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편(兪^扁)
중국 고대 헌원(軒轅) 때의 의관(醫官)인 유부(兪跗)와 주(周) 나라의 의관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명의(名醫)를 가리킴.
중국>주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항(劉^項)
중국 한(漢) 나라를 건국한 고조(高祖) 유방(劉邦)과 진(秦) 나라의 장군 항우(項羽)를 함께 부르는 말. 천하를 다투는 영웅호걸(英雄豪傑)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가장(柳家庄)
중국 북경(北京)으로 가는 길에 있는 상가촌(上家村)에 속한 마을 이름. 김성일(金誠一)의 《학봉속집(鶴峯續集)》 〈조천기행(朝天紀行)〉에 이곳에 대한 언급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간(柳澗)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지(承旨) 유여항(柳汝恒)과 동래 부사(東萊府使) 유여각(柳汝恪)의 아버지로, 참찬(參贊)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54~162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유간(柳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진천군(晉川君) 유지정(柳之淀)의 아버지로,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감동국통지(類鑑東國通志)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박주종(朴周鍾)의 저서. 필사본. 24권 17책. 기전체(紀傳體)의 형식으로 단군이래 순조(純祖) 때까지의 역사를 기록함.
186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갑(劉韐)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흠종(欽宗) 때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
1067~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강항(柳强項)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의 집에 들렀을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개(劉槩)
중국 원(元) 나라 무종(武宗) 때의 학자. 진보(陳普)의 문인으로, 주희(朱熹)의 〈무이도가(武夷櫂歌)〉에 발(跋)을 씀.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개(柳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경학에 능통하고 시문을 잘 지었으며, 저서로 《하동집(河東集)》이 있음. 《소학(小學)》에 형제간의 우애를 단속하는 유개의 말이 실려 있음.
947~10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거정(劉居正)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유지(劉摯)의 아버지로, 비서 승(秘書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건(柳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했음. 송순(宋純)ㆍ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여 교유함.
149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겸(柳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예문춘추관 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 유구(柳玽)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門閣直提學) 등을 지냄. 아버지와 함께 청백리(淸白吏)로 이름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경(劉京)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어머니는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로, 낭야왕(琅邪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경(劉敬)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공신. 본명은 누경(婁敬).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 낙양(洛陽)에 수도를 정하려 할 때, 관중(關中)으로 갈 것을 주장하여 장안(長安)을 수도로 정하고 유(劉)씨 성을 하사받아 유경(劉敬)이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경(柳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광주(廣州)와 여주(驪州)의 목사(牧使)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경(柳璥)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김준(金俊) 등과 함께 최의(崔竩)를 죽여 최씨의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종식시킴.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내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안향(安珦)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함.
1211~128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경렴(柳景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들이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유경심(柳景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1547년(명종 2)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1551년(명종 6) 다시 기용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냈음.
1516~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경안(柳景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에서 전사한 유팽로(柳彭老)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유경중(游敬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경지(柳瓊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청경(淸卿) 유약(柳瀹)의 아들로,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경해(柳景海)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사사(賜死)된 유진정(柳震楨)의 아버지이고,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매부로,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계린(柳桂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버지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순천 , 인명>문사>유학
-
유계문(柳季聞)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원종공신(原從功臣) 유관(柳寬)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유권(柳睠)의 아버지. 서예에 능해서 왕명으로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한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씀.
1383~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계서원(柳溪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정곤수(鄭崐壽)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유계조(柳繼祖)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의 난 등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에 책훈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333~1374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고지(庾杲之)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 가세가 청빈(淸貧)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
441~4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곤(劉琨)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ㆍ시인. 혜제(惠帝) 때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맹세한 사직지신(社稷之臣). 좌사(左思)ㆍ곽박(郭璞)과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공(劉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손자.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한 중에 장상(將相)의 직임이 제수된 일이 있었으나 끝내 사양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공권(柳公權)@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서예가. 태자소사(太子少師)를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주로 안진경(顔眞卿)을 본받았으나, 안진경의 글씨에 살이 많다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서 흔히 안유(顔柳)라 병칭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음.
778~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공석(柳公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학자 유중엄(柳仲淹)의 아버지로, 전랑(殿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공좌(柳公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ㆍ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ㆍ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냄 .
1458~151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공준(柳公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조부(祖父)이고, 유계린(柳桂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유관(兪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기계(杞溪). 예조 판서(禮曹判書) 유여림(兪汝霖)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1499~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관(劉寬)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위(太尉)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
120~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관(劉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충순위(忠順衛) 유귀손(劉貴孫)의 아들.
1484~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관(柳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하였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삼흉(三凶)으로 몰려 사사됨.
1484~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관(柳貫)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시제(翰林時制) 등을 지냈으며, 게혜사(揭傒斯)ㆍ우집(虞集)ㆍ황진(黃溍) 등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이라 불림. 저서로 《시제집(時制集)》등이 있음.
?~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관동록(遊關東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관동지방(關東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60년(세조 6) 관동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10에 실려 있음.
1460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유관서록(遊關西錄)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관서지방(關西地方) 유람기. 《사유록(四遊錄)》의 하나로, 1458년(세조 4) 관서지방의 유람을 끝낸 후 쓴 시와 후지(後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당집(梅月堂集)》 권9에 실려 있음.
1458 한국>조선전기 , 문헌>편명
-
유관현(柳觀鉉)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유도원(柳道源)의 생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외직(外職)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 저서로 《양파집(陽坡集)》이 있음.
1692~17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광선(柳光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이며 유경렴(柳景濂)의 아들로, 김장(金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유광수(柳光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청백리(淸白吏) 유심춘(柳尋春)의 생부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광정(柳光霆)
조선 후기의 유학.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사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유교칠신(遺敎七臣)
조선 선조(宣祖)의 유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 유영경(柳永慶)ㆍ한응인(韓應寅)ㆍ박동량(朴東亮)ㆍ서성(徐渻)ㆍ신흠(申欽)ㆍ허성(許筬)ㆍ한준겸(韓浚謙)을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유구(劉球)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한림시강(翰林侍講) 등을 역임하였으며, 녹천(麓川)의 역(役)에 군사를 발동한 잘못을 간하였다가 권신 왕진(王振)의 비위를 거슬러 죽임을 당함.
1392~144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구(柳䪷)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무신ㆍ공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 유근(柳根)의 손자이며 구굉(具宏)의 사위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97~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구(柳玽)@1335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조선 건국 후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진천군(晉川君)에 봉해졌으며, 예문춘추관 태학사(藝文春秋館太學士)를 지냄.
1335~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구(柳玽)@고려후기
고려 말의 충신.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杜門洞)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遺臣) 가운데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유구(琉球)
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沖繩 : 오키나와)으로 이름을 고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유구언(游九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초명은 구사(九思). 장식(張栻)의 문인으로, 저서에 《묵재유고(默齋遺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구풍속기(琉球風俗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윤결(尹潔)의 저서. 박손(朴孫)이 유구(琉球)에 표류하였던 경험담을 토대로 저술함.
154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군옥(兪君玉)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그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권(柳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직제학(直提學)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귀손(劉貴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거창(居昌).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유관(劉瓘)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무신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유극량(劉克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연안 유씨(延安劉氏)의 시조.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洪暹)의 배려로 면천(免賤)하고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방어사(防禦使) 신할(申硈)의 부장(副將)이 되어 임진강(臨津江)을 방어하다가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유극신(柳克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이항(李恒)의 문인인 유몽학(柳夢鶴)의 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극장(劉克莊)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육유(陸游)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강호시파(江湖詩派)를 주도함.
1187~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근(柳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하고,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됨.
1549~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근회(柳根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방선(柳方善)의 후손이고 조호익(曺好益)의 문인으로, 효행으로써 알려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금강록(遊金剛錄)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서경덕(徐敬德)이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한 후 쓴 기행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기(劉基)
중국 원(元)~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주원장(朱元璋)의 모사(謀士)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명 건국 후에는 역법(曆法)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함. 원 나라 말기의 사회 모순을 풍자하는 글을 많이 남김.
1311~1375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기(柳沂)@유후의아들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이방원(李芳遠)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垢)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기(柳沂)@유용의손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전라우도 수사(全羅右道水使)를 지낸 유용(柳墉)의 손자로, 현령(縣令)ㆍ감찰(監察)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유기(柳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원주 목사(原州牧使) 유운룡(柳雲龍)의 둘째 아들로, 권호문(權好文)에게 《논어(論語)》를 배웠으며,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기창(兪起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나, 좌의정 성준(成俊)이 연산군의 난정을 극간(極諫)하다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석방되어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함.
1437~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유달지(柳達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흡(柳洽)의 아들이며, 유천지(柳千枝)ㆍ유만지(柳萬枝)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담(劉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명제(明帝)의 부마(駙馬). 사안(謝安)의 장인이자, 왕희지(王羲之)의 절친한 벗으로, 단양 윤(丹楊尹) 등을 지냈으며, 당대의 인걸로 칭송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유대수(兪大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진사(進士) 유함(兪涵)의 아들.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내섬시 정(內贍寺正)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1546~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대일(兪大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좌의정(左議政) 유홍(兪泓)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그의 시문집인 《용은집(慵隱集)》이 《송당집(松塘集)》에 실려 있음.
1572~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대정(兪大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유호(兪灝)의 아들. 기축옥사(己丑獄死)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大北派)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
1552~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덕(劉德)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ㆍ제후. 경제(景帝)의 아들로, 유교와 도교에 해박함. 그가 수집한 고문자체(古文字體)로 쓰인 《주관(周官)》ㆍ《상서(尙書)》ㆍ《예(禮)》ㆍ《예기(禮記)》ㆍ《노자(老子)》 등은 고문자학(古文字學) 연구에 주요 자료가 됨.
?~B.C.13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제후
-
유덕개(劉德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유학 유우삼(劉友參)의 아들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유덕룡(柳德龍)
조선 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1563~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유덕수(柳德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문옥(柳文沃)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덕승(劉德升)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서예가. 종요(鍾繇)와 호소(胡昭)의 스승으로, 행서체(行書体)의 대가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유덕종(柳德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무랑(宣務郞) 유영석(柳永錫)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유도(柳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진동(柳辰仝)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지냄.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도원(柳道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존심(存心)ㆍ함양(涵養)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 주석학(註釋學)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
1721~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돈(柳墩)@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역임함.
?~130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돈(柳墩)@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두류록(遊頭流錄)@김종직
조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리산(智異山)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紀行文).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
1472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유두류록(遊頭流錄)@유자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유자옥(兪子玉)의 저서. 임훈(林薰)이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대해 쓴 글이 《갈천집(葛川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량(庾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오빠로, 조카인 성제(成帝)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
289~34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