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월당집(月塘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강석기(姜碩期)의 문집. 1772년(영조 48) 5대손인 음성 현감(陰城縣監) 강명달(姜命達)에 의해 원집(原集) 8권, 별집(別集) 2권, 합 5책의 활자본으로 간행됨.
17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음성 , 문헌>서명
-
월란대(月瀾臺)
경상도 예안(禮安)의 월란사(月瀾寺) 근처에 있는 암벽 이름. 경치가 뛰어나 초은대(招隱臺)ㆍ고반대(考槃臺)ㆍ응사대(凝思臺)ㆍ낭영대(朗詠臺)ㆍ능운대(凌雲臺)ㆍ어풍대(御風臺)와 함께 월란사의 ‘칠대(七臺)’로 일컬어짐.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월란사(月瀾寺)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도산면(陶山面)의 자하봉(紫霞峯) 아래에 있는 사찰. 이황(李滉)ㆍ이현보(李賢輔) 등이 이곳에서 '월란척촉회(月瀾躑躅會)'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講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월류봉(月留峯)
경상도 합천(陜川)의 가야산(伽倻山) 서쪽에 있는 매화산(梅花山)의 한 봉우리. 그 아래에 최치원(崔致遠)이 노닐었다는 청량사(淸凉寺)가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자연지명
-
월명담(月明潭)
경상도 예안(禮安)의 동쪽 25리 지점에 있는 강 이름. 낙동강(洛東江)의 상류로, 풍경이 뛰어나 시(詩)의 소재로 많이 쓰임. 현재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속함.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월명암(月明庵)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때 고승 부설(浮雪)이 전라도 부안(扶安)의 변산(邊山)에 창건한 사찰.
691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부안 , 유적>건물>사찰
-
월봉서원(月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기대승(奇大升)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서원. 1654년(효종 5)에 사액되었으며, 기대승ㆍ박상(朴祥)ㆍ박순(朴淳)ㆍ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봉집(月蓬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영길(柳永吉)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사집(月沙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정귀(李廷龜)의 시문집. 목판본. 74권 22책. 아들인 이명한(李明漢)과 이소한(李昭漢)이 유고(遺稿)를 정리하고, 저자의 문인인 최유해(崔有海)가 교정ㆍ간행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월상계택(月象谿澤)
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장가인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ㆍ상촌(象村) 신흠(申欽)ㆍ계곡(谿谷) 장유(張維)ㆍ택당(澤堂) 이식(李植)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월송정(越松亭)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7리 지점에 있는 정자.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관찰사 박원종(朴元宗)이 세웠으며, 전설에 신라 때 화랑들이 선유(仙遊)하던 곳이라 함. 현재 경상북도 울진(蔚珍)의 평해읍(平海邑)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유적>건물>누정
-
월송촌(越松村)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월송정(越松亭) 근처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 이산해(李山海)가 평해로 유배되었을 때 이곳에 우거(寓居)하면서 지은 시가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전함.
강원도>평해 , 지명>자연지명
-
월악산(月岳山)
충청도 충주(忠州)와 청풍(淸風)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예로부터 뛰어난 풍광(風光)으로 유명하며,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 한수면(寒水面)과 덕산면(德山面)의 경계에 속함.
충청도>충주ㅣ충청도>청풍 , 지명>자연지명
-
월암사(月巖祠)
경상도 고령(高靈)에 있는 사우(祠宇). 죽재(竹齋) 곽간(郭趕)을 배향함.
경상도>고령 , 유적>건물>사당
-
월암서원(月巖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된 서원. 김주(金澍)ㆍ하위지(河緯地)ㆍ이맹전(李孟專) 등을 배향함.
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연집(月淵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태(李迨)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이장운(李章運)ㆍ이종술(李鍾述)이 이만재(李萬材) 등이 만들었던 유고(遺稿)에 부록 등을 첨부하고, 허전(許傳)의 서(序)와 이돈우(李敦禹)의 발(跋)을 받아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인석보(月印釋譜)
조선 세조(世祖) 때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釋譜詳節)》을 합해 간행한 석가 일대기(釋迦一代記). 왕명을 받아 해초(海超)ㆍ김수온(金守溫) 등이 편찬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연구와 불교학 및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됨.
14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월장(月藏)
통일신라시대의 인물. 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노힐부득(弩肹夫得)의 아버지.
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월정만필(月汀漫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수필집. 우리 나라와 중국의 역사 고증ㆍ풍속ㆍ문장ㆍ필법ㆍ시화(詩話)ㆍ인물ㆍ설화ㆍ풍수ㆍ복서(卜筮)ㆍ중사(中使) 접대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
159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정봉(月井峯)
전라도 나주(羅州)의 금성산(錦城山)에 있는 산봉우리의 하나. 김천일(金千鎰) 등을 배향한 정렬사(旌烈祠)가 이곳에 있음.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월정사(月精寺)
강원도 평창(平昌)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창건했으며, 여러 차례 화재를 겪음.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무는 성지(聖地)로 여겨짐.
643 한국>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월정서원(月井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건립된 서원. 1664년(현종 5)에 창건되어 1669년(현종 10)에 사액되었으며, 박순(朴淳)ㆍ김계휘(金繼輝)ㆍ심의겸(沈義謙)ㆍ정철(鄭澈)ㆍ홍천경(洪千璟)을 배향함.
166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정집(月汀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의 시문집. 11권 7책. 목판본. 손자 윤정지(尹挺之)가 편집ㆍ교정하여 윤복지(尹履之)와 나누어 간행하고, 1773년(영조 49)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별집(別集)을 간행함.
164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ㅣ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월주(越州)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 현재는 소흥(紹興)으로 불림. 항주만(杭州灣) 남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명승지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도요(陶窯) 지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월천서당(月川書堂)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당. 1539년(중종 34) 월천(月川) 조목(趙穆)이 학문을 배우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현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씀.
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천집(月川集)@김길통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길통(金吉通)의 시문집. 4권 2책. 1649년(인조 27) 후손 김정화(金鼎華)가 시집 1권을 편찬하고, 1785년(정조 9) 김도철(金道喆)이 활자본을 간행했다고 함. 현재는 1904년 이후에 다시 간행된 것이 남아 있음.
164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천집(月川集)@조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목(趙穆)의 문집. 목판본. 6권 3책. 예안 현감(禮安縣監) 이석관(李碩寬)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趙錫朋)이 소장한 초고(草稿) 4권을 허목(許穆)이 산정(刪定)하여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월출봉(月出峯)
강원도 금강산(金剛山) 비로봉(毗盧峯)의 동남쪽에 위치한 산봉우리. 높이 1,574m.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월출산(月出山)
전라남도 영암(靈巖)과 강진(康津)의 경계에 있는 산. 소백산맥 여맥의 말단에 솟아 있으며, 남원(南原) 지리산(智異山)ㆍ장흥(長興) 천관산(天冠山)ㆍ부안(扶安) 능가산(楞伽山)ㆍ정주(井州) 내장산(內藏山)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꼽힘. 호남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불리며, 도갑사(道岬寺)ㆍ무위사(無爲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월포사(月浦祠)
조선 숙종(肅宗) 때 평안도 곽산(郭山)에 건립된 서원. 이원(李黿)ㆍ홍경우(洪儆禹) 등이 배향됨.
1709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하기우도(月下騎牛圖)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인 수윤(守允)의 그림. 조선에 있을 때 이행(李行)이 소를 타고 노닐던 정경을 그림.
일본>실정시대 , 일본 , 문헌>작품명
-
위(魏)@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후한(後漢)의 헌제(獻帝)에게 선양받아 낙양(洛陽)에 세운 왕조. 5대 46년간 존속.
22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위(魏)@춘추전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제후국(諸侯國). 전국칠웅(戰國七雄)의 하나로, 지금의 산서성(山西省)을 중심으로 존속하였으며, 8왕 178년 만에 진(秦) 나라에 멸망됨.
B.C.403~B.C.2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위^곽(衛^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장군으로서, 흉노(匈奴)를 정벌하여 공적을 크게 세운 위청(衛靑)과 곽거병(霍去病)을 함께 부르는 말. 변방의 장수, 또는 귀척(貴戚)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맹(韋^孟)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韋應物)과 맹호연(孟浩然)을 함께 부르는 말. 오언시(五言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반(渭^磻)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섬서성(陝西省)으로 흐르는 위수(渭水)와 위수로 흘러드는 반계(磻溪)를 함께 부르는 말. 주(周) 나라의 강태공(姜太公)이 문왕(文王)을 만난 곳으로, 인재를 얻음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염(韋^廉)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으로 경학(經學)에 밝았던 위현(韋賢)과, 후한(後漢) 때의 문신으로 민생(民生) 위주의 정사를 펼친 염범(廉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유(韋^柳)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韋應物)과 유종원(柳宗元)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평(韋^平)
중국 전한(前漢)의 재상인 위현(韋賢)ㆍ위현성(韋玄成) 부자(父子)와, 평당(平當)ㆍ평안(平晏) 부자를 함께 부르는 말. 부자(父子) 모두 재상을 지낸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공병법(衛公兵法)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인 이정(李靖)의 병법서(兵法書). 당 나라 군사의 구조와 주요 작전(作戰)의 특색을 보여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위관(衛瓘)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서예가. 여류 서예가 위삭(衛鑠)의 아버지로, 태보(太保) 등을 지내고, 장지(張芝)의 서체를 이어 받음. 혜제(惠帝) 때 혜가황후(惠賈皇后)에게 주살됨.
220~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무신
-
위기(魏驥)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대종(代宗)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편찬에 참여하고, 남경 이부상서(南京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저서에 《남재적고(南齋摘稿)》가 있음.
1374~147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남문집(渭南文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이자 애국 시인인 육유(陸游)의 시문집. 총 50권. 아들 육휼(陸遹)이 간행함.
122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위단(韋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안진경(顔眞卿)의 외손으로, 신라 원성왕(元聖王)의 국상(國喪) 때 조위사(弔慰使)로 나왔다가 도중에 소성왕(昭聖王)의 훙서(薨逝) 소식을 듣고 본국으로 돌아감.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墓誌)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당(魏堂)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저서로 《가례회성(家禮會成)》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위덕왕(威德王)
백제 제27대 국왕. 재위 554~598. 성왕(聖王)의 맏아들이며, 혜왕(惠王)의 형. 태자 때 성왕을 도와 신라 공격에 앞장서고, 즉위 후에도 신라와 고구려에 대하여 적대적인 정책을 계속함.
525~598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위라곡(位羅谷)
경상도 예천(醴泉)의 남부에 있던 고을 이름.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묘소가 있음.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위례성(慰禮城)
백제 시조 온조왕(溫祚王) 때부터 475년(문주왕 1)까지의 도읍지. 그 위치에 대해서는 충청도 직산(稷山)ㆍ전라도 익산(益山)ㆍ경기도 광주(廣州) 등 여러 주장이 있음.
한국>백제 , 지명>행정지명
-
위만(衛滿)
위만조선(衛滿朝鮮)의 개조(開祖). 중국 진(秦) 나라 말에 연(燕) 나라의 노관(盧綰) 휘하에 있다가 연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고조선으로 망명하여 기씨조선(箕氏朝鮮)의 준왕(準王)을 쫓아내고 위만조선을 세움.
고대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위백양(魏伯陽)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ㆍ도사. 진단(陳摶)에게 태극도(太極圖)를 전수하고, 《주역(周易)》에 나오는 효상(爻象)의 원리를 그대로 빌려와 신단(神丹)을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논함. 저서로 《참동계(參同契)》ㆍ《오상류(五相類)》가 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위봉(威鳳)
조선 전기의 승려. 연산군(燕山君)~선조(宣祖) 때의 승려인 영관(靈觀)에게 참선을 가르친 스승.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위북(渭北)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안(西安) 위수(渭水)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두보(杜甫)의 〈춘일억이백(春日憶李白)〉이란 시로 인해 강동(江東)과 함께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어로 많이 사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위사공신(衛社功臣)
고려 고종(高宗) 때 무오정변(戊午政變)을 주도한 인물들에게 내린 공신 칭호. 1258년(고종 45)년 유경(柳璥)ㆍ김준(金俊) 등의 8명은 최씨 정권을 붕괴시키고 공신 칭호를 받음.
125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법제>제도
-
위삭(衛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여류 서예가. 여음 태수(汝陰太守) 이구(李矩)의 아내로, 종요(鐘繇)에게 사사하고 예서(隸書)와 정서(正書)에 뛰어났으며, 왕희지(王羲之)에게 서법을 가르침.
272~3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위상(魏相)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선제 때 곽광(霍光)이 죽은 후 그 아들과 조카 등 곽씨(霍氏)가 전횡하자 권력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승상(丞相)이 된 후 병길(丙吉)과 함께 국정을 보좌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서(魏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산도(山濤)의 대임으로 사도(司徒) 등을 역임하였으며, 침중한 천성으로 널리 일컬어짐.
209~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위성공신(衛聖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광해군을 호종한 관원에게 내린 훈호(勳號). 이기(李耆)ㆍ황신(黃愼)ㆍ김권(金權) 등 82인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위소아(衛少兒)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황후인 위황후(衛皇后)의 언니이자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의 누나. 대장군 곽중유(霍仲孺)와 밀통하여 곽거병(霍去病)을 낳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위소주집(韋蘇州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위응물(韋應物)의 시집. 소주(蘇州) 지역의 글 쓰는 풍모(風貌)를 반영함.
117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위수(渭水)
중국 황하강(黃河江)의 지류(支流). 감숙성(甘肅省) 남동부에서 시작하여 섬서성(陝西省)으로 흘러 황하강으로 들어감. 여상(呂尙)이 위수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제후(齊侯)가 된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안도(韋安道)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 전기(傳奇) 소설 〈위안도전(韋安道傳)〉에 나오는 인물로, 후토부인(后土夫人)을 만나 아내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위안도전(韋安道傳)
중국 당(唐) 나라의 전기(傳奇) 소설. 창작자 미상으로, 주인공 위안도(韋安道)가 후토부인(后土夫人)을 만나 아내로 삼는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위야(魏野)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ㆍ은자.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고 섬주(陝州) 동교(東郊)에 초당을 짓고 거문고와 시를 즐김.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위열왕(威烈王)
중국 주(周) 나라의 천자. 재위 B.C.425~B.C.402. 고왕(考王)의 아들로, 진(晉) 나라 대부 한건(韓虔)ㆍ조적(趙籍)ㆍ위사(魏斯)를 제후로 봉함.
?~B.C.40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위염(魏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외척이자 공신. 어린 소왕(昭王)을 대신해 정사를 돌보며 국토를 넓힌 후, 소왕이 범수(范睢)를 등용하자 관직을 떠나 봉읍(封邑)으로 돌아가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위왕(威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78~B.C.343. 환공(桓公)의 아들로, 추기(鄒忌)ㆍ전기(田忌)ㆍ손빈(孫臏)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 임치(臨淄)의 직하(稷下)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왕호(魏王瓠)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에 나오는 큰 박. 혜자(惠子)가 위(魏) 나라 왕으로부터 박씨를 받았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물건은 이용하는 사람이 그 물건을 감당할 만한 국량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위요옹(魏了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
1178~123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위원례(韋元禮)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위표미(韋表微)의 7세조(世祖)로 미성공(郿城公)에 봉해짐.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응물(韋應物)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玄宗)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左司郞中)ㆍ소주 자사(蘇州刺史) 등을 지냄.
737~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위지식(威知識)
고려 후기의 승려. 명리(名利)를 버리고 천태종(天台宗)에 귀의함.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이규보(李奎報)가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위징(魏徵)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문신.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李密)의 서기가 되었다가, 태종(太宗)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諫臣)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
580~64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위청(衛靑)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장군. 무제의 후(后)인 위자부(衛子夫)의 동생으로, 일곱 차례의 흉노(匈奴) 정벌에 전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에 올랐으며, 곽거병(霍去病)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됨.
?~B.C.10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위총(韋叢)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원진(元稹)의 아내. 태자소보(太子少保)를 지낸 위하경(韋夏卿)의 딸로 혼인한 지 7년만에 병으로 죽자, 남편인 원진이 아내를 그리며 애도시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위춘산장(圍春山莊)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소현(蕭顯)이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에 지은 산장(山莊).
중국>명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위충현(魏忠賢)
중국 명(明) 나라 희종(熹宗)~의종(毅宗) 때의 환관. 희종의 총애를 업고 전권을 휘두르며 공포정치를 행함으로써 명 나라 멸망을 촉진함. 의종 때 탄핵을 받아 유배 도중 자살함.
1568~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위탄(韋誕)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명필. 문재(文才)가 뛰어나고 글씨를 잘 쓴 것으로 유명함. 특히 묵(製墨)을 잘 만들어 그가 만든 묵을 중장묵(仲將墨)이라 부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위표미(韋表微)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史)ㆍ호부시랑(戶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현(韋賢)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위현성(韋玄成)의 아버지로, 부자(父子)가 모두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을 떨침. 곽광(霍光)과 함께 선제를 옹립하고, 후에 승상(丞相)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위현성(韋玄成)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위현(韋賢)의 아들로, 부자(父子)가 모두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이 높았음.
?~B.C.3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홍(魏弘)
신라 경문왕(景文王)~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왕족ㆍ재상. 희강왕(僖康王)의 손자이며, 경문왕(景文王)의 동생. 각간(角干) 등의 관직을 맡아 정치ㆍ군사의 대권을 장악하고, 진성여왕(眞聖女王) 때는 왕의 작은아버지에다 정부(情夫)로 일세를 주름잡던 집권자.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위화도(威化島)
평안도(平安道) 의주(義州)의 압록강(鴨綠江) 하류에 위치한 섬.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이곳에서 회군(回軍)을 단행하여 정권을 잡음.
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위황후(韋皇后)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의 황후.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주선으로 황후가 된 뒤 일찍부터 정치에 관여함. 무삼사(武三思)와 간통하여 중종을 죽이고 상제(殤帝)를 세운 뒤 전횡을 일삼다가, 후에 현종(玄宗)이 된 이융기(李隆基)에게 폐위되어 축출됨.
?~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유^계(幽^薊)
중국 하북성(河北省) 일부와 요령성(遼寧省)에 해당하는 유주(幽州)와, 하북성 천진(天津) 지역에 해당하는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유^구(由^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중유(仲由)와 염구(冉求)를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제자로서 권신(權臣)인 계씨(季氏)의 가신(家臣)이 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기(幽^冀)
중국의 구주(九州)에 속하는 유주(幽州)와 기주(冀州)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전쟁의 요충지.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유^려(幽^厲)
중국 주(周) 나라 제12대 황제인 유왕(幽王)과 제10대 황제인 여왕(厲王)을 함께 부르는 말. 포악하고 어리석은 왕을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마(類^禡)
유제(類祭)와 마제(禡祭)를 함께 부르는 말. 마제는 전쟁 때 군법(軍法)을 제정한 신에게 지내는 제사이고, 유제는 천자(天子)가 죄 있는 자를 정벌하러 나가기에 앞서 상제(上帝)에게 올리는 제사임.
법제>의례>국가의례
-
유^손(劉^孫)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제1대 황제인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양(游^楊)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유작(游酢)과 양시(楊時)를 함께 부르는 말. 정문(程門)의 사제자(四弟子)에 속한 인물들로,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여(劉^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재상인 유지(劉摯)와 여대방(呂大防)을 함께 부르는 말. 신종(神宗) 때의 당인들을 등용하여 화해를 시도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연(幽^燕)
중국의 유주(幽州)와 연주(燕州)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유^완(劉^阮)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인 유신(劉晨)과 완조(阮肇)를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약을 캐러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갔다가 선경(仙境)에서 살다 온 고사로 인해 선경에서 노닌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치(濰^淄)
중국의 유수(濰水)와 치수(淄水)를 함께 부르는 말. 《서경(書經)》 우공편(禹貢篇)에 나옴.
중국 , 지명>기타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