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오(向浯)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호안국(胡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와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상우당집(尙友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허종(許琮)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상유(桑柔)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대아(大雅)〉 〈탕지십(蕩之什)〉의 한 편명(篇名). 예백(芮伯)이 주(周) 여왕(厲王)의 실정을 비난한 시.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상자(殤子)
20세 이전에 죽는 단명자(短命者)를 말함. 19세~16세 사이에 죽는 것을 장상(長殤), 15세~12세 사이에 죽는 것을 중상(中殤), 11세~8세 사이에 죽는 것을 하상(下殤)이라고 함.
사상>술어>관용어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제(殤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5대 황제. 재위 105~106. 화제(和帝)가 죽자 태어난 지 백 일 만에 황제가 되었으나 두 살 때 죽음.
105~10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제(祥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사망한 날로부터 만 2년이 되는 두 번째 기일(忌日)인 대상(大祥)에 지내는 제사.
법제>의례>가례
-
상제요록(喪祭要錄)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석(洪錫)이 지은 상례와 제례 관계의 계몽서. 2권 1책. 인본(印本). 1891년(고종 28)에 완성되었으며, 1933년에 간행됨.
193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상조(商調)
악곡(樂曲)에 쓰이는 악조(樂調)의 명칭 가운데 하나.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인 상(商)음을 위주로 하는 소리로, 슬프고 처량하며 애원하는 듯한 소리를 뜻함.
기타>가무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상주주씨(尙州周氏)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 당(唐) 나라의 사신으로 우리나라에 왔다가 귀화한 주이(周頤)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채어록(上蔡語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양좌(謝良佐)의 언행을 수록한 저서. 3권 1책.
152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춘곡(賞春曲)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歌辭). 성종 연간에 전라도 태인(泰仁)에 은거하면서 그곳의 봄경치를 읊은 가사로,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가사로 평가되기도 함. 《불우헌집(不憂軒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작품명
-
상통례(喪通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편명.
중국>송 , 중국 , 문헌>편명
-
상퇴(尙魋)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송 나라를 지나갈 때 해치려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상평통보(常平通寶)
조선 인조(仁祖) 때 주조되고, 숙종(肅宗) 때 법화(法貨)로 채택되어 유통된 화폐. 1633년(인조 11) 처음으로 주조, 유통되다가 중단된 뒤, 1678년(숙종 4) 다시 주조하여 조선 말기 현대식 화폐가 나올 때까지 통용됨.
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물품>생활용품>화폐
-
상학경(相鶴經)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 때의 신선인 부구공(浮丘公)이 지은 선술(仙術)에 관한 책. 왕자 진(王子晉)과 학을 타고 놀면서 그에게 가르쳤다는 책. 1권.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상홍양(桑弘羊)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평준법(平準法) 등을 만들어 국가의 재정수입을 증가시켰으나, 곽광(霍光)과 반목이 격화되자 상관걸(上官桀)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됨.
B.C.152~B.C.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색암유고(嗇庵遺稿)
조선 전기의 문인인 이세옥(李世玉)이 지은 책.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이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생^진(生^進)
조선시대 과거(科擧) 시험 중의 하나인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를 함께 부르는 말. 생원시는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하였고,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시행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기타법제
-
생부(笙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화가인 왕이(王廙)가 지은 부(賦). 《예문유취(藝文類聚)》에 그 일부가 인용되어 있음.
중국 , 문헌>작품명
-
생원시(生員試)
조선시대의 과거(科擧) 시험 중의 하나.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시험하며, 생원시와 진사시(進士試)를 합쳐 소과(小科)라고 불림.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생육신(生六臣)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절의(節義)를 지킨 여섯 신하. 사육신(死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서^백^학(西^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이황(李滉)의 고제자인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ㆍ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ㆍ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의성ㅣ경상도>안동 , 사상>술어>관용어
-
서^예(書^禮)
유가(儒家)의 오경(五經)에 속하는 책인 《서경(書經)》과 《예기(禮記)》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서간(徐幹)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 박학하고 글재주가 뛰어났으나 벼슬하지 않음. 건안칠자(建安七子) 가운데 한 명. 《중론(中論)》ㆍ〈귤부(橘賦)〉 등의 작품이 있음.
171~21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거광(徐居廣)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지낸 서미성(徐彌性)의 아들이며, 문충공(文忠公) 서거정(徐居正)의 형. 언양 현감(彦陽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견(徐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안향(安珦)의 문인(門人)으로, 공양왕(恭讓王) 때 사헌장령(司憲掌令)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에는 금천(衿川)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경집(西坰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근(柳根)의 문집. 1662년(현종 3) 외손 오정위(吳挺緯)가 공주(公州)에서 초간하고 외증손인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진표(金震標)가 1665(현종 6) 삼척에서 8권 3책으로 중간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경천(徐慶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역임함.
1505~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계서원(西溪書院)@대구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대구(大丘) 무태동(無怠洞)에 건립한 서원. 이문화(李文和)ㆍ이경임(李景任) 등을 배향함.
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계서원(西溪書院)@산음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산음(山陰)에 건립한 서원. 1677년(숙종 3)에 강휘망(姜徽望)의 상소로 사액을 받았으며, 오건(吳健)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산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계집(西溪集)@이득윤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이득윤(李得胤)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계집(西溪集)@박세당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문인 이탄(李坦)ㆍ이덕수(李德壽)와 손자 박필기(朴弼基) 등이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고(徐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서거정(徐居正)의 손자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나, 사절(使節)을 받들고 명(明)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
?~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고문훈(書古文訓)
중국 송(宋) 나라의 사공파(事功派) 학자인 설계선(薛季宣)이 지은 책. 《상서(尙書)》에 나오는 지명을 풀이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골암(棲鶻巖)
충청도 단양(丹陽)에 있는 바위 이름. 김일손(金馹孫)이 단양을 여행하고 이요루(二樂樓)의 기문(記文)을 지으면서 서골암이라고 이름을 붙임. 《탁영집(濯纓集)》과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이요루기(二樂樓記)〉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서관란(徐觀瀾)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8년(선조 31)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명 나라 사신.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구연(徐九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역임하였으며, 남계서원(灆溪書院)의 건립에 참여함.
1502~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극일(徐克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사(判事)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기(徐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절재(節齋) 채연(蔡淵)의 문인(門人)으로 경사(經史)에 능하였으며, 특히 《주역(周易)》에 정통하여 《진재역설(進齋易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충(金冲)이 들은 바를 기록하여 저술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릉(徐陵)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문신ㆍ시인. 동궁(東宮)에서 관직을 함께 했던 아버지 서추(徐推), 유견오(庾肩吾)ㆍ유신(庾信) 부자와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어 서유체(徐庾體)라 칭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릉정려비(徐稜旌閭碑)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세운 정려비(旌閭碑).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인 서릉(徐稜)의 효행을 기림.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기타유적
-
서막(徐邈)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성품이 청렴하고 엄한 금주령(禁酒令) 속에서도 술을 즐겼으며,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역임함.
170~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서명도(西銘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나와 우주의 관계를 논한 유교서적.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저서. 1557년(명종 12)에 저술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전하지 않음.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목(徐穆)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호족(豪族). 이천(利川) 지방의 호족으로, 왕건(王建)이 남쪽으로 정벌을 하기 위하여 이 지역을 통과할 때 강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도와줌.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문숙(徐文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광조(趙光祖)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정암집(靜庵集)》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미성(徐彌性)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근(權近)의 사위.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역임하였으며, 아들 서거정(徐居正)의 공훈으로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에 추증됨.
1383~14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방(徐放)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문신. 자사(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복(徐福)
중국 진(秦) 나라의 방사(方士). 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떠나 일본으로 갔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서복경(徐福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서자(庶子)로 이현보(李賢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서봉사현오국사탑비(瑞峯寺玄悟國師塔碑)
고려 명종(明宗) 때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수지읍(水枝邑)에 세운 탑비(塔碑). 현오국사(玄悟國師)의 행적을 후대에 알리고자 세움. 고려 명종 때의 문신인 유공권(柳公權)의 필적임.
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유적>기타유적
-
서봉서원(瑞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강진(康津)에 건립한 서원. 이후백(李後白)ㆍ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을 배향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사(書史)
중국 송(宋) 나라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책. 1권. 서진(西晉)부터 오대(五代)까지 앞 세대 사람들의 진적(眞蹟)을 편차하여 평론하였으며, 인장(印章)ㆍ발미(跋尾)ㆍ지견(紙絹)ㆍ장배(裝褙) 등을 모두 자세히 실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사호(徐師昊)
중국 명(明) 나라의 도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황제의 명으로 고려 산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서산(瑞山)
충청남도 서북단에 있는 고을 이름. 지금의 서산시(瑞山市) 대산읍(大山邑) 일원에 해당함.
충청도>서산 , 지명>행정지명
-
서산(西山)
중국 복건성(福建省) 복주(福州) 포성현(蒲城縣)에 있는 산 이름. 옛날 월(越) 땅에 해당하므로 '월산(粵山)'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서산사(西山祠)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전주(全州)에 건립한 사우(祠宇). 최양(崔瀁)ㆍ최덕지(崔德之)ㆍ송영구(宋英耉)ㆍ이계맹(李繼孟)ㆍ이흥발(李興浡)ㆍ이기발(李起浡) 등을 배향함.
164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유적>건물>사당
-
서산서원(西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1706년(숙종 32) 창건되고 1713년(숙종 39) 사액(賜額)됨. 김시습(金時習)ㆍ이맹전(李孟專)ㆍ남효온(南孝溫) 등을 배향함.
17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산정씨(瑞山鄭氏)
중국 송(宋) 나라 때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고려(高麗)로 망명한 정신보(鄭臣保)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집단>성씨
-
서산집(西山集)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의 문집.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상기(西廂記)
중국 원(元) 나라의 극작가 왕실보(王實甫)가 지은 잡극(雜劇). 5본(本). 원대의 잡극 중 유일한 장편(長篇)으로, 당(唐) 나라 원진(元稹)의 《앵앵전(鶯鶯傳)》에 나오는 최앵앵(崔鶯鶯)과 장서(張瑞)와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서상남(徐尙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이천(利川). 판사(判事) 서극일(徐克一)의 아들로, 시묘살이를 할 때 그의 제자의 꿈에서 서극일이 일러주었다는 시가 《창석집(蒼石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서서(徐庶)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魏) 나라의 책사(策士). 처음에는 유비(劉備)를 섬기다가 조조(曹操)에 의해 어미가 볼모가 되자, 대신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고 조조에게 귀속(歸屬)했으나 조조를 위해 지모(智謀)를 발휘하지는 않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숙동(徐淑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달성(達城).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서구연(徐九淵)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서순(徐純)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서균(徐鈞)의 아들로, 1170년(의종 24)의 무신란(武臣亂) 때 피살됨.
?~117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시(西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현혹하기 위해 바친 두 미인 중의 하나로, 부차는 그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 패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신(胥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대부. 기(冀) 땅을 지나다가 극결(郤缺)이 아내와 서로 공경하는 모습을 보고 천거하였으므로, 진 양공(晉襄公)이 선모(先茅)의 고을로써 상을 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서악(西岳)
경상도 경주(慶州)의 서쪽에 있는 산의 신라(新羅) 때 명칭.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서악서원(西岳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에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존속한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 설총(薛聰)ㆍ김유신(金庾信)ㆍ최치원(崔致遠)을 배향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분생(蘇忿生)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성왕(成王) 때의 문신. 사구(司寇) 등을 지냈으며, 형옥(刑獄)을 잘 다스림.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문신