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려(劉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지(劉砥)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리(羑里)
중국 하남성(河南省) 탕음현(湯陰縣)에 있던 지명. 은(殷) 나라 주왕(紂王)이 주(周) 나라 문왕(文王)을 유폐한 곳. 문왕이 유리옥(羑里獄)에 갇혀 있으면서 역(易)의 팔괘(八卦)를 육십사괘(六十四卦)로 추연(推演)하였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新羅)의 제3대 국왕. 재위 24~57.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ㆍ최(崔)ㆍ손(孫)ㆍ정(鄭)ㆍ배(裵)ㆍ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함.
?~5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유림(柳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성간(柳成澗)의 아들. 밀직사(密直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림사걸(儒林四傑)
중국 원(元) 나라의 문장가인 게혜사(揭傒斯)ㆍ우집(虞集)ㆍ유관(柳貫)ㆍ황진(黃溍)의 네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중국>원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유마힐(維摩詰)
석가(釋迦)의 속제자(俗弟子). 인도 비사리국(毗舍離國)의 장자(長者)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菩薩)의 행업을 닦았으며,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유만지(柳萬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후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매(劉買)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고조. 장사정왕(長沙定王) 유발(劉發)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맹용(劉孟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장사(長沙)와 남강(南康)의 수령을 지냄. 주희(朱熹)가 “근결자호(謹潔自好)하며, 학문에 방도가 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면지(劉勉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헌(胡憲)ㆍ유자휘(劉子翬)와 깊이 교유함. 주희(朱熹)의 아버지 주송(朱松)의 친우로, 주희가 사부(師父)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명록(幽明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지괴집(志怪集). 30권. 한(漢) 나라에서 송(宋) 나라 때까지의 인물, 야담, 전설,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유명악(兪命岳)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척기(兪拓基)의 아버지로, 1705년(숙종 3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 등을 지냄.
16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몽사(柳夢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천(宣川)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38~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몽서(柳夢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효자로 이름이 높은 유근회(柳根晦)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영천(永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1534~160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유몽열(柳夢說)
조선 전기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가 세운 보인당(輔仁堂)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
-
유몽웅(柳夢熊)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탱(柳樘)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형 유몽표(柳夢彪)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피란 도중 왜적이 어머니를 향해 칼을 내려치자 몸으로 막아 보호하고 죽음.
155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효자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몽정(柳夢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저(柳希渚)의 손자로, 남원 현감(南原縣監)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정암수(丁巖壽)ㆍ오희길(吳希吉) 등의 무고(誣告)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杖死)함.
1529~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몽정(柳夢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량(柳用良)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여 일을 성사시켰으며, 귀국 도중 병사함.
1527~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몽표(柳夢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지냈으며, 제자백가(諸子百家)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 등을 두루 섭렵함.
1543~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문석(柳文錫)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유조인(柳祖訒)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문옥(柳文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유덕수(柳德粹)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문통(柳文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와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역임했으며, 일본 사신을 맞아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했고 시문에도 뛰어났음.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문표(柳文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사(府使)를 지낸 유옥(柳沃)의 아버지로, 화순 훈도(和順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민도(流民圖)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정협(鄭俠)이 그린 그림. 정협이 안상문(安上門) 감문관(監門官)으로 있을 때 큰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이 길을 메운 것을 보고 이를 그림으로 그려 신종(神宗)에게 바침.
1073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유박(劉髆)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 유하(劉賀)의 아버지로, B.C.97년에 창읍왕(昌邑王)에 봉해짐.
?~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반(劉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을 지내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전ㆍ후한(前後漢) 부분을 기술함.
1023~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반집(劉攽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유반(劉攽)의 문집. 6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유발(劉發)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경제(景帝)의 열째 아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의 5대조.
?~B.C.12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발(柳潑)@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시집(玉峯詩集)》에,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발(柳潑)@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유심춘(柳尋春)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방선(柳方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李甫欽)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 서거정(徐居正)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
1388~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기도>개성ㅣ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유방택(柳方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를 지내고,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백손(柳伯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난공신(靖難功臣)으로 녹훈된 유수(柳洙)의 아들로,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장흥도호부사(長興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백순(柳伯淳)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숙공(靖肅公) 유방택(柳方澤)의 차남. 경사(經史)에 통달하여 오랫동안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며 많은 인재를 양성했음.
?~14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백유(柳伯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백창화집(劉白唱和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의 문집. 5권. 유우석(劉禹錫)과 주고 받은 글을 모아 편집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번(柳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종인(柳宗仁)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범휴(柳範休)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노애(蘆厓) 유도원(柳道源)의 아들.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역임했음.
1744~18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벽(劉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역적. 어사 중승(御史中丞)ㆍ탁지 부사(支度副使) 등을 지냈으나, 서천 절도사(西川節度使)를 지낼 때 난을 일으켜 동천 절도사(東川節度使) 고숭문(高崇文)에게 토벌당함.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보(劉黼)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보발(柳甫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화군(文化君) 유인기(柳仁奇)의 아들로, 문음(門蔭)으로 흥왕도감 판관(興王都監判官)에 제수되고, 통례문 부사(通禮門副使)ㆍ밀직사 우부대언(密直司右副代言) 등을 지냄. 《가정집(稼亭集)》에 묘지명이 전함.
1304~134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복기(兪復基)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유언술(兪彦述)의 아버지로, 1696년(숙종 2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복룡(柳伏龍)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역임한 유희림(柳希霖)의 아버지로,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부(兪跗)
중국 고대 황제(黃帝) 때의 의관(醫官). 탕약(湯藥)이나 침구(鍼灸)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로 병을 치료하였다고 하며, 편작(扁鵲)과 함께 명의(名醫)로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유비(劉濞)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조카. 유중(劉仲)의 아들로, 제후들의 봉지(封地) 삭감을 주장한 조조(鼂錯)의 처단을 명분으로 경제(景帝) 때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하여 동월(東越)로 달아났다가 피살됨.
B.C.215~B.C.1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비(劉肥)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맏아들. 제왕(齊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유빈(柳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뒤에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역임했음.
?~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빈(柳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유지승(柳智承)의 아들이며,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재종숙으로, 평생 학문에만 정진하여 역학(易學) 등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저서로《권옹집(倦翁集)》이 있음.
1520~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유사공(柳思恭)
조선 전기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유순(柳洵)의 아버지. 세자익위사 좌세마(世子翊衛司左洗馬)를 지내고, 추충적덕보조공신(推忠積德補祚功臣)ㆍ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사규(柳思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순익(柳舜翼)의 아버지로, 1562년(명종 17)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34~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사렴(兪思廉)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수원부차유선생운(水原府次兪先生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유사복(劉師服)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진사(進士). 한유(韓愈)의 시 〈석정연구(石鼎聯句)〉에 보임.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유사필(柳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유홍(柳泓)의 아들로,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지냄.
1501~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산선생집(遺山先生集)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元好問)의 문집. 40권. 원(元) 나라의 장덕휘(張德輝)가 수합ㆍ정리하여 엄충걸(嚴忠傑)이 간행함.
1262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유삼(劉參)
중국 전한(前漢) 성양왕(城陽王) 유장(劉章)의 아들. 태원왕(太原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상곡수(流觴曲水)
3월 3일에 굽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을 지나기 전에 시를 지어 읊고 잔을 들어 마시던 놀이. 중국 동진(東晉) 시대부터 유행한 시회(詩會)로, 통일신라시대의 포석정(鮑石亭)이 대표적임.
사건>풍속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서(劉恕)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찬수(撰修)에 참여하여 삼국(三國)에서 남북조(南北朝)까지를 기술하고,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를 저술함.
1032~107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석필(柳錫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아들.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선각(留仙閣)
조선시대 평안도 성천(成川)에 있던 누각 이름. 관서팔경(關西八景)의 하나인 강선루(降仙樓) 부근에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평안도>성천 , 유적>건물>누정
-
유섭(柳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로 왜적을 맞아 싸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성(柳惺)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영길(柳永吉)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이 이끄는 소북(小北)으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2~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유성(柳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유현강(柳玄江)이 지은 〈차면앙정운(次俛仰亭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성계(柳成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숙(柳淑)의 아버지. 태상경(太常卿)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성남(柳成男)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유세(劉蛻)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형주(荊州)에서 처음으로 과거 시험에 급제하여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림.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세건(兪世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낸 유형(兪炯)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유세귀(柳世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내고, 1527년(중종 22) 상진(尙震)ㆍ송순(宋純) 등 24인과 계축갑계(癸丑甲契)를 만듦.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세린(柳世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유헌(柳軒)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서 조광조(趙光祖) 등을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세무(柳世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ㆍ조목(趙穆)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유세보(兪世輔)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차가우연형운(次可佑年兄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세장(柳世章)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柳禧)의 아들이며 유세창(柳世彰)의 형으로, 1676년(숙종 2) 무과(武科)에 급제함. 인현왕후(仁顯王后)가 서인(庶人)으로 지낼 때 쌀을 보낸 사실이 죽은 뒤에 알려짐.
1651~170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유세창(柳世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희(柳禧)의 아들. 이정(李楨)의 서재(書齋)인 대관대(大觀臺)를 중수하고 지은 상량문(上樑文)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1657~17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세화(柳世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팽성(柳彭成)의 아들로, 김제 군수(金堤郡守)ㆍ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시부(詩賦)를 잘 지었음.
1504~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세훈(柳世勛)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신천서원(新川書院)ㆍ이양서원(伊陽書院)에 배향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유소(劉劭)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맏아들로,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巫蠱)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동생 효무제(孝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424?~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소백산록(遊小白山錄)
조선 명종(明宗) 때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재임 중이던 이황(李滉)이 소백산(小白山)을 유람하면서 쓴 기행문(紀行文).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유속(柳洬)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수(柳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문성군(文城君)에 봉해지고, 성종(成宗)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5~148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수(洧水)
중국 하남성(河南省)에 있는 강 이름.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에 있던 강으로, 등봉(登封) 마령산(馬岭山)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름. 진수(溱水)와 함께 ‘진유(溱洧)’라는 이름으로 《시경(詩經)》 정풍(鄭風)의 편명으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유수(濰水)
중국 낭사기현(琅邪箕縣)에서 출발하여 북쪽으로 도창현(都昌縣)에 이르러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봉여해(奉汝諧)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座) 등을 지냈으나, 1456년(세조 2)에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
1419~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