 장공(莊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93~B.C.662. 노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慶父)와 숙아(叔牙)가 제후의 자리를 탐하자, 장공의 동복인 계우(季友)가 숙아를 독살하고 장공의 아들 반(般)을 태자로 세움.
B.C.706~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동(禧童) - 성희동(成禧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성중엄(成重淹)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희득(希得) - 이희득(李希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령(河東副令) 이유(李裕)의 아들이자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동생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25~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등(姬縢)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희등(希登)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희락당(希樂堂)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 희락당고(希樂堂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로(金安老)의 시문집. 8권 6책. 필사본. 저자가 정유삼흉(丁酉三兇)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문집이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희락자(希樂子)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랑(姬閬) - 혜왕(惠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7대 왕. 재위 B.C.677~B.C.652. 장왕(莊王)의 아들이자 양왕(襄王)의 아버지. 즉위 후 오대부(五大夫)가 난을 일으키자 도망쳤다가 정(鄭) 여공(厲公) 등의 도움을 받아 ‘자퇴(子頹)의 난(亂)’을 평정하고 복귀함.
?~B.C.65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량(希亮)@유희량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亮)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樑) - 이희량(李希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 음보(蔭補)로 언양(彦陽)ㆍ봉화(奉化)의 현감(縣監)을 역임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 - 이희량(李希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형으로, 전적(典籍) 등을 지냄.
1511~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정희량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박희량 - 박희량(朴希良)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신희눌(愼希訥)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량(熙良) - 정희량(鄭熙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조선 건국 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희려(姫廬) - 평후(平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왕. 채 나라를 점령한 초(楚) 나라 영왕(靈王)에 의해 옹립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련(希鍊) - 김희련(金希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岩).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평사(評事)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희렴(希廉) - 윤희렴(尹希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공조 판서(工曹判書) 윤국형(尹國馨)의 아버지로, 경산 현령(慶山縣令) 등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ㆍ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51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령(希齡)@유희령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희령(希齡)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희로(希老) - 민희로(閔希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석(閔碩)의 아들이며, 연안 부사(延安府使) 민구(閔球)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사용(龍驤衛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희로(希魯) - 유중련(柳仲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권호문(權好文)과 함께 안동(安東)의 학가산사(鶴駕山寺)에서《서경(書經)》ㆍ《주역(周易)》을 강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희릉(禧陵)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희릉(禧陵)@의종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희린(希麟) - 이희린(李希麟)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의 첫 번째 서자로, 풍성수(豊城守)에 봉해짐.
1563~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희림(希琳) - 윤희림(尹希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군자감 정(軍資監正) 윤변(尹忭)의 아버지로, 부사용(副司勇) 등을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희림(希臨)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희림(希霖) - 유희림(柳希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유복룡(柳伏龍)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20~16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립(希立)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립(希立)@탁희립 - 탁희립(卓希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낸 탁신(卓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희만(姬滿)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맹(姬猛) - 도왕(悼王)
중국 주(周) 나라의 천자. 재위 B.C.520~B.C.519. 세경(世卿) 윤어(尹圉)와 왕자조(王子朝)의 반란(反亂)으로 인해 시해(弑害)됨.
?~B.C.381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맹(希孟)@강희맹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희맹(希孟)@최희맹 - 최희맹(崔希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로,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맹(希孟)@권희맹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희맹(希孟)@오희맹 - 오희맹(吳希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중종(中宗) 때 명 나라의 황태자가 태어나자 조사(詔使) 공용경(龔用卿)과 함께 부사(副使)로 조선에 와 황제의 조서(詔書)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맹(希孟)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희맹(希孟)@김상양 - 김상양(金尙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용담 현령(龍潭縣令) 김호수(金虎秀)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명(希明)@저량 - 저량(褚亮)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저수량(褚遂良)의 아버지이며, 방현령(房玄齡)ㆍ두여회(杜如晦) 등과 함께 문학관(文學館)에서 전적을 강론하던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저서로 《저량집(褚亮集)》이 있음.
560~64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명(希明)@심전 - 심전(沈銓)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경기 감사(京畿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명(希明)@유순 - 유순(柳洵)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짐. 시부(詩賦)에 뛰어나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한글로 번역하고,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명(希明) - 박여헌(朴黎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30~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희명(熙明) - 이희명(李熙明)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묘(熙廟)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희무(希茂)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노목 - 노목(魯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지냄. 여러 번 봉사(封事)를 올려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강직한 명성을 조정에 떨침.
1381~143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송회석 - 송회석(宋晦錫)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손자이자 송무원(宋婺源)의 아버지. 《송자대전(宋子大全)》에 송시열이 지은 〈제오손회석묘표(第五孫晦錫墓表)〉가 실려 있음.
1658~16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희문(希文)@박황 - 박황(朴璜)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희문(希文)@조희문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이순 - 이순(李純)@이형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산(德山).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성희문 - 성희문(成希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완(成玩)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현풍 현감(玄風縣監) 등을 역임함.
1477~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문(希文)@이희문 - 이희문(李希文)
조선 전기의 유학. 월연(月淵) 이태(李迨)ㆍ간지(幹之) 박형간(朴亨幹)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문(熙文)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문대역(羲文大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희문역(羲文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희민(僖敏) - 나세찬(羅世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두 차례 장원급제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권신(權臣)을 서슴지 않고 탄핵하는 기개가 있었음.
1498~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희민(僖敏)@순화군 - 순화군(順和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여섯 번째 서자. 순빈김씨(順嬪金氏)의 소생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풀려났으며, 사람을 함부로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는 등 불법을 저질러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음.
1580~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민(希閔) - 김극효(金克孝)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지낸 김생해(金生海)의 아들이며, 김상용(金尙容)과 김상헌(金尙憲)의 부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1542~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민(希閔)@이호민의형 - 이희민(李希閔)@이호민의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낸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민(希閔)@이윤검의아들 - 이희민(李希閔)@이윤검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으로 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당해 파직되었음.
1498~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희민(希閔)@이효순 - 이효순(李孝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손자이며 부안정(富安正) 이증(李增)의 막내아들로, 유직경(柳直卿) 등과 교유함.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민(羲民)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발(姬發)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발(希發) - 유희발(柳希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가담하였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죽임을 당함.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백(希伯) - 이희백(李希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도시 정(司䆃寺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백(希白) - 신거이(愼居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형조 정랑(刑曹正郞),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신거관(愼居寬)의 사촌 형.
148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희범(希范)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희벽방(姬辟方) - 효왕(孝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8대 왕. 재위 B.C.891~B.C.886. 의왕(懿王)을 이어 왕이 되었고 진(秦) 나라를 최초의 제후국으로 봉해줌.
?~B.C.89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보(希輔)@정희보 - 정희보(鄭希輔)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사화(士禍)로 인해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은거하며 평생 학문연구에 힘씀. 문하에서 강익(姜翼) 등 여러 명사들이 배출되었으며, 함양(咸陽)의 당주서원(溏洲書院)에 배향됨.
1488~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희보(希輔)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