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희윤(熙胤) - 차희윤(車熙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ㆍ평안 도사(平安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희윤(禧胤) - 이희윤(李禧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인 인성부정(仁城副正) 이경(李儆)의 아들로, 덕림수(德林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은(希殷) - 이광로(李光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형.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희의(僖懿) - 근녕군(謹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 신빈신씨(信嬪辛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가담하지 않고 관악산(冠岳山) 연주대(戀主臺)에 올라 14일간 절식하며 통곡함.
1411~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의구(姬宜咎)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의구(姬宜臼)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이(姬夷)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이(希夷)@윤희이 - 윤희이(尹希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파평군(坡平君)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윤신(尹信)의 아버지로, 공정고사(供正庫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이(希夷)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희이(希夷)@강희이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희이로(希夷老)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희이선생(希夷先生)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희이자(希夷子)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희익(希益)@이희익 - 이희익(李希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부(古阜)로, 1531년(중종 2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ㆍ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희익(希益) - 박원겸(朴元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1514년(중종 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양근 군수(楊根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익(希益)@정희익 - 정희익(鄭希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군수(郡守)를 지낸 정경(鄭璟)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03~156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희익(希益)@권희익 - 권희익(權希益)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희인(希人)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인(希仁)@박증영 - 박증영(朴增榮)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셋째 아들이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박의영(朴義榮)ㆍ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의 아우. 문장으로 유명하고,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희인(希仁)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희인(希仁)@임복 - 임복(林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었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삭주(朔州)에 유배되었다가 고향에 은거함.
1521~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희인(希仁)@이언눌 - 이언눌(李彦訥)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죽마고우(竹馬故友).
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인(希仁)@윤희인 - 윤희인(尹希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준정(尹俊丁)의 아들로,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사림파의 신진세력을 배척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65~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일(希一) - 김만억(金萬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직제학을 지낸 김천령(金千齡)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일(希逸) - 사장(謝莊)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시인.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侍中)에 제수됨. 사부(詞賦)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월부(月賦)》가 있음.
421~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희일(希逸)@임희일 - 임희일(林希逸)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ㆍ요주 태수(饒州太守)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장자(莊子)》에 대한 주석서인 《구의(口義)》를 저술함.
1193~127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일(希逸)@김희일 - 김희일(金希逸)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김식(金湜)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희임(希任) - 유희임(柳希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종인(柳宗仁)ㆍ유종례(柳宗禮)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장(姬將) - 애공(哀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제후. 재위 B.C.494~B.C.486. 정공(定公)의 아들로, 대외적으로 오(吳) 나라와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고, 월(越) 나라의 힘을 빌려 삼환씨(三桓氏)를 제거하려 했으나 도리어 그들의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함.
?~B.C.48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장(姬蔣) - 애공(哀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제후. 재위 B.C.494~B.C.486. 정공(定公)의 아들로, 대외적으로 오(吳) 나라와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고, 월(越) 나라의 힘을 빌려 삼환씨(三桓氏)를 제거하려 했으나 도리어 그들의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함.
?~B.C.48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장(希章) - 김수문(金秀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진사 김임(金銋)의 아들.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서 왜구(倭寇)를 대파하는 공을 세웠고,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때는 여러 차례 호인(胡人)의 침략을 격퇴하고 전사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무신
-
희재(希載) - 박희재(朴希載)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재(熙載)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희저(希渚) - 유희저(柳希渚)
조선 성종(成宗)~종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1496년(연산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했음.
146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적(希籍)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희적(希迪) - 한희적(韓希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本貫)은 청주(淸州).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한철충(韓哲冲)의 아버지로, 사재령(司宰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희적(熙績) - 정희적(鄭熙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이식(李拭)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가 반발을 불러일으킴. 임진왜란 때 길주 부사(吉州府使)로서 왜군을 맞아 싸웠으나 안동 부사(安東府使) 재임시 왜적을 막지 않고 도망한 문제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음.
15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희절(僖節) - 정진(鄭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정도전(鄭道傳)의 아들로,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을 전후로 정도전과 더불어 영욕을 함께함.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1~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희점(希點) - 윤석(尹晳)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계흥(尹繼興)의 아들로, 글 솜씨가 뛰어나 오랫동안 승문원(承文院)에 재직하고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의 화를 당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정(僖靖)@권상일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정(僖靖)@성억 - 성억(成抑)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석인(成石因)의 아들이며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장인. 태종으로부터 공신(功臣)의 예우를 받았으며, 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86~144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희정(僖靖)@수도군 - 수도군(守道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으로, 관직을 삭존(削尊)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領宗正卿)의 벼슬과 군(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정(僖靖)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정(僖靖)@원상 - 원상(元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장단(長湍)에 은거함. 조선 개국 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문신
-
희정(姬定) - 신정왕(愼靚王)
중국 주(周) 나라의 왕. 재위 B.C.320~B.C.315. 이름은 희정(姬定)으로, 난왕(赧王)의 아버지.
?~B.C.31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정(姬靖)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정(姬靜)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정(嬉鄭) - 양왕(襄王)
중국 주(周) 나라 제19대 왕. 재위 B.C.651~B.C.619. 숙부인 왕자대(王子帶)가 난리를 일으켜 정(鄭) 나라로 피했는데,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왕자대를 죽이고 양왕을 복귀시킴.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정(希正)@이유정 - 이유정(李惟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평난공신(平難功臣) 이준(李準)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정(希正)@권희정 - 권희정(權希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우의정을 지낸 권진(權軫)의 아버지이며, 사위는 판서(判書) 배상지(裵尙志). 감찰 규정(監察糾正)의 관직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희정(希正)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희정(希正) - 남계당(南季堂)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지(南輊)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과 제학(提學)을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희정(希正)@김적 - 김적(金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게 주는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희정(希汀) - 유희정(柳希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전관(宣傳官)ㆍ남원 판관(南原判官)ㆍ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했음.
1472~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희정(希程) - 이이(李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嘉平). 이장경(李長卿)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희정(熙貞) - 신희정(辛熙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6년(연산군 12)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이자(李耔)의 《음애집(陰崖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희정(禧靖)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희제(希齊) - 윤희제(尹希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파평군(坡平君)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광주 목사(廣州牧使) 윤은(尹垠)의 아버지. 한성부 판사(漢城府判事) 등을 지내고, 찬성(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희제(狶蹄)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희조(喜朝) - 이희조(李喜朝)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당파싸움에 여러 차례 휘말렸으나 의리 있고 공정한 자세로 번번히 재임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저서로 《지촌집(芝村集)》이 있음.
1655~172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희조(姬朝) - 왕자조(王子朝)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제24대 경왕(景王)의 서자(庶子)로, 경왕이 죽은 후 개(匄)와 왕위를 다투고 국인(國人)들이 세운 경왕의 장자인 도왕(悼王)을 죽였으나, 진(晉) 나라가 개를 옹립하여 경왕(敬王)으로 삼자 초(楚) 나라로 도망감.
?~B.C.50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희조(希祖) - 김희조(金希祖)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으며, 경성(京城)을 지킨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희종(熙宗)@박희중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희주(希周) - 윤희주(尹希周)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과 같이 자란 동갑내기 죽마고우(竹馬故友).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희주공(姬周公)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희중(希中)@길면지 - 길면지(吉勉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참봉(參奉)을 지낸 길대연(吉大淵)의 아들.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희중(希中)@김희중 - 김희중(金希中)
조선 전기의 무신.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희중(希中)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희중(希仲)@윤휴 - 윤휴(尹鑴)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주자(朱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참최설(斬衰說)을 주장하여 서인(西人)과 대립함. 경신출척(庚申黜陟)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617~168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중(希仲)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희중(熙中)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희중(熙仲) - 박집(朴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박조년(朴兆年)의 아들.
149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희중(禧仲) - 이우보(李祐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공(李孝恭)의 아들로, 1464년(세조 10)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희증(希曾)@최희증 - 최희증(崔希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이며 최력(崔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희증(希曾) - 성희증(成希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찬(成瓚)의 아들이자 성희안(成希顔)의 형으로, 1480년(성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희증(希曾)@이희증 - 이희증(李希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귀(李龜)ㆍ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으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역임함.
1486~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희지(希之) - 김대현(金大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
1553~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지(希志) - 양희지(梁希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서자로 참봉(參奉)을 지냄. 문장에 능했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희지(熙之) - 고순(高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본관은 제주(濟州). 남효온(南孝溫), 신영희(辛永禧) 등과 교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문인
-
희지(熙止)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희지(禧之) - 김숭조(金崇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충손(金衷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연산군이 폐위된 후 연산군 아래에서 벼슬한 것을 부끄럽게 여김.
14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지(羲之)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희직(姬職)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직(希直) - 방효유(方孝孺)
중국 명(明) 태조(太祖)~혜제(惠帝) 때의 학자. 석학인 송렴(宋濂)에게 수학하고, 혜제(惠帝)를 섬겨 시강학사(侍講學士)로서 신임을 받았으나, 영락제(永樂帝)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
1357~1402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희직(希稷) - 구희직(歐希稷)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으로 태감(太監)인 장조(張朝)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진(姬晉) - 선공(宣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 제후. 재위 B.C.718~B.C.700. 장공(莊公)의 아들이며 혜공(惠公)의 아버지. 며느리를 부인으로 삼았으며, 이것을 비난한 내용이 《시경(詩經)》 〈국풍(國風)〉 중 패풍(邶風)에 나오는 ‘신대(新臺)’라는 시가에 실려 있음.
?~B.C.7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질(僖質) - 손주(孫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의 처벌에 가담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희징(希澄) - 이희징(李希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생원(生員) 이계근(李繼根)의 아들. 1513년(중종 8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희창(姬昌)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창(希昌) - 심희창(沈希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중종(中宗) 때의 유학 심경(沈鯁)의 아버지로, 관계는 효력부위(效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희천(希天) - 탁원진(卓元眞)
고려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도집(卓道集)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희천군(熙川君) - 김우(金宇)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희천(熙川).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
?~141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희철(希哲)@박희철 - 박희철(朴希哲)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희철(希哲)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철(希哲)@강희철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희철(希轍) - 유희철(柳希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재직할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으로 칭송됨.
1453~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철(熙哲) - 강희철(姜熙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훈도(訓導)를 지낸 강필주(姜弼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문사>유학
-
희철(熙徹) - 이조손(李兆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음. 《사재집(思齋集)》에 김정국(金正國)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희첩(姬踕) - 문공(文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26~B.C.609. 희공(僖公)의 아들. 상중(喪中)에 장가가고, 종묘에 삭일(朔日)을 고유(告由)하는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등 구례(舊例)를 따르지 않아서 공자 및 후세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음.
B.C.693~B.C.6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청(喜晴)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