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희보(熙甫) - 탁경지(卓敬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지(卓智)의 둘째 아들로, 양덕 현감(陽德縣監)ㆍ삼가 현령(三嘉縣令) 등을 지내고, 이극균(李克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희복(希復)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복인(姬服人) - 성후(成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무후(武侯)의 아들이며, 여후(厲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부(希傅) - 양희부(梁希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돈용교위(敦勇校尉) 양충(梁沖)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희분(希奮) - 유희분(柳希奮)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함께 대북파(大北派)에 가담해 정권을 좌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죽임을 당함.
1564~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빙(希憑) - 고야왕(顧野王)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ㆍ진(陳)의 문신ㆍ학자. 천문(天文)ㆍ복서(卜書)ㆍ기자(奇字)에 능통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옥편(玉篇)》이 유명함.
519~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삭(姬朔) - 혜공(惠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제후. 선공(宣公)의 아들로, 태자 급(伋)을 죽인 일로 인해 임금 자리에서 쫓겨나 제(齊) 나라로 망명하였다가 제 나라 양공(襄公)에 의해 복위됨. 후에 연(燕) 나라와 함께 주(周) 나라 혜왕(惠王)을 공격함.
?~B.C.66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삼(希參)@이효백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희삼(希參)@이희삼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희삼(希參)@김희삼 - 김희삼(金希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우옹(金宇顒)의 아버지.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희삼(希參)@윤효정 - 윤효정(尹孝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경(尹耕)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이후로 숨어 살며 ‘어초은자(漁樵隱者)’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희삼(希參)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상(熙祥) - 이희상(李熙祥)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이첨(李詹)의 아버지로,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희생(喜生) - 이희생(李喜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1552년(명종 7)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남명집(南冥集)》에 조식(曺植)이 지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희서(希瑞) - 하희서(河希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황간 현감(黃澗縣監)을 지낸 하형(河瀅)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교유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서(熙瑞) - 김희서(金熙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김명윤(金明胤)의 맏아들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서(熙緖)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석(希奭) - 김희석(金希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약묵(金若默)의 아버지. 참봉(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희설심(姬泄心) - 영왕(靈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황제. 재위 B.C.571~B.C.545. 구씨산(緱氏山)의 신선(神仙)이 된 왕자교(王子喬)의 아버지로, 직간(直諫)하던 왕자교를 폐위하고 차자인 경왕(敬王)에게 황위를 물려줌.
?~B.C.54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섭(姬燮) - 이왕(夷王)
중국 주(周) 나라 제9대 왕. 재위 B.C.885~B.C.878. 의왕(懿王)의 아들이자, 효왕(孝王)의 조카이며,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제후들과 대립하여 제(齊) 나라 애공(哀公)을 팽살(烹殺)하였으며, 집권 후 권위가 떨어져 왕실의 힘이 약화되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성(姬聖)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희성(希聖)@박희성 - 박희성(朴希聖)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희성(希聖)@김급 - 김급(金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도(淸道). 유헌(遊軒) 정황(丁熿)의 문인(門人)으로, 《유헌집(游軒集)》에 문답한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희성(希聖)@김대우 - 김대우(金大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충무위 사직(忠武衛司直) 김효준(金孝俊)의 아들이며, 감찰(監察) 김경생(金景生)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성(希聖)@이인립 - 이인립(李仁立)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포(李褒)의 아들.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국정이 어지러워지자 낙향하여 여생을 음영(吟詠)하며 지냄.
1333~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김대현 - 김대현(金大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
1553~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전유연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이영현 - 이영현(李英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직되어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07~15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윤희성 - 윤희성(尹希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사림(士林)의 억울함을 상소하여 조광조의 관작을 회복시킴. 사헌부 지평(司憲府持評)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 - 공서린(孔瑞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생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를 맺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
148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희성(希聖)@이희성 - 이희성(李希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직강(直講)을 지낸 이봉춘(李逢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희소(姬釗) - 강왕(康王)
중국 주(周) 나라의 제3대 왕. 재위 B.C.1020~ B.C.996. 성왕(成王)의 뒤를 이어 주 왕조(周王朝)의 전성기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손(喜孫)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손(希孫) - 이희손(李希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曾孫)인 보안정(保安正) 이수남(李壽男)의 아들.
1497~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희송(姬誦) - 성왕(成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2대 왕. 재위 B.C.1042~B.C.1021. 어린 나이에 무왕(武王)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숙부인 주공 단(周公旦)과 소공 석(召公奭)의 보좌를 받아 주 나라의 성세(盛世)를 이룸.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송(希松) - 유희송(柳希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낙안 군수(樂安郡守) 유사(柳泗)의 아버지로, 좌통례(左通禮)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희수(喜壽) - 심희수(沈喜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종제이자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은거함. 저서로 《일송집(一松集)》이 있음.
1548~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희수(希壽) - 김희수(金希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목사(牧使) 김숙연(金叔演)의 아들로, 권벌(權橃)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신원(伸冤)을 청함.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1475~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희수(希壽)@정희수 - 정희수(鄭希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지(鄭麟趾)의 현손이며 신성수(信城守) 이희(李曦)의 사위. 백곡(栢谷) 정곤수(鄭崐壽)의 장인으로 충의위 사과(忠義衛司果)를 지냄.
1516~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희수(希洙) - 양희수(楊希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사준(楊士俊)ㆍ양사언(楊士彦)ㆍ양사기(楊士奇)의 아버지로,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희숙(僖叔)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희순(希舜)@오희순 - 오희순(吳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아들 오결(吳潔)과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예빈시 직장(禮賓寺直長) 등을 지냄.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에 그에게 답한 편지가 실려 있음.
1538~162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희순(希舜)@이희순 - 이희순(李希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악(安岳)으로, 참판(參判) 이평(李枰)의 아들. 남원 부사(南原府使)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連累)되어 화를 당함.
1464~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희순(希舜) - 이명효(李明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달(李成達)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순(希舜)@민희순 - 민희순(閔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연안 부사(延安府使) 민구(閔球)의 생부이며, 민경(閔瓊)의 아버지. 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희순(希醇) - 이계맹(李繼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일손(金馹孫)ㆍ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영광(靈光)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희술(希述) - 손순조(孫順祖)
조선 전기의 문신. 평강 훈도(平康訓導)를 지냈으며, 홍유손(洪裕孫)의 《소총유고(篠䕺遺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희식(希軾) - 노희식(盧希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충좌위 중부장(忠佐衛中部將) 노관(盧綰)의 아들이며, 진사(進士) 노수함(盧守諴)의 아버지로, 동래 교수(東萊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희신(姬申) - 문후(文侯)@춘추전국(채)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후. 재위 B.C.611~B.C.592. 장후(莊侯)의 아들이며, 경공(景公)의 아버지.
?~B.C.59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신광(姬神光) - 혜가(慧可)
중국 남북조시대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2조(第二祖)로, 달마(達磨)의 제자가 되어 선법(禪法)을 계승한 뒤 각지로 포교하다가 처형됨. 눈 속에서 왼팔을 절단하면서까지 구도(求道)의 성심을 보이고 달마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전설로 유명함.
487~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희실(希實) - 신개(申漑)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호문(成好問) 등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에게서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실(希實)@이의 - 이의(李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인(李昌仁)의 아들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씨(犧氏) - 희화(羲和)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 제준(帝俊)의 아내로, 열 개의 태양(太陽)을 아들로 낳고 수레에 싣고 다닌다는 신. 일반적으로 해를 지칭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희씨(羲氏)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희악(姬惡) - 양공(襄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43~B.C.535. 헌공(獻公)의 아들로, 숙부인 상공(殤公)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9년 동안 나라를 다스림.
?~B.C.53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안(僖安)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안(喜安) - 부안(扶安)
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16년(태종 16)에 부령(扶寧)과 보안(保安)이 합해짐.
전라도>부안 , 지명>행정지명
-
희안(希安) - 심수경(沈守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팔도의 관찰사(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우의정에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삼도 체찰사(三道體察使)가 되어 의병을 모집함.
1516~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희안(希顔)@신희안 - 신희안(愼希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임운(林芸)이 쓴 〈숙현수조여경우구호(宿玄水朝與景愚口號)〉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안(希顔)@이수연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안(希顔)@이희안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희안(希顔) - 권주(權鑄)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지신사(知申事)ㆍ밀직 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냄.
?~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희안(希顔)@강희안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희안(希顔)@성희안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안(希顔)@오희안 - 오희안(吳希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된 스승 김식(金湜)을 은닉시켰다가 체포되어 벽동(碧潼)으로 귀양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주 , 인명>문사>유학
-
희안군(喜安君) - 이집(李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안수(喜安守) - 이집(李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암(希庵) - 김태암(金泰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조양(金調陽)의 아들. 김정(金淨)ㆍ성운(成運)과 교우가 두터웠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에서 죽음.
1477~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희양(僖襄) - 장사길(張思吉)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의주(義州) 지방의 토호(土豪)로 이성계(李成桂)에게 인정받아 회군공신(回軍功臣)ㆍ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희업(熙業) - 송희업(宋熙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증손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송기(宋圻)의 아들로, 간성 현감(杆城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희여(希輿) - 김우증(金友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풍(淸風).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희역(犧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희연(姫延) - 난왕(赧王)
중국 주(周) 나라의 마지막 왕. 재위 B.C.314~B.C.256. 이름은 희연(姬延)으로, 신정왕(慎靚王)의 아들. 날로 강성해지는 진(秦) 나라를 견제하고자 무리한 정벌을 감행했다가 결국 멸망에 이름.
?~B.C.256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열(希烈)@이희열 - 이희열(李希烈)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무신ㆍ역적. 782년 치청(淄淸)의 이납(李納)을 토벌하라는 칙명을 받았으나 도리어 이납과 함께 모반함. 초제(楚帝)라 참칭했지만 관병에게 패한 뒤 786년에 부하에게 독살당함.
?~786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희열(希烈) - 왕중정(王中正)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환관(宦官). 어약원 간당(御藥院幹當) 등을 지냈으며, 서하(西夏)를 격퇴한 공으로 황제의 물건을 하사받음. 하늘을 찌르는 권세를 누렸으나, 정호(程顥)의 청렴ㆍ정직함을 알고 자주 왕래함.
1029~109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희열(希說) - 김희열(金希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약평(金若枰)의 아들로,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희영(希英) - 이희영(李希英)
조선 전기의 종친. 명해부수(明海副守) 이달(李達)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영족(姬寧族) - 무후(武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진후(晉侯) 희섭(姬燮)의 아들이며, 성후(成侯)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예호(姬繄扈) - 공왕(共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6대 왕. 재위 B.C.922~B.C.900. 목왕(穆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오(姬午) - 위열왕(威烈王)
중국 주(周) 나라의 천자. 재위 B.C.425~B.C.402. 고왕(考王)의 아들로, 진(晉) 나라 대부 한건(韓虔)ㆍ조적(趙籍)ㆍ위사(魏斯)를 제후로 봉함.
?~B.C.40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옥(希玉)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온(希溫)@곽희온 - 곽희온(郭希溫)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으며 《우계집(牛溪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온(希溫)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희옹(希雍) - 성희옹(成希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우로,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옹(希雍)@이희옹 - 이희옹(李希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희왕(熙王)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희용(希容)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희우(希禹)@김희우 - 김희우(金希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광수(金光壽)의 아들로,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희우(希禹) - 김귀(金龜)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사정공(司正公) 김이형(金利亨)의 아들로,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여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여러 수(首)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희원(姬元) - 영공(靈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34~B.C.493. 양공(襄公)의 아들로, 사추(史鰌)ㆍ거원(蘧瑗) 등의 충신을 둠.
?~B.C.49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원(希元)@유승 - 유승(柳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화군(文化君) 유인기(柳仁奇)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유돈(柳墩)의 아버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지냈으며, 저서로 《신의(新儀)》가 있음.
1248~1298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원(希元)@진덕수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원(希元) - 김장생(金長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서인(西人)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함.
1548~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원(希元)@진요좌 - 진요좌(陳堯佐)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 진요자(陳堯咨)의 형으로 성품이 강직했으며,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원(希愿) - 이희원(李希愿)
조선 후기의 문신.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황해도 토산 현감(兔山縣監)을 지내면서 관민들을 모아 협심단결하여 고을을 지키는 데 치력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토산 , 인명>관인>문신
-
희원(希源) - 심희원(沈希源)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정국공신(靖國功臣) 심순경(沈順徑)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원(希遠)@송희원 - 송희원(宋希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지낸 송남수(宋柟壽)의 아들로,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 등을 지냄.
1565~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희원(希遠)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윤(希尹)@양희윤 - 양희윤(梁希尹)
조선 후기의 유학. 황정욱(黃廷彧)ㆍ홍성민(洪聖民)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희윤(希尹) - 조희윤(趙希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낸 조숭조(趙崇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