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박천귀(朴天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거(朴興居)ㆍ박흥생(朴興生) 형제의 아버지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냄.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박천상(朴天祥)
고려 공민왕(恭愍王)~창왕(昌王) 때의 무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숭인(李崇仁)ㆍ하륜(河崙) 등과 함께 영흥군(永興君) 환(環)의 진위(眞僞) 문제를 변론하다가 무고 혐의로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박천우(朴天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박철남(朴哲男)
조선 선조(宣祖) 때 무신ㆍ의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청도(淸道)에서 아버지 박경신(朴慶新)과 형 박지남(朴智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5~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박첨(朴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문하시중(門下侍中)ㆍ우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ㆍ춘추관사(春秋館事)ㆍ영경연사(領經筵事) 등을 역임(歷任)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춘호(朴春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의병ㆍ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손자. 박근제(朴根悌)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창의(倡義)하여 의병을 모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충원(朴忠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제학(大提學)과 예조(禮曹)ㆍ병조(兵曹)의 판서를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치(朴緇)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춘천(春川).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인 이식(李埴)의 장인으로, 별시위 사정(別侍衛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무신
-
박태무(朴泰茂)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박창윤(朴昌潤)의 아들로, 하정(河瀞)의 문인.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군량을 지원하고 가정(家丁)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씀. 남명(南冥) 학문의 계승과 선양에 공헌함.
1677~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태후(薄太后)
중국 전한(前漢) 때 고조(高祖)의 계비(繼妃). 문제(文帝)의 어머니.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박포(朴苞)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하여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처형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필녕(朴弼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박주종(朴周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
-
박하징(朴河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승원(朴承元)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박하청(朴河淸)의 아우. 이황(李滉)ㆍ조식(曺植)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48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하청(朴河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하담(朴河淡)의 아우로, 성수침(成守琛)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박한로(朴漢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함경도 길주(吉州) 출신으로. 같은 고장의 함경충(咸敬忠)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 와서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문사>유학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박항(朴恒)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춘천박씨(春川朴氏)의 시조로, 박광정(朴光挺)의 아버지.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27~128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박현몽(朴玄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풍천 교수(豐川敎授) 등을 지냈으며,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그에게 보내는 시(詩)가 실려 있음.
1442~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현좌(朴賢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박여량(朴汝樑)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을 지냄.
?~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박형(朴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1507년(중종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9~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박형간(朴亨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수장(朴秀樟)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형근(朴亨根)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의 헌벽(軒壁)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형달(朴亨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형덕(朴馨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후손으로, 1809년(순조 9) 박광전의 문집 《죽천집(竹川集)》을 중간함.
1731~18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박형린(朴亨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형문(朴衡文)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제함(朴悌諴)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만년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박호문(朴好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1419년(세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삭주 절제사(朔州節制使) 등을 지냄. 1452년(단종 즉위년)에 함길도 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가 되어 부임하였으나 이징옥(李澄玉)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호원(朴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박이(朴苡)의 아들로, 명종 때 토포사(討捕使)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어 임꺽정(林巨正) 등 도적을 진압함. 대사헌(大司憲)ㆍ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홍린(朴洪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눌(朴訥)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82~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박환(朴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박겸무(朴兼武)의 아들이자, 선조(宣祖) 때 효자로 이름 높은 박사관(朴思寬)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환고(朴還古)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보낸 차운시(次韻詩)가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박황(朴璜)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함께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박효남(朴孝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장단 부사(長湍府使) 박옹(朴顒)의 아들로, 지방관으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공덕비가 세워짐.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효생(朴孝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박여헌(朴黎獻)의 아들.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을 복구하는 작업에 참가하고,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요청하는 정청(庭請)에 참여함.
15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효수(朴孝修)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공거(同知貢擧)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내고, 윤혁(尹奕) 등과 교유함.
?~137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효순(朴孝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 사예(司藝)를 지낸 박원겸(朴元謙)과 평사(評事)를 지낸 박원눌(朴元訥)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무신
-
박효신(朴孝臣)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언부(朴彥孚)의 아들로, 문하시중 (門下侍中)과 도평의사(都評議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효원(朴孝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으로, 성세준(成世俊)의 장인.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나, 임사홍(任士洪) 등과 결탁하여 대신들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박훈(朴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정(寺正)을 지낸 박영(朴詠)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훤(朴萱)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의(文義). 박언상(朴彥祥)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박휘겸(朴撝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생원(生員)으로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낭장(郞將)을 지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천안(天安)의 구룡산(九龍山)에 거처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무신
-
박휘생(朴暉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아들로, 선시중(宣時中)의 사위가 되어 보성(寶城)에 자리를 잡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박흔(朴忻)
조선 전기의 유학.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흥거(朴興居)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생(朴興生)의 아우이고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박흥문(朴興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박원량(朴元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석성 , 인명>문사>유학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희년(朴希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희량(朴希良)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신희눌(愼希訥)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희성(朴希聖)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박희재(朴希載)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지어 준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박희철(朴希哲)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반^마(班^馬)
중국 전한(前漢) 때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司馬遷)과 후한(後漢) 때 《한서(漢書)》를 저술한 반고(班固)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송(潘^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인 송옥(宋玉)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반악(潘岳)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역사상 대표적인 미남(美男)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수(般^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명장(名匠)인 공수반(公輸班)과 고대 당요(唐堯)시대의 명장인 공수(工倕)를 함께 부르는 말. 기술이 뛰어난 목수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양(潘^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반악(潘岳)과 양수(楊綏)를 함께 부르는 말. 인척간의 친밀함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양(班^揚)
중국 한(漢) 나라의 문인ㆍ학자인 반고(班固)와 양웅(揚雄)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좌(班^左)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인 반고(班固)와 진(晉) 나라의 문인인 좌사(左思)를 함께 부르는 말. 영사시(咏史詩)로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반강(潘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유학 반서린(潘瑞麟)의 아버지로,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반경(盤庚)@문헌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서경(書經)》의 한 편명(篇名). 은(殷) 나라 임금 반경(盤庚)이 천도(遷都)할 때 신민(臣民)들에게 고유(告諭)한 내용이라 함.
문헌>편명
-
반경(盤庚)@인명
중국 은(殷) 나라 제17대 왕. 탕(湯) 임금의 9대손이며, 조정(祖丁)의 아들로, 천재(天災)와 인화(人禍)를 피하고자 은(殷)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은(殷)으로 고쳤으며, 재위 28년 동안 은 왕조를 부흥시킴. 제19대 왕이라는 설도 있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반경유(潘景愈)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헌(潘景憲)의 아우로, 안경교수(安慶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경헌(潘景憲)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경유(潘景愈)의 형으로, 태평교수(太平敎授)를 역임하였으며, 여조겸(呂祖謙)과 교유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계(磻溪)
중국 섬서성(陝西省) 보계현(寶溪縣) 위수(渭水)로 흘러드는 냇물 이름. 주(周) 나라의 강태공(姜太公) 여상(呂尙)이 여기서 낚시질하다가 문왕(文王)을 만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반계수록(磻溪隨錄)
조선 현종(顯宗) 때의 학자인 유형원(柳馨遠)이 국가 운영과 통치 제도에 관한 개혁안을 중심으로 저술한 책. 26권 13책. 목판본. 1770년(영조 46) 이미(李瀰)가 간행함.
17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반고(班固)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한서(漢書)》를 저술하고 《백호통의(白虎通義)》를 편찬함. 화제(和帝) 때 두헌(竇憲)의 반란 사건에 연좌되어 옥사(獄死)함.
32~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반과산(飯顆山)
중국 장안(長安)에 있는 산 이름. 이백(李白)이 이곳에서 두보(杜甫)를 만나 희롱하는 시를 지어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반남박씨(潘南朴氏)
고려시대 반남 호장(潘南戶長)을 지낸 박응주(朴應珠)를 시조로 하고,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 박은(朴訔)을 중시조로 하여 성립한 성씨.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반대림(潘大臨)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 황정견(黃庭堅)을 종(宗)으로 삼는 강서시파(江西詩派)에 속한 시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반동산(斑東山)
경상도 진주(晉州)에 있는 산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강혼(姜渾)이 이곳에 낙모정(落帽亭)을 짓고 소요하며 만년을 보낸 것으로 유명함.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
-
반문농부(班門弄斧)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뛰어난 목수 공수반(公輸班)의 집 앞에서 한 젊은 목수가 도끼를 꺼내들며 자신의 솜씨를 자랑하였으나, 공수반의 솜씨를 보고는 탄복하며 부끄러워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 척 한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반비(潘妃)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동혼후(東昏侯)의 비(妃). 용모는 아름다웠으나 사치스럽고 무절제하여 나라를 망하게 함. 전족(纏足)으로 황금의 연꽃 위를 걸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이로써 전족을 금련(金蓮)이라 부르게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반사정(潘師正)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사마승정(司馬承禎)의 스승으로,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함.
586~684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반서린(潘瑞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반강(潘岡)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반석평(潘碩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천얼(賤孽) 출신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좌찬성(左贊成)까지 지냈으며,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반소(班昭)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으로, 〈팔표(八表)〉와 〈천문지(天文志)〉 등 《한서(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여계(女誡)》를 저술함.
49?~1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반시거(潘時擧)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가례도(家禮圖)를 작성한 인물로 추정되며, 무위군 교수(無爲軍敎授)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악(潘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급사황문시랑(給事黃門侍郞) 등을 지내고, 문재(文才)가 뛰어나 당시 권세가인 가밀(賈謐)의 문객 이십사우(二十四友) 중에 최고가 됨. 육기(陸機)와 함께 서진(西晉) 문학을 대표함.
247~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반야사(般若寺)
중국 당(唐) 나라 때 사천성(四川省) 내강시(內江市) 동흥구(東興區)에 건립된 사찰. 회양(懷讓)이 이곳에서 30년 동안 교화를 폈음.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반야심경(般若心經)
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여러 반야경(般若經) 가운데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설한 것으로,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현장(玄奘)의 한역(漢譯)이 가장 널리 알려짐.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는 문구로 유명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반우공(潘友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우단(潘友端)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회선무사사간관(江淮宣撫使司干官)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우단(潘友端)
중국 송(宋) 나라 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효종(孝宗) 때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태학박사(太學博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반우문(潘友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 때 곤산현(昆山縣)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반불자(潘佛子)’라 일컬어졌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반천서원(槃泉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봉화(奉化)에 건립된 서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복원되지 못함. 김중청(金中淸)을 배향함.
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반첩여(班婕妤)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후궁ㆍ시인. 시가(詩歌)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趙飛燕)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부(賦)를 지어 상심(傷心)을 노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후궁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반충(潘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거제(巨濟). 지극한 효행이 알려져, 나라에서 충효로써 정려함. 《약포집(藥圃集)》과 《학사집(鶴沙集)》에 묘지(墓誌)와 비명(碑銘)이 실려 있음.
1508~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