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희초(喜初)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희초(熹初)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희춘(希春)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충(希忠) - 이희충(李希忠)
고려 말~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좌명공신(佐命功臣) 이응(李膺)의 아버지로, 고려 때 밀직 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내고 조선 태조 때 좌도 수군 절제사(左道水軍節制使)를 지냄.
1344~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희평(希平)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희평(熙平)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희필(希泌) - 이희필(李希泌)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우왕 때 최영(崔瑩) 등과 함께 왜구를 무찔러 공을 세움. 《양촌집(陽村集)》에 권근(權近)이 지은 만사(挽辭)가 실려 있음.
?~137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희하(姬瑕) - 소왕(昭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4대 왕. 재위 B.C.995~B.C.977. 강왕(康王)의 아들로, 남쪽으로 초(楚) 땅을 정벌하였는데, 초인(楚人)들이 아교를 칠해 놓은 배를 타고 한수(漢水)를 건너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한(希漢) - 조희한(趙希漢)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으로 한주(漢州) 파릉인(巴陵人)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희현(希賢)@신희현 - 신희현(愼希賢)
조선 전기의 유학. 임억령(林億齡)의 《석천시집(石川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희현(希賢)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현(希賢)@조희현 - 조희현(趙希賢)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숭덕현(崇德縣)의 지현(知縣)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희현(希賢)@유사필 - 유사필(柳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유홍(柳泓)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지냄.
1501~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희현당(希賢堂) - 신숙주(申叔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한 공(功) 등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 등에 책록됨.
1417~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희혜(希惠) - 권화(權和)@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숙(姨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장인인 신명화(申命和)에게서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후손들에게 관리하게 함.
1518~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희호(姬胡) - 여왕(厲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0대 황제. 재위 B.C.877~B.C.841.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彘)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
B.C.878~B.C.828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홀(姬忽) - 소공(昭公)@춘추전국(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4대ㆍ6대 제후. 재위 B.C.700, B.C.696~694. 아우 여공(厲公)과 제위를 다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홍(希弘) - 정희홍(鄭希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수(鄭琇)의 아들로, 1526년(중종 2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목사(牧使)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희황(羲皇)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희황상인(羲皇上人)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희훼(姬燬) - 문공(文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제후. 위(衛) 나라가 적(狄)의 침입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齊) 환공(桓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라 위 나라를 부흥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흑굉(姬黑肱) - 성공(成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590~B.C.573. 선공(宣公)과 목강(繆姜)의 아들.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흑둔(姬黑臀) - 성공(成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600. 문공(文公)의 아들로 양공(襄公)의 아우이며, 경공(景公)의 아버지. 초(楚) 나라 장왕(莊王)과 함께 천하의 패권다툼을 함.
?~B.C.6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힐(肸) - 무후(繆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채(蔡) 나라의 제후. 여동생을 제(齊) 환공(桓公)에게 시집보냈는데, 여동생과 환공(桓公)의 불화(不和)로 제(齊) 나라의 공격을 받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옥계서원(玉溪書院)
조선시대 경상북도 안동 덕산현(德山縣)에 세운 서원. 김자수(金自粹)ㆍ김언기(金彦璣)ㆍ정사성(鄭士誠) 등이 배향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교성군(交城君)@송일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가중(可中)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송봉(松峯)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여원(礪原)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숙정(肅靖)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가중(可仲)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질(軼) - 송질(宋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영의정을 지냈으며,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짐.
1454~1520
-
송공손(宋恭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낸 송만달(宋萬達)의 아들.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을 지냈으며, 아들 송질(宋軼)이 영의정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추증됨.
1430~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지한(宋之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형조ㆍ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름.
1493~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지정(宋之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시학(詩學)에 힘썼으며,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역임하였음.
1500~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확(尹確)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개암(介庵) 강익(姜翼)을 도와 남계서원(灆溪書院)을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우번(于蕃) - 송지한(宋之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형조ㆍ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름.
1493~1563
-
자번(子藩) - 송지한(宋之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형조ㆍ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름.
1493~1563
-
여량군(礪良君)@송지한 - 송지한(宋之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형조ㆍ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름.
1493~1563
-
지한(之翰) - 송지한(宋之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형조ㆍ공조의 정랑(正郞) 등을 역임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름.
1493~1563
-
송탄(松灘)@정홍서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灆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
극승(克承)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灆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
홍서(弘緖)@정홍서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灆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 송공손(宋恭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낸 송만달(宋萬達)의 아들.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을 지냈으며, 아들 송질(宋軼)이 영의정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추증됨.
1430~1509
-
공손(恭孫) - 송공손(宋恭孫)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낸 송만달(宋萬達)의 아들.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을 지냈으며, 아들 송질(宋軼)이 영의정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추증됨.
1430~1509
-
강언(剛彦) - 송지정(宋之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시학(詩學)에 힘썼으며,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역임하였음.
1500~1529
-
지정(之楨) - 송지정(宋之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영의정을 지낸 숙정공(肅靖公) 송질(宋軼)의 아들로 시학(詩學)에 힘썼으며,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역임하였음.
1500~1529
-
확(確)@윤확 - 윤확(尹確)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개암(介庵) 강익(姜翼)을 도와 남계서원(灆溪書院)을 건립함.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灆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국헌(菊軒)@박경윤 - 박경윤(朴慶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중(孝仲), 호는 국헌(菊軒).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朴慶傳 1553~1623)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아익장(亞翼將)으로 전공을 세움. 사후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올랐으며, 1816년(순조16) 병조 판서에 추증됨.
1555~1626
-
경윤(慶胤)@박경윤 - 박경윤(朴慶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중(孝仲), 호는 국헌(菊軒).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朴慶傳 1553~1623)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아익장(亞翼將)으로 전공을 세움. 사후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올랐으며, 1816년(순조16) 병조 판서에 추증됨.
1555~1626
-
박경윤(朴慶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중(孝仲), 호는 국헌(菊軒).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朴慶傳 1553~1623)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아익장(亞翼將)으로 전공을 세움. 사후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올랐으며, 1816년(순조16) 병조 판서에 추증됨.
1555~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성안(成安)@윤사균 - 윤사윤(尹士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靖難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짐.
1409~?
-
영평군(鈴平君)@윤사균 - 윤사윤(尹士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靖難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짐.
1409~?
-
사균(士昀) - 윤사윤(尹士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靖難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짐.
1409~?
-
윤사윤(尹士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靖難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짐.
140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파릉군(坡陵君) - 윤보(尹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사윤(尹士昀)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로,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 때 황태자(皇太子)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
파릉부원군(坡陵府院君) - 윤보(尹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사윤(尹士昀)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로,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 때 황태자(皇太子)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
보(甫) - 윤보(尹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사윤(尹士昀)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로,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 때 황태자(皇太子)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
윤보(尹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사윤(尹士昀)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로,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 때 황태자(皇太子)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明) 나라에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